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배경
니시모토 리미는 1994년 10월 25일 일본 효고현에서 태어났다. 혈액형은 A형이며, 키는 154 cm이다. 팬들 사이에서는 '리미린'(りみりん리미린일본어)과 '오리미상'(おりみさん일본어)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1.1. 유년기 및 학창 시절
니시모토 리미는 초등학생 시절 TV 애니메이션 『미르모로 퐁!』을 시청한 후 성우라는 직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애니메이션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는 느낌을 받아 성우를 목표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 학창 시절에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밴드부에서 유포니움과 색소폰을 연주하며 음악적 경험을 쌓았다.
1.2. 음악적 배경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인 니시모토 리미는 3세에 피아노와 일렉톤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14세부터는 기타를 연주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시절에는 밴드부에서 유포니움과 색소폰을 담당하며 다양한 악기를 다루는 능력을 길렀다. 이러한 음악적 배경은 훗날 그녀가 『BanG Dream!』 프로젝트에서 밴드 멤버로 활동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2. 경력
니시모토 리미는 성우와 뮤지션으로서 다채로운 경력을 쌓아왔다. 특히 『BanG Dream!』 프로젝트에서의 활동은 그녀의 경력에 있어 핵심적인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1. 성우 활동 시작
2013년 4월, 니시모토 리미는 부시로드의 프랜차이즈 『밀키 홈즈』의 '시스터즈 멤버 스카우트 오디션' 결승전에 참가했다. 비록 오디션에서는 이토 아야사가 최종 합격하며 낙선했지만, 당시 그녀가 선보인 기타 연주가 부시로드의 대표 키다니 타카아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2014년경, 키다니 타카아키는 새로운 음악 프로젝트 『BanG Dream!』의 캐스팅을 구상하던 중 니시모토 리미를 떠올렸고, 직접 그녀와 가족을 설득하여 베이시스트로 영입했다. 당시 니시모토는 피아노와 기타에 비해 베이스 연주 경험이 가장 적었으나, 역할을 위해 베이스 레슨을 받으며 자세와 현을 누르는 방법을 교정하는 등 열정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2015년 4월 18일, 그녀는 『BanG Dream!』의 첫 라이브 이벤트인 '1st Live "봄, 밴드 시작했습니다!"'에서 Poppin'Party의 멤버이자 캐릭터 '우시고메 리미' 역으로 출연하며 공식적으로 데뷔했다. 같은 해 4월 21일에는 오자키 유카와 함께 연예 기획사 히비키에 정식으로 소속되었음을 발표했다. 2016년에는 애니메이션 『우리들, 라쿠로지부!』에서 '소노사키 운네' 역을 맡으며 TV 애니메이션에 처음으로 출연했다.
2.2. BanG Dream! 프로젝트와 Poppin'Party
니시모토 리미는 『BanG Dream!』 프랜차이즈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녀는 밴드 Poppin'Party의 베이시스트로서 실제 라이브 공연에 참여하며, 애니메이션과 모바일 게임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에서 캐릭터 '우시고메 리미'의 목소리를 연기한다. 흥미롭게도, 우시고메 리미 캐릭터의 일부 성격적 특징은 니시모토 리미 본인의 실제 성격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Poppin'Party는 니시모토 리미를 비롯해 아이미, 이토 아야사, 오오츠카 사에, 오오하시 아야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BanG Dream!』의 음악적 정체성을 대표하는 밴드이다. 니시모토 리미가 우시고메 리미 역으로 부른 캐릭터 송 '초콜릿 저음 레시피'는 2017년 6월 21일 발매되어 오리콘 주간 싱글 차트에서 20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2.3. 주요 애니메이션 및 게임 출연
니시모토 리미는 『BanG Dream!』 시리즈 외에도 다양한 TV 애니메이션, 극장판 애니메이션, 웹 애니메이션 및 비디오 게임에서 폭넓은 연기 활동을 펼쳤다.
2.3.1. TV 애니메이션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
2016 | 우리들, 라쿠로지부! | 소노사키 운네 | |||
2017 | BanG Dream! | 우시고메 리미 | 제1기 | ||
히나로지 ~from Luck & Logic~ | 아모르 | ||||
2018 | 퓨처 카드 신 버디파이트 | 미카도 하루 | 매직 베이시스트 아사기 역할도 겸함 | ||
BanG Dream! 걸파☆피코 | 우시고메 리미 | 제1기 | |||
2019 | BanG Dream! 2nd Season | ||||
버뮤다 트라이앵글 ~컬러풀 파스토랄레~ | 아네슈카 | ||||
2020 | BanG Dream! 3rd Season | ||||
BanG Dream! 걸파☆피코 ~오오모리~ | |||||
어설트 릴리 BOUQUET | 후타가와 후미 | ||||
2021 | 어설트 릴리 후르츠 | 후타가와 후미 | |||
D_CIDE TRAUMEREI THE ANIMATION | 마에시마 토모미 | ||||
진화의 열매 ~모르는 사이 성공한 인생~ | 루루네 | 제1기 | |||
BanG Dream! 걸파☆피코 피버! | 우시고메 리미 | ||||
BanG Dream! It's MyGO | |||||
2022 | BanG Dream! 갈파 5주년 기념 애니메이션 | 우시고메 리미 | |||
2023 | 진화의 열매 ~모르는 사이 성공한 인생~ 제2기 | 루루네 |
2.3.2. 극장 애니메이션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2019 | BanG Dream! FILM LIVE | 우시고메 리미 | |
2021 | BanG Dream! Episode of Roselia I : 약속 | 우시고메 리미 | |
BanG Dream! Episode of Roselia II : Song I am. | |||
2022 | BanG Dream! 포핀드림! |
2.3.3. 웹 애니메이션
- 2021년: 어설트 릴리 후르츠 (후타가와 후미)
2.3.4. 게임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2016 | 환수공주 | 플로라 | |
2017-현재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 우시고메 리미 | |
2018 | 히메가미 에마키 | 스나카케와라시 | |
트리플 몬스터즈 | 에샤 아이엔가 | ||
2019 | 브라운더스트 | 칼레아 | |
2020 | 킹덤 오브 히어로 | 셰이드 | |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Re LIVE- | 우시고메 리미 | ||
2021 | 어설트 릴리 Last Bullet | 후타가와 후미 | |
벽람항로 | KMS 베저 | ||
불명 | 케모미미 메로메로 레시피 | 슈슈 |
2.4. 연극 및 기타 활동
니시모토 리미는 성우 활동 외에도 무대 연극, TV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연기 스펙트럼을 넓혔다.
2.4.1. 무대 연극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2017 | Produce team Office54 낭독극 「학원 데스 패널」 | 출판 역 | |
Dreamcreation presents 리딩 파티 | |||
용사 세이얀의 이야기 (가제) | 카메론 역 | ||
2018 | 무대 「23구 여자-Survive-」 | 치요다구 역 | |
초등교육 로얄 | 6학년 하시모토상 역 | ||
고릴라~GORILLA~ | 사라 역 | 일일 게스트 | |
용사 세이얀의 이야기 ~노스트라담스 남자의 대예언~ | 디플라데니아 역 | ||
어설트 릴리 × 사립 루도비코 여학원 백색 레지스탕스 ~약속의 행방~ | 이치노미야 미카엘라 히마리 역 | ||
나를 먹어라. | 로메로 역 | team B 바이러스, 첫 주연 | |
2019 | 무대판 「마법소녀 (?) 매지컬 자실리카 ♡애니메이션판은 없습니다♡」 | 매지컬 이가 역 | |
제10회 전교 집회 『초등교육 로얄』 | 3번 하시모토상 역 | ||
어설트 릴리 × 사립 루도비코 여학원 「백색 레지스탕스 ~진실의 칼날~」 | 이치노미야 미카엘라 히마리 역 | ||
2020 | 어설트 릴리 League of Gardens | 후타가와 후미 역 | |
어설트 릴리 The Fateful Gift | 후타가와 후미 역 | ||
2022 | 어설트 릴리 Lost Memories | 후타가와 후미 역 | |
어설트 릴리 × 사립 루도비코 여학원 「백색 레지스탕스 ~약속의 행방~」 | |||
2023 | 무대 D4DJ 「아리스가와 학원 문화제 LIVE STAGE」 | 서무 역 | |
2024 | 낭독극 「꿈에서 깨지 않는 꿈을 꾸어라.」 | ||
2025 | 무대 「어설트 릴리 슈투름」 ~상그리즐 편~ | 후타가와 후미 역 |
2.4.2. TV 프로그램
- 2018년 ~ : 오자키 유카 · 니시모토 리미의 『츳코미 부족』 (SHOWROOM)
- 2018년 ~ : 에이트레이드 채널 홍보 프로그램 (&CAST!!!)
- 2019년 ~ 2023년: 니시모토 리미의 『오리미상치.』 (니코니코 생방송)
- 2024년 ~ : 니시모토 리미의 『니시모 ROCK』으로 가는 길 (니코니코 채널 플러스)
2.4.3. 라디오
- 2015년 ~ 2016년: BanG Dream! RADIO!!!!! (HiBiKi Radio Station, 라디오 오사카)
- 2016년 ~ : 뱅드림! 팝핀 라디오! (HiBiKi Radio Station, 라디오 오사카)
- 2018년 ~ : TS ONE UNITED ~니시모토 리미의 초코릿 오리미상~ (TS ONE UNITED)
2.4.4. 드라마
- 2017년 ~ 2018년: 반짝여라! VIVACIOU DASH♡분투편 (치바 TV)
2.4.5. 기타 활동
- 부시모 큐슈 삼국지 「흡수해줄게 편」「고기만두 편」「사귄다면 편」 (CM 실사 출연)
- 2020년: 코믹판 BanG Dream! (우시고메 리미, 보이스 코믹)
- 2021년: 나데시코 동화 「오즈의 마법사」 (서쪽 마녀)
- 영화: 23구 여자-FINAL- (치요다구)
3. 음악 활동
니시모토 리미는 Poppin'Party의 베이스 연주자로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캐릭터 송 발매를 통해 음악적 역량을 선보이고 있다.
3.1. 캐릭터 송
발매일 | 상품명 | 노래 | 곡명 | 비고 | ||||
---|---|---|---|---|---|---|---|---|
2017년 | ||||||||
6월 21일 | TV 애니메이션 「BanG Dream!」 캐릭터 송 Vol.3 우시고메 리미 「초콜릿 저음 레시피」 | 우시고메 리미 (니시모토 리미) | 「초콜릿 저음 레시피」 「Yes! BanG_Dream! ~Acoustic Ver.~」 | TV 애니메이션 『BanG Dream!』 관련곡 | ||||
2018년 | ||||||||
3월 28일 | 두근거림이 멈추지 않아w | 핑크 스프라우트 | 「두근거림이 멈추지 않아w」 「하나, 둘! DE 쾅!」 | 게임 『트리플 몬스터즈』 관련곡 | ||||
2020년 | ||||||||
7월 3일 | Re버스 GO! | 닭고기와 가지의 삼색 스튜 | 「Re버스 GO!」 | TV 애니메이션 『리버스』 엔딩 테마 | ||||
Re버스 GO! Go Go 스튜즈 | 와카미야 치하루 (니시모토 리미) | TV 애니메이션 『리버스』 관련곡 | ||||||
2021년 | ||||||||
1월 27일 | 어설트 릴리 BOUQUET BD 제1권 특전 CD | 이치노미야대 | 「Edel Lilie」 | TV 애니메이션 『어설트 릴리 BOUQUET』 엔딩 테마 | ||||
2월 19일 | 웃으며 Go Go Go | Go Go 스튜즈! | 「웃으며 Go Go Go | 」 | TV 애니메이션 『리버스』 엔딩 테마 | |||
2월 24일 | 어설트 릴리 BOUQUET BD 제2권 특전 CD | 카에데 J. 누벨 (이자와 미카코), 후타가와 후미 (니시모토 리미), 미리암 힐데가르트 v. 그로피우스 (타카하시 카린) | 「릴리♡릴리♡GOGO 릴리♡」 | TV 애니메이션 『어설트 릴리 BOUQUET』 관련곡 | ||||
3월 24일 | 어설트 릴리 BOUQUET BD 제3권 특전 CD | 이치노미야대 | 「GROWING*」 | TV 애니메이션 『어설트 릴리 BOUQUET』 엔딩 테마 | ||||
4월 28일 | 어설트 릴리 BOUQUET BD 제4권 특전 CD | 「너의 손을 놓지 않아 ~BOUQUET Ver.~」 | TV 애니메이션 『어설트 릴리 BOUQUET』 삽입곡 | |||||
5월 26일 | 무대 「어설트 릴리 League of Gardens / 어설트 릴리 The Fateful Gift」 BD 특전 CD | 「연결」 | 무대 『어설트 릴리 League of Gardens』 오프닝 테마 | |||||
「소중함을 세어보자」 | 무대 『어설트 릴리 League of Gardens』 엔딩 테마 | |||||||
이치노미야대, 루도여 선발, 오다이바 선발, 사가미 여자 선발, 헬보르, 어전 (츠쿠이 미나미) | 「너의 손을 놓지 않아」 | 무대 『어설트 릴리 The Fateful Gift』 오프닝 테마 | ||||||
9월 8일 | Edel Lilie (Last Bullet MIX) 이치노미야대 Ver. | 이치노미야대 | 「OVERFLOW」 | 게임 『어설트 릴리 Last Bullet』 관련곡 | ||||
2022년 | ||||||||
2월 9일 | Neunt Praeludium (Last Bullet MIX) 이치노미야대 ver. | 이치노미야대 | 「봉오리 속의 기적」 | 게임 『어설트 릴리 Last Bullet』 관련곡 | ||||
「추억이 넘쳐흐른다」 | 무대 『어설트 릴리 Lost Memories』 테마송 | |||||||
Neunt Praeludium (Last Bullet MIX) Blu-ray 부록 생산 한정판 | 어설트 릴리 Last Bullet | 「봉오리 속의 기적」 | 게임 『어설트 릴리 Last Bullet』 관련곡 | |||||
8월 3일 | Cherish | 이치노미야대 | 「Neunt Praeludium」 「Edel Lilie」 | 『어설트 릴리』 관련곡 | ||||
후타가와 후미 (니시모토 리미) | 「매시브!」 | |||||||
2023년 | ||||||||
11월 8일 | 투명 다이어리/Wish Drop | 이치노미야대 | 「투명 다이어리」 | 게임 『어설트 릴리 Last Bullet』 2주년 테마곡 | ||||
2024년 | ||||||||
2월 7일 | 운명의 트리니티 | 이치노미야대 with 하야카와 미히로 (오오니시 아구리) · 토미나가 마코토 (코이즈미 모에카) | 「Adabana」 | 게임 『어설트 릴리 Last Bullet』 관련곡 | ||||
이치노미야대 | 「Adabana (이치노미야대ver.) 」 | |||||||
2025년 | ||||||||
1월 22일 | CONSTELLAT10N | 이치노미야대 with 이치노미야 유리 (이토 미쿠) | 「CONSTELLAT10N」 | 게임 『어설트 릴리 Last Bullet』 관련곡 |
4. 개인사 및 관심사
니시모토 리미는 2017년에 대학교를 졸업했다. 대학 1학년 때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스페셜리스트 (MOS) 워드 및 엑셀 2급 자격증과 비서 기능 검정 시험 2급을 취득하는 등 학업에도 충실했다.
그녀는 스스로의 성격을 '생진지함'(生真面目마지메일본어)이라고 표현할 만큼 진지하고 성실한 면모를 가지고 있다. 특기로는 노래, 절약, 컴퓨터 활용, 그리고 엘모 성대모사를 꼽는다. 취미는 낮잠, 초콜릿, 그리고 악기 연주이며, 무서운 것을 싫어한다. 특히 좋아하는 음식은 초콜릿 (그 중에서도 킷캣을 가장 좋아한다), 생크림, 고기, 메이플 시럽이다. 1세 생일에 선물로 받은 시마지로 인형을 보물처럼 소중히 간직하고 있으며, 좋아하는 아티스트는 코부쿠로로 매년 그들의 라이브 공연에 참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2023년 11월 4일, 니시모토 리미는 자신이 『그레이브스병』을 앓고 있음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10년 전 한 차례 발병하여 치료 후 증상이 안정되었으나 재발한 것으로, 이로 인해 과도한 신체적 부하가 따르는 운동을 자제하고 있으며, 일부 이벤트 내용 변경이나 무대 출연 취소 등 활동을 조절하고 있다.
5. 평가 및 영향
니시모토 리미는 『BanG Dream!』 프로젝트의 핵심 멤버로서 성우와 뮤지션 양쪽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베이스 연주 경험이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캐릭터를 위해 악기를 숙달하려는 그녀의 노력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으며, 이는 그녀의 직업 의식과 열정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그녀가 연기하는 '우시고메 리미' 캐릭터가 실제 니시모토 리미의 성격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점은 팬들이 캐릭터와 성우 사이의 유대감을 더욱 강하게 느끼게 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이는 『BanG Dream!』 프랜차이즈의 성공에 기여하며, 성우가 단순한 목소리 연기를 넘어 캐릭터의 페르소나를 구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애니메이션, 게임, 무대 연극, 라디오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그녀의 다재다능함은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에서 그녀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2023년 그레이브스병 재발을 공개한 것은 대중에게 자신의 건강 상태를 투명하게 알리는 행보로, 팬들의 지지와 응원을 받고 있다. 그녀의 활동은 일본 성우 업계에서 뮤지션으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흐름 속에서 주목할 만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