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나가시마 히로아키(長島 裕明Nagashima Hiroaki일본어, 1967년 3월 22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감독이다. 그는 가나가와현 출신으로, 선수 시절에는 주로 보란치, 수비형 미드필더 및 수비수로 활약했다. 일본대학을 졸업한 후 후지타 공업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보냈으나, 선수로서의 공식 경기 출장은 많지 않았다. 은퇴 후 지도자의 길을 걸으며, 특히 유소년 선수 육성과 J리그 클럽의 J1 승격에 크게 기여하며 일본 축구계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의 지도 아래 FC 도쿄 유소년 팀에서는 수많은 유망주들이 발굴되어 프로 무대에 데뷔했고, 몬테디오 야마가타, FC 도쿄, 도쿠시마 보르티스 등 여러 팀의 J1 승격을 이끌며 '승격 전문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현재는 도치기 SC의 수석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2. 선수 경력 및 초기 생애
나가시마 히로아키는 선수 시절에는 '초상(チョーさん)'이라는 애칭으로 불렸으며, 오른발잡이였다. 그의 키는 174 cm, 몸무게는 65 kg이다.
2.1. Early life and education
나가시마 히로아키는 1967년 3월 22일 일본 가나가와현에서 태어났다. 그는 일본대학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대학에 진학하여 교육 과정을 마쳤다. 1989년 일본대학을 졸업했다.
q=Kanagawa Prefecture|position=right
2.2. Professional playing career
일본대학을 졸업한 나가시마 히로아키는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쇼난 벨마레의 전신인 후지타 공업 축구부에서 선수로 활동했다. 그는 보란치, 수비형 미드필더, 수비수 등의 포지션을 소화했다. 그러나 공식 리그 경기에서는 출장 기록이 없다.
일본 | 리그전 | JSL컵 | 천황배 | 기간 통산 | |||||||
---|---|---|---|---|---|---|---|---|---|---|---|
연도 | 클럽 | 등번호 | 리그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1989-90 | 후지타 | 24 | JSL 1부 | 0 | 0 | 0 | 0 | 3 | 0 | 3 | 0 |
1990-91 | 28 | JSL 2부 | 0 | 0 | 0 | 0 | 0 | 0 | 0 | 0 | |
총 통산 | 0 | 0 | 0 | 0 | 3 | 0 | 3 | 0 |
3. Coaching career
선수 은퇴 후 1991년부터 지도자의 길을 걷기 시작한 나가시마 히로아키는 다양한 연령대와 리그 수준의 팀에서 경력을 쌓았다. 그의 지도자 경력은 초기 코치직부터 유소년 팀, 성인 팀의 수석 코치, 그리고 감독직까지 포괄하며, 특히 유소년 선수 육성과 팀의 J1 승격에 크게 기여했다.
3.1. Early coaching positions
나가시마 히로아키는 24세의 나이인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일본대학 축구부 코치로 부임하며 초기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당시 그는 오카노 마사유키, 아리마 겐지, 야마기시 노리유키, 오카모토 류고 등 여러 선수들을 지도했다. 그는 합숙소에 선수들과 함께 거주하며 지도에 전념했고, 당시 감독이 부재하는 날이 많아 실질적인 전권을 위임받았다. 부임 첫해에 팀은 간토 대학 리그 1부로 승격하는 성과를 올렸으나, 이듬해 강등되자 그는 "코치로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겠다"는 굳은 의지로 일본대학 축구부 코치직을 사임했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는 도쿄 미나토구의 킨더 젠코 축구 클럽에서 파트타임 코치로 활동했으며, 이 시기에 도쿠라 켄과 같은 선수들이 소속되어 있었다. 같은 기간 동안 오타 구립 고지야 중학교 축구부 코치를 겸임하며 4세부터 15세에 이르는 어린 선수들을 지도했다. 1994년에는 모교인 일본대학 고등학교에서 보건체육 강사로 재직하며 축구부 코치를 겸임했고, 4세부터 18세까지의 선수들을 2년간 담당했다. 1995년에는 인터하이 전국 대회에 팀을 출전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q=Tokyo|position=right
3.2. Youth team coaching
나가시마 히로아키는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도쿠시마 보르티스의 전신인 오츠카 제약 축구부의 코치 및 U-15 감독을 역임했다.
1999년부터 2007년까지는 FC 도쿄에서 유소년 지도자로 활동하며 일본 축구계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 FC 도쿄 U-15 감독 (1999년-2002년)**: 카지야마 요헤이, 요시모토 카즈노리, 무쿠하라 켄타, 마루야마 유이치, 곤다 슈이치, 히로나가 료타로, 카마다 지로, 소메야 유타, 오타케 요헤이, 미야사카 마사키, 이자와 아츠시, 오카다 쇼헤이, 모리무라 코타, 나카노 료타로, 타나카 소이치, 무라타 쇼 등 수많은 선수들을 지도했다. 또한, 미타 히로타카, 로쿠히라 코세이, 후지와라 코타로, 야마무라 유키, 이노우에 료타, 이와부치 료타, 미야자와 유키 등을 발굴했다. 2001년에는 일본 클럽 유스 축구 선수권 (U-15)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02년 리스본에서 열린 나이키 프리미엄 컵 세계 대회에서 6위를 기록했다.
- FC 도쿄 U-18 감독 (2003년-2005년)**: 카지야마 요헤이, 오장은, 이충성, 카마다 지로 등 유망주들을 FC 도쿄 톱 팀으로 배출했다. 이 시기 미야자키 토모히코, 토키와 사토시 등도 지도했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는 FC 도쿄 육성부 부장 대리로 재직했으며, 이 기간 중 JFA 공인 S급 코치 자격증을 취득했다.
3.3. Senior team coaching (assistant)
나가시마 히로아키는 유소년 팀에서의 성공적인 경력을 바탕으로 여러 J리그 성인 팀에서 코치 및 수석 코치로 활동하며 팀의 발전에 기여했다.
- 몬테디오 야마가타 (2008년-2010년)**: 2008년 톱 팀 코치로 부임하여 소바야시 신지 감독의 '오른팔'로서 젊은 선수 육성과 함께 영상 분석 및 스카우팅 업무를 담당했다. 그의 도움으로 바바 유타가 몬테디오 야마가타로 이적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이 해 팀은 리그 2위를 차지하며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J1으로 승격했다. 2009년부터 2010년까지는 수석 코치로서 팀의 성장을 뒷받침하여 2년간 J1 리그 잔류에 성공했다. 2010년 계약 만료와 함께 팀을 떠나 FC 도쿄로 복귀했다.
q=Yamagata Prefecture|position=right
- FC 도쿄 (2011년-2012년)**: 2011년 FC 도쿄의 코치로 다시 부임하여 출전 기회가 적었던 선수들과 소통하며 경쟁 의식과 팀워크를 고취시켰다. 이를 통해 다카하시 히데토와 같은 선수들의 성장을 이끌며 팀의 전반적인 기량 향상에 기여했다. 이 해 FC 도쿄는 J2리그에서 우승하여 J1으로 승격했고, 천황배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에는 수석 코치로서 포포비치 감독을 보좌하며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도쿠시마 보르티스 (2013년-2015년, 수석 코치)**: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도쿠시마 보르티스의 수석 코치로 부임하며 15년 만에 구단으로 복귀했다. 소바야시 신지 감독과 다시 한번 호흡을 맞추며 '골든 콤비'로 불렸고, 구단 역사상 최초로 J1리그 승격에 기여했다. 그는 코치로서 다른 팀에서 세 차례에 걸쳐 J2에서 J1으로 승격하는 데 성공했다.
q=Tokushima|position=left
- FC 기후 (2017년-2018년, 수석 코치)**: 2017년 J2리그의 FC 기후 수석 코치로 취임하여 오오키 타케시 감독의 핵심 보좌관으로 팀을 지원했다. 당시 팀에는 쇼지 에츠히로, 후쿠무라 타카유키, 타모리 타이키, 카자마 코야, 후루하시 쿄고, 시시뉴, 빅토르, 야마기시 유야, 이시카와 다이치, 나가누마 요이치, 시마무라 타쿠야 등의 선수들이 있었다. 2018년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났다.
- 마쓰모토 야마가 FC (2019년, 코치)**: 2019년 J1리그의 마쓰모토 야마가 FC 톱 팀 코치로 부임하여 소리마치 야스하루 감독 아래에서 젊은 선수 육성을 담당했다. 해당 시즌 팀은 J1에서 강등되었고, 소리마치 감독의 사임과 함께 팀을 떠났다.
- 기라반츠 기타큐슈 (2020년-2021년, 코치; 2023년, 수석 코치)**: 2020년 기라반츠 기타큐슈의 코치로 취임하며 소바야시 신지 감독과 세 번째로 함께 일하게 되었다. 주로 백업 선수들과 젊은 선수들의 육성 및 개인 성장에 주력했다. 당시 디사로 산 실버노, 마치노 슈토, 타카하시 다이고, 후지와라 소야, 이코마 진 등의 선수들이 소속되어 있었다. 2021년 12월 21일 도쿄 베르디로 이적했으며, 2022년 12월 26일 도쿄 베르디를 떠나 다시 기라반츠 기타큐슈의 수석 코치로 취임했다. 2023년 11월 22일 기라반츠 기타큐슈 수석 코치직에서 물러났다.
- 도쿄 베르디 (2022년, 코치)**: 2021년 12월 21일 도쿄 베르디의 코치로 부임하여 주로 수비력 강화에 집중했다. 전체 훈련 후에는 타니구치 에이토, 바바 하루야, 사코 마레 등 수비진 선수들의 개인 전술 훈련을 지도했다. 2022년 12월 26일 도쿄 베르디 코치직에서 퇴임했다.
- BG 빠툼 유나이티드 FC (2024년 1월-5월, 수석 코치)**: 2023년 12월 26일 태국 1부 리그의 BG 빠툼 유나이티드 FC 수석 코치로 부임했다. 테구라모리 마코토 감독을 보좌하여 리그 4위와 함께 레보 컵에서 구단 역사상 첫 우승을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
- 도치기 SC (2024년 6월-, 수석 코치)**: 2024년 6월 18일 도치기 SC의 수석 코치로 취임하여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3.4. Managerial role
나가시마 히로아키는 2016년 도쿠시마 보르티스의 감독으로 승격했다. 시즌 초반에는 시행착오를 겪으며 팀이 부진했지만, 후반전에는 전술이 안정화되면서 공수 양면에서 좋은 흐름을 보이며 팀을 회복시켰다. 구단 수뇌부는 그의 공헌을 인정했지만, J1 승격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한 점과 그가 표명한 사임 의사를 존중하여 2016년 말 계약을 갱신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4. Statistics
나가시마 히로아키의 선수 및 감독/코치로서의 공식 기록은 다음과 같다.
4.1. Playing statistics
선수 시절 나가시마 히로아키의 리그 및 컵 대회 출장 기록은 다음과 같다. 그는 공식 리그 경기에서는 출장 기록이 없다.
일본 | 리그전 | JSL컵 | 천황배 | 기간 통산 | |||||||
---|---|---|---|---|---|---|---|---|---|---|---|
연도 | 클럽 | 등번호 | 리그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1989-90 | 후지타 | 24 | JSL 1부 | 0 | 0 | 0 | 0 | 3 | 0 | 3 | 0 |
1990-91 | 28 | JSL 2부 | 0 | 0 | 0 | 0 | 0 | 0 | 0 | 0 | |
총 통산 | 0 | 0 | 0 | 0 | 3 | 0 | 3 | 0 |
4.2. Managerial and coaching statistics
나가시마 히로아키가 감독 및 코치로 활동했던 팀들의 공식 경기 통계는 다음과 같다.
연도 | 클럽 | 소속 | 리그전 | 컵대회 | ||||||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나비스코컵 | 천황배 | |||
2003 | FC 도쿄 U-18 | 프린스 리그 간토 | 10위 | 14 | 9 | 4 | 2 | 3 | - | - |
2004 | 도쿄도 U18 톱 | 우승 | 16 | 6 | 5 | 1 | 0 | - | - | |
2005 | TFA T1 U18 | 우승 | 29 | 11 | 9 | 2 | 0 | - | - | |
2016 | 도쿠시마 | J2 | 9위 | 57 | 42 | 16 | 9 | 17 | - | 3회전 |
통산 | 일본 | J2 | - | - | 42 | 16 | 9 | 17 | - | - |
일본 | 프린스 간토 | - | - | 9 | 4 | 2 | 3 | - | - | |
일본 | 도쿄도 U18 | - | - | 17 | 14 | 3 | 0 | - | - | |
총 통산 | - | - | 68 | 34 | 14 | 20 | - | - |
5. Legacy and influence
나가시마 히로아키는 일본 축구계에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유산과 영향을 남겼다.
첫째, 그는 **유소년 선수 육성**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일본대학 축구부 코치 시절부터 FC 도쿄 유소년 팀 (U-15, U-18) 감독, 그리고 이후 여러 성인 팀 코치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어린 선수들의 성장에 집중했다. FC 도쿄에서는 그의 지도 아래 카지야마 요헤이, 곤다 슈이치, 마루야마 유이치 등 수많은 유소년 선수들이 톱 팀으로 승격하거나 프로 무대에 데뷔하는 기회를 얻었다. 그는 단순히 기술 훈련을 넘어 선수 개개인의 잠재력을 발굴하고 프로 의식을 함양하는 데 힘썼으며, 나이키 프리미엄 컵 6위와 일본 클럽 유스 축구 선수권 (U-15) 대회 준우승과 같은 유소년 대회 성과로 그의 육성 능력을 입증했다. JFA 공인 S급 코치 자격 취득 또한 그의 전문성을 보여준다.
둘째, 그는 **J1리그 승격에 기여하는 '승격 전문가'**로서의 명성을 얻었다. 몬테디오 야마가타 코치 시절 팀의 J1 승격을 도왔고, FC 도쿄 코치 시절에는 팀의 J2리그 우승 및 J1 승격, 그리고 천황배 우승에 기여했다. 특히 소바야시 신지 감독과 함께한 도쿠시마 보르티스에서는 '골든 콤비'로 불리며 구단 역사상 최초의 J1 승격을 이끌었다. 그는 총 세 차례에 걸쳐 다른 팀을 J2에서 J1으로 승격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팀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어 상위 리그로 이끄는 데 탁월한 역량을 발휘했다. 그의 이러한 기여는 단순히 성적을 넘어, 팀의 체질 개선과 젊은 선수들의 성장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