1. Early Life and Amateur Career
폴 더글러스 크리크는 미국 버지니아주 윈체스터에서 태어나 성장한 배경과 조지아 공과대학교 시절의 아마추어 야구 경력을 바탕으로 프로에 입문하기까지의 과정을 다룬다.
1.1. Birth and Background
폴 더글러스 크리크는 1969년 3월 1일 미국 버지니아주 프레더릭 카운티 윈체스터에서 태어났다. 그는 좌완 투수로 좌투좌타였다.
1.2. Amateur Baseball
크리크는 조지아 공과대학교에 재학하며 야구 선수로 활약했다. 1989년에는 제18회 미일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 미국 대표로 참가했다. 당시 팀 동료 중에는 훗날 NPB에 진출하는 크리스 헤이니와 에릭 슐스트롬 등도 있었다. 1990년에는 케이프 코드 야구 리그의 코투잇 케틀러스에서 대학 여름 야구를 경험하기도 했다.
1990년 MLB 드래프트 5라운드(전체 152순위)에서 캘리포니아 에인절스의 지명을 받았지만, 계약하지 않고 다음 시즌 드래프트 풀로 돌아갔다. 이듬해 1991년 MLB 드래프트 7라운드(전체 181순위)에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지명을 받으며 프로에 입문했다.
2. Professional Career
크리크의 프로 경력은 마이너 리그에서 시작되어 메이저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를 오가며 다양한 팀에서 활약한 시기들을 포함한다.
2.1. Minor League Career
1991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계약한 후, 크리크는 1991년과 1992년에 걸쳐 싱글 A 리그를 전전하며 네 개의 팀(해밀턴 레드버즈, 서배너 카디널스, 스프링필드 (일리노이주) 카디널스, 세인트피터스버그 카디널스)에서 뛰었다. 그는 주로 선발 투수로 기용되었다. 1991년 해밀턴과 서배너에서의 초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듬해 스프링필드에 합류하면서 그의 기량은 향상되었다.
크리크는 스프링필드에서 4승 1패를 기록하며 ERA 2.58로 개인 최저 기록을 달성했다. 이후 세인트피터스버그에서도 인상적인 투구를 이어가며 13경기에 모두 선발 등판하여 5승 4패, ERA 2.82를 기록했다. 더블 A 리그에서는 통산 18승 22패, ERA 4.00의 기록을 남겼으며, 이후 루이빌 레드버즈 소속 트리플 A 팀에서 세 차례 활약했다. 그는 루이빌과 세인트루이스 산하 더블 A 팀인 아칸소 트래블러스를 오가며 뛰었다.
2.2. Major League Debut and Early Teams
더블 A와 트리플 A에서 탄탄한 활약을 보여준 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는 크리크를 메이저 리그 팀에 합류시켰다. 1995년 9월 17일, 그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상대로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그는 1이닝을 던지며 2개의 삼진을 잡아냈고, 다저스 타자들은 크리크에게 단 한 개의 안타도 기록하지 못했다. 이후 그는 세인트루이스 소속으로 5경기에 더 등판하여 총 6이닝 동안 무실점을 기록했다. 1995년 시즌이 끝난 후, 그는 오프시즌에 리치 드루시아와 앨런 왓슨이 포함된 다자간 트레이드를 통해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 이적했다. 카디널스는 그 대가로 로이스 클레이턴과 크리스 위머를 영입했다.
자이언츠로 이적한 크리크는 1996년 27세의 나이로 63경기에 등판하여 48이닝을 소화했지만, 6.52의 높은 평균자책점과 0승 2패를 기록했다. 다음 시즌인 1997년에는 자이언츠 산하 트리플 A 팀인 피닉스 파이어버즈에서 25경기에 등판(이 중 18경기 선발)하여 8승 6패, 2개의 완투, 1개의 완봉승을 기록하는 좋은 모습을 보였다. 트리플 A에서의 활약으로 그는 빠르게 샌프란시스코로 다시 승격되었고, 메이저 리그에서는 1승 2패, 6.75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14개의 삼진을 잡아냈다.
2.3. Hanshin Tigers Era (NPB)
1997년 11월 7일, 시카고 화이트삭스는 크리크의 계약을 자이언츠로부터 구매했지만, 그는 화이트삭스에서 뛰지 않았다. 한 달도 채 안 된 1997년 12월 4일, 그의 계약은 일본의 한신 타이거스로 다시 판매되었고, 그는 1998년 일본에서 활약하게 되었다.
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한 크리크는 좌투좌타의 선발 투수로, 슬라이더를 주무기로 삼았다. 개막 세 번째 경기에 등판하는 등 선발 로테이션 정착이 기대되었으나, 개막 한 달 만에 2군으로 내려갔다. 그는 센트럴 리그와 웨스턴 리그 팀에서 시즌을 보냈는데, 대부분의 기간을 웨스턴 리그에서 보냈다. 웨스턴 리그에서는 17경기(16경기 선발)에서 9승 1패, 2.1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리그에서 평균자책점과 삼진 (101개) 부문 선두를 차지하는 에이스로 활약했다. 그의 활약은 웨스턴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그러나 1군인 센트럴 리그에서는 7경기에 등판하여 0승 4패, 5.65의 평균자책점으로 부진했고, 결국 1년 만에 팀을 떠났다.
2.4. Later MLB Career
일본에서의 1년 생활을 마치고 크리크는 1999년 1월 29일 시카고 컵스와 계약하며 메이저 리그로 복귀했다. 그는 시즌 대부분을 컵스 산하 트리플 A 팀인 아이오와 컵스에서 보냈다. 아이오와에서는 25경기(20경기 선발)에서 7승 3패, 평균자책점 3.79를 기록했으며, 1개의 세이브도 추가했다. 컵스는 그를 메이저 리그로 콜업했지만, 6경기에 등판하여 10.50의 높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고전했다.
2000년 2월 1일, 탬파베이 데블 레이스는 크리크와 계약했고, 그는 향후 2년 반 동안 데블 레이스에서 메이저 리그 경력을 이어갔다. 2000년에는 45경기에 모두 구원 투수로 등판하여 1승 3패를 기록했고, 평균자책점 4.60와 함께 개인 통산 첫이자 유일한 세이브를 올렸다. 다음 시즌인 2001년, 크리크는 평균자책점을 4.31로 낮추며 개인 최다인 66경기에 등판하여 2승 5패를 기록했다. 또한 개인 최다인 62이닝을 소화했다.
크리크는 2002년 정규 시즌의 첫 4개월을 데블 레이스에서 보냈으며, 29경기에 등판하여 2승 1패를 기록했으나 평균자책점은 6.27로 높았다. 2002년 7월 24일, 탬파베이와 시애틀 매리너스는 현금을 조건으로 크리크를 시애틀로 보내는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매리너스에서는 23경기에 등판하여 1승 1패, 평균자책점 4.91를 기록했다. 2002년 전체 시즌 기록은 52경기, 3승 2패, 55.0이닝, 평균자책점 5.82였다.
2002년 10월, 크리크는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계약하며 핵심 불펜 멤버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2003년 시즌은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았다. 그는 21경기에 등판하여 13이닝을 던지는 데 그쳤고, 평균자책점 3.29를 기록했다. 2003년 6월, 그는 토미 존 서저리를 받았다.
수술 후 2004년 2월, 크리크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로 복귀했다. 세인트루이스에서는 트리플 A 팀인 멤피스 레드버즈의 구원 투수로만 활약했으며, 33경기에서 2승 1패, 평균자책점 4.71를 기록했다.
2005년 1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는 투수진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크리크를 영입했다. 그는 타이거스 산하 트리플 A 팀인 톨레도 머드 헨스에서 28경기에 등판(1경기 선발)하여 2승 2패, 평균자책점 4.61를 기록했다. 세인트루이스 시절과는 달리, 크리크는 메이저 리그 로스터에 합류하여 타이거스 소속으로 20경기에 등판했다. 그는 디트로이트에서 20경기 동안 22이닝을 소화했으며, 시즌을 6.85의 평균자책점으로 마쳤다. 이 시즌을 끝으로 그는 현역에서 은퇴했다.
3. Playing Style and Characteristics
폴 더글러스 크리크는 조지아 공과대학교 시절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인텔리 선수로 알려져 있다. 그는 커브와 체인지업, 그리고 좌완 투수 특유의 스크루볼을 주무기로 삼아 완급 조절과 수직 변화구를 활용하여 삼진을 잡아내는 테크니션형 투수였다. 그의 직구 최고 구속은 149 km/h에 달했으며, 당시 한신 타이거스 수뇌부로부터 기대를 모았던 좌완 선발 투수였다.
4. Illness and Death
크리크는 2024년 4월 췌장암 진단을 받았다. 그는 이 병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2024년 7월 28일 5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5. Career Statistics and Records
이 섹션에서는 폴 더글러스 크리크의 메이저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의 주요 통계, 그리고 개인 기록과 등번호 및 대표 경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5.1. Major League Baseball (MLB) Statistics
메이저 리그 경력 동안의 연도별 투구 성적 및 관련 통계 자료는 다음과 같다.
연도 | 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방어율 | WHIP |
---|---|---|---|---|---|---|---|---|---|---|---|---|---|---|---|---|---|---|---|---|---|---|---|---|---|
1995 | STL | 6 | 0 | 0 | 0 | 0 | 0 | 0 | 0 | -- | ---- | 24 | 6.2 | 2 | 0 | 3 | 0 | 0 | 10 | 0 | 0 | 0 | 0 | 0.00 | 0.75 |
1996 | SF | 63 | 0 | 0 | 0 | 0 | 0 | 2 | 0 | -- | .000 | 220 | 48.1 | 45 | 11 | 32 | 2 | 2 | 38 | 2 | 0 | 41 | 35 | 6.52 | 1.59 |
1997 | 3 | 3 | 0 | 0 | 0 | 1 | 2 | 0 | -- | .333 | 64 | 13.1 | 12 | 1 | 14 | 0 | 0 | 14 | 0 | 0 | 12 | 10 | 6.75 | 1.95 | |
1999 | CHC | 3 | 0 | 0 | 0 | 0 | 0 | 0 | 0 | 0 | ---- | 32 | 6.0 | 6 | 1 | 8 | 1 | 0 | 6 | 1 | 0 | 7 | 7 | 10.50 | 2.33 |
2000 | TB | 45 | 0 | 0 | 0 | 0 | 1 | 3 | 1 | 2 | .250 | 265 | 60.2 | 49 | 10 | 39 | 3 | 2 | 73 | 3 | 0 | 33 | 31 | 4.60 | 1.45 |
2001 | 66 | 0 | 0 | 0 | 0 | 2 | 5 | 0 | 15 | .286 | 279 | 62.2 | 51 | 7 | 49 | 5 | 4 | 66 | 4 | 0 | 34 | 30 | 4.31 | 1.60 | |
2002 | 29 | 0 | 0 | 0 | 0 | 2 | 1 | 0 | 4 | .667 | 172 | 37.1 | 39 | 8 | 21 | 1 | 3 | 37 | 2 | 0 | 27 | 26 | 6.27 | 1.61 | |
SEA | 23 | 0 | 0 | 0 | 0 | 1 | 1 | 0 | 1 | .500 | 90 | 18.1 | 18 | 2 | 14 | 1 | 4 | 19 | 2 | 0 | 10 | 10 | 4.91 | 1.75 | |
2002 합계 | 52 | 0 | 0 | 0 | 0 | 3 | 2 | 0 | 5 | .600 | 262 | 55.2 | 57 | 10 | 35 | 2 | 7 | 56 | 4 | 0 | 37 | 36 | 5.82 | 1.65 | |
2003 | TOR | 21 | 0 | 0 | 0 | 0 | 0 | 0 | 0 | 2 | ---- | 69 | 13.2 | 14 | 2 | 12 | 3 | 2 | 11 | 2 | 0 | 6 | 5 | 3.29 | 1.90 |
2005 | DET | 20 | 0 | 0 | 0 | 0 | 0 | 0 | 0 | 1 | ---- | 101 | 22.1 | 27 | 7 | 7 | 0 | 0 | 18 | 0 | 0 | 18 | 17 | 6.85 | 1.52 |
MLB 총계 (9년) | 279 | 3 | 0 | 0 | 0 | 7 | 14 | 1 | 25 | .333 | 1316 | 289.1 | 263 | 49 | 199 | 16 | 17 | 292 | 16 | 0 | 188 | 171 | 5.32 | 1.60 |
- "----"은 기록 없음
- 총계의 "*숫자"는 불명확한 연도가 있음을 의미
5.2.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NPB) Statistics and Records
일본 프로 야구 경력 동안의 연도별 투구 성적과 달성한 특정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방어율 | WHIP |
---|---|---|---|---|---|---|---|---|---|---|---|---|---|---|---|---|---|---|---|---|---|---|---|---|---|
1998 | 한신 | 7 | 6 | 0 | 0 | 0 | 0 | 4 | 0 | -- | .000 | 132 | 28.2 | 23 | 4 | 25 | 0 | 0 | 24 | 0 | 2 | 21 | 18 | 5.65 | 1.67 |
- NPB 투수 기록
- 첫 등판 및 첫 선발 등판: 1998년 4월 5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3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7과 1/3이닝 1실점(자책점 0)으로 승패 없음
- 첫 삼진: 위 경기, 1회말 이노우에 준으로부터
- NPB 타격 기록
- 첫 안타: 위 경기, 3회초 노무라 히로키로부터 중전 안타
5.3. Jersey Numbers
프로 경력 동안 각 팀에서 사용했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 37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95년, 1999년)
- 51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996년 ~ 1997년)
- 21 (한신 타이거스, 1998년)
- 38 (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2000년 ~ 2002년 시즌 중)
- 36 (시애틀 매리너스, 2002년 시즌 중 ~ 2002년 시즌 종료)
- 39 (토론토 블루제이스, 2003년)
- 52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05년)
5.4. Representative Career
- 제18회 미일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미국 대표 (198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