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나가오카 히데키(長岡 秀樹나가오카 히데키일본어)는 2001년 9월 26일 지바현 후나바시시에서 태어난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로, 현재 NPB 센트럴 리그 소속팀인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내야수이다. 그는 우투에 좌타이다.
그는 야치요쇼인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19년 드래프트에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5순위로 지명되어 입단했다. 데뷔 초에는 2군 리그에서 주로 활동하며 성장했으나, 2022년 시즌부터 팀의 주전 유격수로 자리매김하며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하는 등 뛰어난 수비력을 선보였다. 2024년 시즌에는 타격에서 큰 발전을 이루며 최다 안타 타이틀을 획득, 팀의 핵심 선수로 도약했다. 그의 플레이 스타일은 공수주 삼박자를 갖춘 균형 잡힌 내야수로 평가받으며, 특히 과감한 타격과 정확한 송구 능력, 그리고 넓은 수비 범위가 강점이다. 개인적으로는 고등학교 1학년 때 백혈병을 앓던 어머니에게 골수를 기증하며 깊은 가족애를 보여주기도 했다.
2. 선수 경력 이전
나가오카 히데키는 어린 시절부터 야구에 대한 열정을 키웠으며, 고교 시절에는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프로 입단의 기틀을 다졌다.
2.1. 유년 시절 및 교육
나가오카 히데키는 2001년 9월 26일 지바현 후나바시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후나바시 시립 코와가마 초등학교 1학년 때 학원 야구팀인 習志野台ワンパクズ나라시노다이 완파쿠즈일본어에 가입하며 야구를 시작했다. 그가 야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중학교 교사이자 야구부 감독이었던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서였다. 이후 후나바시 시립 오아나 중학교에서는 연식 야구부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2.2. 고교 야구 활동
야치요쇼인 고등학교에 진학한 나가오카는 1학년 때부터 주전으로 활약하며 팀의 '1번 타자 겸 유격수'를 맡았다. 비록 고시엔 대회 본선에는 출전하지 못했지만, 3학년 여름 지바 대회에서는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특히 4회전 센다이 마쓰도와의 경기에서는 横山陸人요코야마 리쿠토일본어 투수로부터 홈런을 때려내는 등 뛰어난 타격 능력을 선보였다. 팀은 결승전에서 나라시노 고등학교에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으나, 그의 활약은 프로 스카우트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당시 1학년 선배였던 清宮虎多朗기요미야 고타로일본어를 보러 왔던 스카우트들이나 센다이 마쓰도전에서 요코야마를 보러 왔던 스카우트들의 눈에 띄면서 프로 구단들로부터 관심을 받게 되었다.
2.3. 프로 지명
2019년 10월 17일에 개최된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로부터 5순위 지명을 받았다. 같은 해 11월 13일에는 계약금 250.00 만 JPY, 연봉 50.00 만 JPY(추정치)에 가계약을 맺고 입단했으며, 등번호는 58번으로 결정되었다. 그의 담당 스카우트는 丸山泰嗣마루야마 야스시일본어였다.
3. 프로 경력
나가오카 히데키는 2020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한 이후 꾸준한 성장을 거쳐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3.1. 데뷔 및 초기 활동 (2020년~2021년)
2020년 시즌에 나가오카는 주로 2군 리그에서 활동했다. 2군에서 71경기에 출전하여 규정 타석을 채웠고, 타율 .219, 2홈런, 26타점의 성적을 기록했다. 2군에서는 같은 시기에 입단한 武岡龍世다케오카 류세이일본어와 함께 2루수와 유격수로 자주 이루타 콤비를 이뤘다. 시즌 막바지에 1군에 처음으로 승격되어 10월 30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경기(도쿄 돔)에서 '8번 타자 겸 2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今村信貴이마무라 노부타카일본어로부터 좌전 안타를 기록하며 프로 데뷔 첫 안타를 신고했다. 1군에서는 총 6경기에 출전하여 1안타, 타율 .083을 기록했다.
2021년 시즌에는 3월 31일 1군에 등록되었으나, 4월 5일에 등록 말소되었다. 이 해에도 1군에서는 5경기에 출전하여 안타를 기록하지 못했지만, 2군에서는 전년도를 넘어서는 8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61, 7홈런을 기록하며 2군에서 많은 경험을 쌓았다.
3.2. 도약의 시즌 (2022년)
2022년 시즌에는 시범 경기에서 팀 내 2위에 해당하는 5타점을 기록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개막 엔트리에 합류했다. 교세라 돔 오사카에서 열린 한신 타이거스와의 개막전에서는 '6번 타자 겸 유격수'로 선발 출장하여, 7점 뒤지고 있던 6회초 후지나미 신타로로부터 적시타를 때려내며 프로 데뷔 첫 타점을 기록했고, 이 경기에서 4안타를 몰아치며 팀의 역전승을 이끌었다.
초반에는 2할대 타율을 유지했지만, 안정적인 수비와 함께 주전 유격수 후보였던 西浦直亨니시우라 나오하루일본어와 元山飛優모토야마 히유일본어의 2군 부진으로 인해 계속해서 선발 출장 기회를 얻었다. 5월 6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경기(도쿄 돔)에서는 高梨雄平다카나시 유헤이일본어로부터 프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다. 이후 주전 포수 中村悠平나카무라 유헤이일본어가 1군에 복귀하고 상위 타선이 안정화되면서 8번 타자로 고정되었고, 5월에는 3할 이상의 타율을 기록하는 등 타격감도 상승했다. 시즌 중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잠시 이탈하기도 했지만, 주전 유격수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며 9홈런을 기록했다. 비록 두 자릿수 홈런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개인 첫 규정 타석을 달성하는 등 크게 비약한 한 해가 되었다.
수비에서는 구단 역사상 최연소로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으며,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유격수로는 2003년 미야모토 신야 이후 19년 만의 수상이었다. 11월 27일 열린 팬 감사 행사에서 등번호가 7번으로 변경될 것이 발표되었다. 12월 7일에는 전년도 연봉인 600.00 만 JPY에서 2700.00 만 JPY 인상된 추정 연봉 3300.00 만 JPY에 계약을 갱신했다.
3.3. 꾸준한 활약 (2023년)
2023년 시즌에도 나가오카는 개막부터 주전 유격수로서 팀에 기여했다. 5월 5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와의 경기(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는 1점 뒤지고 있던 9회말 2사 상황에서 야마자키 야스아키로부터 개인 첫 끝내기 홈런을 터뜨렸다. 시즌 총 135경기에 출전했으며, 수비율은 .986으로 리그 최고 기록을 달성하며 뛰어난 수비력을 유지했다. 그러나 타격에서는 타율 .227(규정 타석 달성자 27명 중 최하위), 3홈런으로 전년도에 비해 부진했다.
시즌 종료 후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에서 3루수 수비에 도전했으나, 10월 25일 경기 중 좌익수 澤井廉사와이 렌일본어과 충돌하여 긴급 후송되는 사고를 겪었다. 이로 인해 11월에 진행된 가을 캠프에는 불참했다. 12월 12일에는 800.00 만 JPY 인상된 추정 연봉 4100.00 만 JPY에 계약을 갱신했다.
3.4. 타격왕 등극 (2024년)
2024년 시즌에는 야수진에 부상자가 속출하는 가운데서도 개막부터 주전 유격수로 꾸준히 출전하며 팀을 이끌었다. 팬 투표로 3년 연속 올스타전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7월 28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는 栗林良吏구리바야시 료지일본어로부터 역전 끝내기 2루타를 기록했고, 8월에는 타율 .384, 38안타를 기록하며 맹타를 휘둘렀다. 9월 29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는 平内龍太히라이 류타일본어로부터 끝내기 안타를 때려내는 등 공수 양면에서 존재감을 과시했다.
그는 팀 동료인 村上宗隆무라카미 무네타카일본어와 함께 전 경기에 유격수로 선발 출장하여 타율 .288, 163안타로 개인 통산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지카모토 고지나 아키야마 쇼고 등과의 안타왕 경쟁에서 승리하며 최다 안타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선수로서는 2015년 가와바타 신고 이후 9년 만의 기록이자, 그의 첫 번째 개인 타격 타이틀이었다. 12월 20일에는 5100.00 만 JPY 인상된 추정 연봉 9200.00 만 JPY에 계약을 갱신하며 두 배 이상의 연봉 인상을 이뤄냈다. 같은 해 스카파! 드라마틱 사요나라상 연간 대상을 수상했다.
4. 선수 특성

나가오카 히데키는 주루, 타격, 수비 모두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내야수이다. 타격에서는 과감한 스윙과 함께 넓은 타격 범위로 공을 코스별로 정확하게 때려내는 센스가 돋보이며, 승부처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준다. 고교 시절에는 통산 19개의 홈런을 기록했으며, 50m 달리기는 6.1초를 기록할 정도로 빠른 발을 가지고 있다.
유격수로서 그는 포구에서 송구까지 군더더기 없는 동작을 보여주며, 타구의 바운드를 맞추기 위해 미리 수비 위치를 깊게 잡는 특징이 있다. 이는 그의 안정적인 수비의 비결로 꼽힌다.
5. 개인 생활
나가오카 히데키는 팀 내에서 岡ちゃん오카짱일본어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今宮健太이마미야 겐타일본어를 자신의 롤 모델로 꼽았다. 그는 "이마미야 선수는 프로 야구 선수로서 체구는 작지만 좋은 성적을 남기셨고, 저도 체구가 크지 않지만 그분처럼 할 수 있다면 저에게 꿈을 준 목표 선수입니다"라고 언급하며 존경심을 표했다. 프로 입단 후에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中村晃나카무라 아키라일본어와 함께 개인 훈련을 하며 그를 동경하게 되었다. 특히 주전으로 처음 성과를 낸 2022년 오프시즌에 나카무라 아키라와 같은 등번호 7번으로 변경했다.
나가오카에게는 감동적인 가족 이야기가 있다. 고등학교 1학년 때 그의 어머니가 백혈병 진단을 받았다. 이때 그는 기꺼이 골수 기증자가 되어 어머니에게 골수를 이식했다. 백혈구 증가를 위한 주사는 심한 요통을 동반하여 당시 일주일 넘게 그라운드에 나설 수 없는 고통을 겪었지만, 그는 "어머니가 혹시라도 돌아가실 수도 있다는 두려움은 있었지만, 저 자신에 대한 두려움은 없었습니다"라고 말하며 즉시 기증자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6. 수상 및 기록
나가오카 히데키가 프로 경력 동안 공식적으로 획득한 타이틀, 수상 내역 및 주요 개인 기록들은 다음과 같다.
6.1. 타이틀 및 수상
- 타이틀
- 최다 안타: 1회 (2024년)
- 수상
- 베스트 나인: 1회 (유격수 부문: 2024년)
- 골든 글러브상: 1회 (유격수 부문: 2022년)
- 스카파! 드라마틱 사요나라상 연간 대상: 1회 (2024년)
- 월간 스카파! 드라마틱 사요나라상: 2회 (2023년 5월, 2024년 7월)
6.2. 주요 기록
- 첫 출장·첫 선발 출장: 2020년 10월 23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21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7번 타자 겸 2루수'로 선발 출장
- 첫 타석: 상동, 2회말 Ariel Rodríguez야리엘 로드리게스스페인어로부터 좌익수 뜬공
- 첫 안타: 2020년 10월 30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0차전 (도쿄 돔), 5회초에 今村信貴이마무라 노부타카일본어로부터 좌전 안타
- 첫 타점: 2022년 3월 25일, 대 한신 타이거스 1차전 (교세라 돔 오사카), 6회초에 藤浪晋太郎후지나미 신타로일본어로부터 우중간 적시 2루타
- 첫 홈런: 2022년 5월 6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7차전 (도쿄 돔), 9회초에 高梨雄平다카나시 유헤이일본어로부터 우월 2점 홈런
- 첫 도루: 2022년 6월 17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7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8회말에 2루 안착 (투수: 塹江敦哉호리에 아쓰야일본어, 포수: 中村奨成나카무라 쇼세이일본어)
6.3. 기타 기록
- 올스타전 출장: 3회 (2022년, 2023년, 2024년)
7. 연도별 성적
7.1. 타격 성적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자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 4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020 | 야쿠르트 | 6 | 13 | 12 | 0 | 1 | 0 | 0 | 0 | 1 | 0 | 0 | 0 | 1 | 0 | 0 | 0 | 0 | 3 | 1 | .083 | .083 | .083 | .167 |
2021 | 5 | 10 | 9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4 | 0 | .000 | .100 | .000 | .100 | |
2022 | 139 | 548 | 511 | 44 | 123 | 22 | 0 | 9 | 172 | 48 | 2 | 3 | 10 | 3 | 20 | 1 | 4 | 72 | 10 | .241 | .273 | .337 | .610 | |
2023 | 135 | 488 | 445 | 43 | 101 | 19 | 1 | 3 | 131 | 35 | 4 | 2 | 7 | 2 | 29 | 5 | 5 | 57 | 11 | .227 | .281 | .294 | .575 | |
2024 | 143 | 611 | 566 | 63 | 163 | 25 | 1 | 6 | 208 | 58 | 4 | 1 | 10 | 3 | 29 | 2 | 3 | 70 | 6 | .288 | .324 | .367 | .692 | |
통산: 5년 | 428 | 1670 | 1543 | 150 | 388 | 66 | 2 | 18 | 512 | 141 | 10 | 6 | 28 | 8 | 79 | 8 | 12 | 206 | 28 | .251 | .292 | .332 | .624 |
- 2024년 시즌 종료 기준
-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성적
7.2. 수비 성적
연도 | 소속 | 2루 | 유격 | ||||||||||
---|---|---|---|---|---|---|---|---|---|---|---|---|---|
경기 | 척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척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20 | 야쿠르트 | 4 | 3 | 8 | 2 | 0 | .846 | - | |||||
2021 | 1 | 0 | 1 | 0 | 0 | 1.000 | 2 | 4 | 2 | 0 | 1 | 1.000 | |
2022 | - | 139 | 227 | 419 | 13 | 105 | .980 | ||||||
2023 | - | 132 | 207 | 368 | 8 | 81 | .986 | ||||||
2024 | - | 143 | 216 | 415 | 9 | 93 | .986 | ||||||
통산 | 5 | 3 | 9 | 2 | 0 | .857 | 416 | 654 | 1204 | 30 | 280 | .984 |
- 2024년 시즌 종료 기준.
-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성적.
- 연도에서 굵은 글씨는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 수상 연도
8. 등번호
- 58 (2020년 ~ 2022년)
- 7 (2023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