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수 경력
니시카와 료마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서 8년간 활약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성장했고, 2024년부터는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1.1. 프로 입단 전
니시카와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주목받는 야구 선수였으며, 사회인 야구에서 기량을 갈고닦아 프로의 문을 두드렸다.
1.1.1.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니시카와 료마는 시마네현 이즈모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가 역사를 좋아하여 사카모토 료마에서 이름을 따 '료마'라고 지었다. 초등학교 1학년 때 오사카부 오사카시 미나토구로 이사한 후 후쿠자키 양차즈에서 연식 야구를 시작했다. 오사카시립 지쿠코 중학교 재학 중에는 다이쇼 리틀 시니어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중학교 졸업 후 후쿠이현의 쓰루가 게히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경식 야구부에 입단했다. 고등학교 1학년 여름부터 주전 자리를 꿰찼으며, 2학년 가을에는 주장으로 임명되어 호쿠신에쓰 지구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3학년 봄에는 제84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 출전했으나, 우라와 가쿠인 고등학교에 패하며 첫 경기에서 탈락했다. 같은 해 여름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후쿠이 대회 준결승에서는 스가와라 슈가 소속된 후쿠이 공업대학 부속 후쿠이 고등학교에 패했다. 쓰루가 게히 고등학교 야구부의 1년 선배로는 요시다 마사타카가 있으며, 1년 후배로는 다마무라 유스케, 기시모토 준키, 기타 료타가 있다.
1.1.2. 사회인 야구
고등학교 졸업 후 니시카와는 대학 진학 대신 사회인 야구를 선택했다. 그는 "대학에 가면 나태해질 것 같았다. 스스로 돈을 벌면서 야구를 하고 싶었다. 1년이라도 빨리 프로에 가고 싶다는 마음이 강했다"고 밝혔다. 그는 오지 제지에 입사하여 아이치현 가스가이 공장에 배속되었고, 공장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경식 야구부에 입단했다. 3년 차인 2015년에는 3번 타자로 고정되어 제86회 도시 대항 야구 대회 본선에 출전했다. 같은 해 9월에는 사회인 야구 일본 대표팀의 일원으로 제27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1.2.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대
니시카와 료마는 2015년 드래프트에서 히로시마에 지명된 후 2023년까지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1.2.1. 드래프트 및 데뷔
2015년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히로시마 도요 카프로부터 5순위로 지명되었다. 당시 내야수로 지명된 그는 계약금 4000.00 만 JPY, 연봉 750.00 만 JPY (추정치)의 조건으로 입단했다. 등번호는 마루 요시히로와 다나카 고스케가 입단 당시 착용했던 63번을 받았다. 그의 담당 스카우트는 마쓰모토 유사였다. 흥미롭게도 히로시마는 이 드래프트에서 오지 경식 야구부의 후나코시 료타 포수도 4순위로 지명하여 니시카와와 팀 동료가 되었으나, 후나코시는 2019년 히로시마를 떠나 2020년부터 오지 경식 야구부로 복귀했다.
1.2.2. 2016년: 데뷔 시즌
2016년, 니시카와는 정규 시즌 개막을 1군에서 맞이했다. 3월 26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와의 개막 시리즈 2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에서 헥터 루나를 대신해 3루수로 출전하며 프로 공식 경기에 데뷔했다. 이튿날인 3월 27일 같은 경기에서 첫 안타를 3루타로 기록했는데, 이는 NPB가 드래프트 제도를 도입한 1965년 이후 입단한 히로시마 신인 선수 중 처음으로 첫 안타를 3루타로 기록한 사례였다. 7월 14일 프레시 올스타 게임 (구라시키 머스캣 스타디움)에서는 웨스턴 리그 선발팀의 1번 타자 겸 2루수로 풀타임 출전했다. 1군 공식 경기에서는 총 6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94를 기록했다.
1.2.3. 2017년: 첫 홈런과 국가대표 발탁
2017년 4월 30일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DeNA전 8회초, 대타로 기용되어 미카미 도모야로부터 2점 홈런을 터뜨리며 1군 공식 경기에서의 첫 홈런을 기록했다. 시즌 동안 총 98경기에 출전하여 타석 수가 전년의 58타석에서 220타석으로 크게 늘었으며, 5홈런과 장타율 .417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에는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출전했다.
1.2.4. 2018년: 타율 3할 달성과 포지션 변화
2018년, 니시카와는 개막 1군 명단에 들었으나 타격 부진으로 5월 2일부터 20일간 2군에서 조정 기간을 가졌다. 1군 복귀 후에는 좋은 활약을 펼치며 부진했던 아베 도모히로를 대신해 주전 3루수로 자리 잡았다. 타격 면에서는 센트럴 리그의 규정 타석에 도달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3할 타율을 기록하며 팀의 리그 3연패 달성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3루 수비에서는 송구 난조를 보였고, 그해 리그 수비 규정을 충족한 3루수 중 가장 많은 17개의 실책을 기록했다.
1.2.5. 2019년: 외야수 전향 및 기록적인 활약
2019년, 니시카와는 내야수 등록을 유지한 채 외야수로 전향했다. 이는 전년도 후반기에 송구 난조 등으로 인해 아베 도모히로에게 다시 주전 3루수 자리를 내준 것과, 전년도까지 주전 중견수였던 마루 요시히로가 국내 FA 권리 행사를 통해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한 것에 따른 변화였다. 시즌 초반에는 클린업 트리오의 한 축을 맡았으며, 레이와 시대 최초의 공식 경기였던 5월 1일 한신 타이거스전(한신 고시엔 구장)부터 6월 5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전(메트라이프 돔)까지 27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했다. 7월 15일 DeNA전(요코하마 스타디움)부터는 1번 타자 겸 중견수로 고정되었고, 7월 21일 요미우리전, 7월 24일 주니치 드래건스전(모두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7월 27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7월 31일 요미우리전(도쿄 돔)에서 선두 타자 홈런을 기록했다. 그는 '월간 4개의 선두 타자 홈런'이라는 구단 기록과 함께 '4카드 연속 선두 타자 홈런'이라는 일본 프로 야구 공식 경기 신기록을 달성했다. 또한 8월 1군 공식 경기에서 총 42개의 안타를 기록하며 월간 최다 안타 구단 타이 기록을 세웠다. 시즌 내내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며 138경기에 출전,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리그의 규정 타석에 도달했다. 타율은 3할에 약간 못 미치는 .297이었지만,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 홈런(16개)을 기록했다. 수비 면에서는 127경기에서 외야를 지켰고, 본직인 내야에서는 5경기에서 1루수 수비에만 나섰다. 시즌 종료 후 가을 캠프에서는 '니시카와에게 두 가지 포지션을 맡기면 공수 폭이 더욱 넓어진다'는 코칭스태프의 방침에 따라 3루 수비 연습을 다시 시작했다.
1.2.6. 2020년: 부상과 재활
2020년에도 내야수 등록을 유지한 채 사실상 외야수로 기용되었다. 정규 시즌 개막 후 두 달 동안 주로 3번 타자로 나서며 리그 4위인 타율 .318을 기록했다. 8월 25일 DeNA전(요코하마 스타디움)에도 선발 출전했으나 두 타석 만에 교체되었고, 다음 날인 26일 출장 선수 등록이 말소되었다. 구단은 말소 이유를 '컨디션 불량'이라고 발표했으나, 개막 직전부터 오른쪽 발목 통증을 겪었으며, 환부를 무리하게 사용하다가 옆구리 통증까지 발병한 것으로 나중에 밝혀졌다. 그는 약 한 달 반 동안 실전에서 벗어나 한때 3군에서 재활에 전념했다. 정규 시즌 막바지인 10월 11일 1군에 복귀한 후에는 좋은 활약을 펼쳤으며, 10월 18일 야쿠르트전(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에서는 개인 첫 1경기 2홈런을 기록했다. 이튿날인 10월 19일 한신 타이거스전(한신 고시엔 구장)에서는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4번 타자로 기용되어 1군 공식 경기 전 타순 선발 출장을 달성했으며, 3회초 타석에서 2점 선제 적시타를 터뜨리며 전 타순 안타를 기록했다. 최종적으로는 76경기 출전에 그쳐 센트럴 리그의 규정 타석에는 미달했지만, 타율 .304로 시즌을 마쳤다. 11월 11일에는 오른쪽 비골근건 건초 형성술을 받았다. 2021년 개막에 맞춰 수술을 강행했으나, 12월 3일 계약 협상에서는 수술의 원인이 된 오른쪽 발목 부상이 구단으로부터 '공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불과 12분간의 협상 끝에 추정 연봉 6300.00 만 JPY (전년 대비 500.00 만 JPY 감소)의 조건으로 계약을 갱신했으며, 기자회견에서는 "올해는 야구를 한 느낌도, 좋은 이미지도 전혀 없이 '부상과의 싸움'으로 한 해가 끝나버렸다"고 회고했다.
1.2.7. 2021년: 부진 탈출과 꾸준한 활약
2021년, 니시카와는 개막부터 3번 타자를 맡았으며, 3월 26일 주니치 드래건스와의 개막전에서 후쿠타니 고지로부터 1호 홈런을 터뜨렸다. 4월에 5개의 홈런을 기록했으나, 5월 들어 부진에 빠져 7번 타자를 맡는 경기도 있었다. 7월에도 타율이 2할 5푼대에 머물며 부진을 벗어나지 못했다. 후반기에는 더 가벼운 배트로 교체하는 등 변화를 시도했다. 최종적으로 팀 내 최다인 137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86을 기록했으며, 2년 만에 두 자릿수 홈런(12개)을 달성했다. 연봉은 1300.00 만 JPY 인상된 개인 최고액인 7600.00 만 JPY로 계약을 갱신했으며, 등번호 63번을 계속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1.2.8. 2022년: 첫 사요나라 홈런 및 FA 자격 취득
2022년 3월 29일 한신 타이거스전(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에서 1점 뒤진 9회 1사 만루 상황에서 유아사 아쓰키로부터 역전 사요나라 2점 적시타를 터뜨렸다. 5월 7일 DeNA전(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에서는 1-1 동점인 연장 10회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미시마 가즈아키로부터 개인 첫 사요나라 홈런을 기록했다. 그러나 6월 5일 하체 컨디션 불량으로 출장 선수 등록이 말소되었다. 약 두 달 후인 8월 6일에 복귀했으며, 다음 날인 8월 7일 한신전(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3회에는 NPB 레이와 시대 통산 5000번째 홈런을 기록했다. 부상 영향으로 97경기 출전에 그쳤지만, 규정 타석 미달에도 불구하고 타율 .315, 10홈런, OPS .822의 성적을 기록했다. 또한 이 해에 FA 자격을 취득했으나 권리를 행사하지 않고 잔류를 선택했는데, 아라이 다카히로 감독의 존재가 결정적인 요인이었다고 밝혔다. 2023년부터는 등번호를 니시카와가 오지 시절 사용했던 번호이자 그 시즌까지 나가노 히사요시가 착용했던 5번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12월 8일에는 1.20 억 JPY에 계약을 갱신했다.
1.2.9. 2023년: 베스트 나인 수상 및 FA 선언
2023년 7월 4일 한신 타이거스전(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에서 1회 1사 2, 3루 상황에 니시 유키로부터 선제 2점 적시타를, 7회 1사 1, 2루 상황에 가지야 렌으로부터 3점 홈런을 터뜨려 개인 최다인 1경기 5타점을 기록했다. 같은 달 11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도쿄 돔)에서는 6회 2사 1, 3루 타석에서 좌익수 플라이를 친 후 오른쪽 옆구리 통증을 느껴 도중 교체되었다. 검사 결과 '오른쪽 옆구리 근육 파열'로 진단되어 다음 날인 12일 출장 선수 등록이 말소되었고, 이로 인해 올스타전 출전을 포기해야 했다. 8월 8일 출장 선수로 재등록되었고, 같은 날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1회 1사 2루 타석에서 이시카와 마사노리로부터 적시타를 터뜨리며 3년 연속 100안타를 달성했다. 같은 달 23일 DeNA전(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는 1회 1사 2, 3루 타석에서 하마구치 하루히로로부터 선제 적시타를 터뜨려 5경기 연속 타점, 3경기 연속 선제 타점을 기록했다. 9월 2일 주니치 드래건스전에서 다시 오른쪽 옆구리 통증을 느꼈고, 9월 10일 한신전에서는 벤치 멤버에서 제외되었으며, 다음 날인 11일 출장 선수 등록이 말소되었다. 9월 26일 1군에 복귀했으며, 같은 날 주니치전(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1회에 결승타가 되는 2루 땅볼로 팀 내 최다인 56타점을 올렸다. 시즌 총 109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05 (리그 2위), 9홈런, 56타점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센트럴 리그 베스트 나인 외야수 부문에서 처음으로 수상했다. 11월 14일에는 FA를 선언했다.
1.3. 오릭스 버펄로스 시대
니시카와 료마는 2024년부터 오릭스 버펄로스 소속으로 새로운 경력을 시작했다.
1.3.1. 이적 및 계약
2023년 11월 22일, 오릭스 버펄로스와 계약했음이 발표되었다. 그는 고향인 오사카의 구단이라는 점과 후쿠라 준이치 GM 등과의 입단 협상에서 진정성이 느껴진 점이 입단을 결정한 이유라고 밝혔다. 등번호는 고등학교 선배인 요시다 마사타카가 MLB 보스턴 레드삭스로 이적하기 직전인 2022년 시즌에 착용했던 7번을 받았다. 계약은 4년 총액 추정 12.00 억 JPY의 대형 계약이었다.
1.3.2. 2024년 시즌: 새로운 시작
2024년, 이적 후 시범 경기에서는 총 13경기에서 타율 .233 (37타석 7안타), 1홈런, 4타점의 성적을 기록했으며, 개막전 선발 라인업에 포함되었다. 3월 29일 개막전 소프트뱅크전(교세라 돔 오사카)에서 아리하라 고헤이로부터 이적 후 첫 안타를 기록했다. 4월 28일 닛폰햄전(에스콘 필드 홋카이도)에서는 가토 다카유키로부터 이적 후 첫 홈런을 터뜨렸다.
2. 선수로서의 특징
니시카와 료마는 뛰어난 타격 능력과 유연한 포지션 소화 능력을 겸비한 선수로 평가받는다.
2.1. 타격 능력
니시카와는 탁월한 미트 능력과 배트 컨트롤을 자랑한다. 그는 볼로 판정될 만한 원바운드 공이나 인코스 높은 공까지도 안타나 홈런으로 만들어내는 등 그 타격 센스 때문에 '천재'라는 찬사를 받는다. 오지 경식 야구부 시절부터 니시카와를 스카우트했던 마쓰모토 유사 스카우트에 따르면, 사회인 시절에는 아직 몸집이 왜소하여 '평균적인 선수'라는 평가였지만, 당시부터 배트 컨트롤이 매우 유연하고 마에다 도모노리와 비슷한 스윙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2.2. 주력 및 수비
니시카와는 빠른 주력도 겸비하고 있으며, 50m 달리기 기록은 6.0초이다. 히로시마 입단 후 1군 공식 경기에서는 팀 사정에 따라 타순이 자주 변경되었는데, 463경기 만에 처음으로 4번 타자로 기용되기도 했다. 이 시점에서 9번 타자로도 7경기에 출전한 바 있다. 그는 1루수, 2루수, 3루수, 외야수 등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며 팀에 기여했다.

3. 수상 및 기록
니시카와 료마는 프로 경력 동안 여러 주요 수상 경력과 개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3.1. 주요 수상 경력
- 베스트 나인: 1회 (외야수 부문: 2023년)
- 월간 MVP: 1회 (타자 부문: 2019년 8월)
- 월간 사요나라상: 1회 (2022년 3·4월)
3.2. 개인 기록
- 첫 기록
- 첫 출장: 2016년 3월 26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8회초에 헥터 루나를 대신해 3루수로서 출장
- 첫 타석·첫 안타: 2016년 3월 27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3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8회말에 고스기 요타로부터 우중간 3루타
- 첫 타점: 2016년 4월 5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1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8회말에 규코 겐타로로부터 좌전 적시타
- 첫 선발 출장: 2016년 6월 9일,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3차전(삿포로 돔), 8번·지명 타자로 선발 출장
- 첫 홈런: 2017년 4월 30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6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8회초에 라이언 브레이저의 대타로 출장, 미카미 도모야로부터 우월 2점 홈런
- 첫 도루: 2017년 5월 14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8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8회말에 홈스틸(투수: 이누이 마사히로, 포수: 고바야시 세이지) ※2루 주자인 노마 다카요시와 더블 스틸·스퀴즈 번트 실패한 사이에 홈스틸
- 기타 기록
- 월간 4개의 첫회 선두 타자 홈런: 2019년 7월 ※역대 7명째(8번째), 구단 기록
- 4카드 연속 첫회 선두 타자 홈런: 2019년 7월 19일~21일 요미우리전부터 같은 해 7월 30일~8월 1일 요미우리전까지 ※프로 야구 사상 최초
- 전 타순 안타: 2020년 10월 20일, 대 한신 타이거스전(한신 고시엔 구장)
- 올스타 게임 선출: 1회 (2023년) ※오른쪽 외복사근 파열로 출전 사퇴
3.3. 등번호
- 63 (2016년 ~ 2022년)
- 5 (2023년)
- 7 (2024년 ~ )
4. 국가대표 경력
니시카와 료마는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에 여러 차례 선발되어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 2015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일본 국가대표
- 2017년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일본 국가대표 (금메달 획득)
- ENEOS 사무라이 재팬 시리즈 2018 '일본 vs 호주'
5. 개인 생활 및 기타
니시카와 료마는 선수 생활 외적으로도 다양한 활동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5.1. 가족 배경 및 성장 과정
니시카와 료마는 시마네현 이즈모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역사를 좋아하여 사카모토 료마에서 이름을 따 '료마'라고 지었다.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 모두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팬이었다고 한다. 니시카와의 목표는 쓰루가 게히 고등학교 선배이자 자신과 마찬가지로 히로시마에서 내야수로 활약한 뒤 타격 코치로서 니시카와를 지도했던 히가시데 아키히로였다.
히로시마 입단 후, 오른쪽 발목 수술 재활에 전념했던 2020년을 제외하고는 시즌이 끝날 때마다 곤도 겐스케 등과 합동으로 자율 훈련에 임하고 있다.
5.2. 미디어 활동 및 광고
니시카와 료마는 여러 광고와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대외 활동을 펼쳤다.
- 도아 지쇼 광고: 카프 선수 4인 편 (2017년), 아이자와 쓰바사 포수와 함께 출연 (2019년). 도아 지쇼의 이미지 캐릭터를 맡았다.
- 모미지 은행 광고: 2019년, 다나카 고스케와 함께 모미지 은행의 이미지 캐릭터를 맡았다.
- 관련 프로그램:
- '카치카치! TV 첫 꿈 SP ~아라이 씨네 신년회~' (2019년 1월 1일, RCC TV): 깜짝 방문 코너에 출연하여 여자 소프트볼부와 니시카와 팬 초등학생을 깜짝 방문했다.
- '스포라바 신춘 특별 프로그램 나니와 카프 남자 여행 ~역시 고향도 좋아해 SP~' (2020년 1월 2일, TV 신히로시마)
6. 통계 자료
니시카와 료마의 프로 경력 동안의 상세한 타격 및 수비 성적은 다음과 같다.
6.1.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자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4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016 | 히로시마 | 62 | 58 | 51 | 8 | 15 | 3 | 1 | 0 | 20 | 3 | 0 | 1 | 2 | 1 | 4 | 0 | 0 | 9 | 0 | .294 | .339 | .392 | .731 |
2017 | 95 | 220 | 204 | 23 | 56 | 10 | 2 | 5 | 85 | 27 | 4 | 1 | 3 | 2 | 10 | 0 | 1 | 35 | 4 | .275 | .309 | .417 | .725 | |
2018 | 107 | 361 | 327 | 44 | 101 | 22 | 3 | 6 | 147 | 46 | 5 | 3 | 4 | 1 | 27 | 3 | 2 | 51 | 4 | .309 | .364 | .450 | .814 | |
2019 | 138 | 585 | 535 | 70 | 159 | 23 | 3 | 16 | 236 | 64 | 6 | 7 | 11 | 5 | 32 | 4 | 2 | 81 | 9 | .297 | .336 | .441 | .777 | |
2020 | 76 | 328 | 296 | 36 | 90 | 18 | 0 | 6 | 126 | 32 | 6 | 1 | 2 | 0 | 28 | 1 | 2 | 52 | 6 | .304 | .368 | .426 | .794 | |
2021 | 137 | 551 | 504 | 57 | 144 | 19 | 1 | 12 | 201 | 60 | 3 | 3 | 4 | 4 | 37 | 1 | 2 | 70 | 14 | .286 | .335 | .399 | .733 | |
2022 | 97 | 424 | 390 | 60 | 123 | 19 | 3 | 10 | 178 | 53 | 2 | 2 | 0 | 2 | 30 | 4 | 2 | 74 | 8 | .315 | .366 | .456 | .822 | |
2023 | 109 | 443 | 416 | 48 | 127 | 20 | 1 | 9 | 176 | 56 | 7 | 6 | 1 | 4 | 21 | 4 | 1 | 52 | 10 | .305 | .337 | .423 | .760 | |
2024 | 오릭스 | 138 | 553 | 519 | 42 | 134 | 25 | 0 | 7 | 180 | 46 | 11 | 1 | 2 | 4 | 27 | 1 | 1 | 97 | 11 | .258 | .294 | .347 | .641 |
통산: 9년 | 959 | 3523 | 3242 | 388 | 949 | 159 | 14 | 71 | 1349 | 387 | 44 | 25 | 29 | 23 | 216 | 18 | 13 | 521 | 66 | .293 | .337 | .416 | .753 |
- 2024년 시즌 종료 기준
6.2. 연도별 수비 성적
연도 | 소속 | 1루 | 2루 | 3루 | 외야 | ||||||||||||||||||||
---|---|---|---|---|---|---|---|---|---|---|---|---|---|---|---|---|---|---|---|---|---|---|---|---|---|
경기 | 척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척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척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척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16 | 히로시마 | - | 12 | 5 | 8 | 0 | 1 | 1.000 | 27 | 7 | 13 | 1 | 2 | .952 | - | ||||||||||
2017 | - | 4 | 5 | 6 | 2 | 1 | .846 | 48 | 28 | 51 | 2 | 6 | .975 | - | |||||||||||
2018 | 3 | 26 | 0 | 0 | 1 | 1.000 | 1 | 1 | 0 | 0 | 0 | 1.000 | 86 | 47 | 119 | 17 | 10 | .907 | - | ||||||
2019 | 5 | 34 | 1 | 0 | 5 | 1.000 | - | - | 127 | 250 | 3 | 2 | 1 | .992 | |||||||||||
2020 | - | - | - | 74 | 138 | 2 | 1 | 0 | .993 | ||||||||||||||||
2021 | 1 | 2 | 0 | 0 | 1 | 1.000 | - | - | 127 | 241 | 6 | 2 | 3 | .992 | |||||||||||
2022 | - | - | - | 97 | 206 | 4 | 1 | 1 | .995 | ||||||||||||||||
2023 | - | - | - | 109 | 207 | 4 | 2 | 0 | .991 | ||||||||||||||||
2024 | 오릭스 | - | - | - | 132 | 235 | 5 | 3 | 2 | .988 | |||||||||||||||
통산 | 9 | 62 | 1 | 0 | 7 | 1.000 | 17 | 11 | 14 | 2 | 2 | .926 | 161 | 82 | 183 | 20 | 18 | .930 | 666 | 1277 | 24 | 11 | 7 | .992 |
- 2024년 시즌 종료 기준
-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성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