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김형일(金亨鎰한국어, 1984년 4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 주로 수비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인천광역시 출신인 그는 프로 경력 동안 대전 시티즌, 포항 스틸러스, 상주 상무 피닉스, 전북 현대 모터스 등 여러 국내 팀을 거쳤으며, 해외에서는 중국 슈퍼리그의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와 태국의 시암 네이비 FC에서도 잠시 뛰었다. 터프하고 저돌적인 수비 스타일로 인해 '글래디에이터'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K리그와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경험하는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2. 유년기 및 학력
김형일은 1984년 4월 27일,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축구 선수로서의 재능을 보였으며, 부평동중학교와 부평고등학교를 거쳐 경희대학교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그의 신장은 187 cm이고, 체중은 83 kg이다.
3. 선수 경력
김형일은 2007년 프로에 데뷔한 이후 꾸준히 활약하며 국내외 무대에서 수비수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그의 선수 경력은 클럽 활동과 국가대표팀 활동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3.1. 클럽 경력
김형일은 대한민국의 여러 K리그 팀에서 핵심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잠시 중국과 태국 리그를 경험하기도 했다.
3.1.1. 초기 클럽 경력
2007년, 김형일은 대전 시티즌에 입단하며 프로 축구 선수로서 첫발을 내디뎠다. 그는 데뷔 시즌부터 인상적인 활약을 펼치며 K리그 신인상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수원 삼성의 하태균 선수에게 밀려 아쉽게 수상은 불발되었다. 2008년 시즌 중반, 그는 권집 선수와의 맞트레이드를 통해 포항 스틸러스로 이적했다. 포항 스틸러스 이적 후, 김형일은 팀의 핵심 수비수로 빠르게 자리 잡았다. 특히 2009년에는 AFC 챔피언스리그 2009에서 알 이티하드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둔 결승전에서 1-0으로 앞서던 후반전에 쐐기골을 헤딩으로 성공시키는 등 팀의 우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활약으로 그는 우즈베키스탄의 FC 부뇨드코르와 잉글랜드의 버밍엄 시티로부터 영입 제안을 받으며 주목받기도 했다. 하지만 2011년 시즌에는 주전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이전 시즌에 비해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다.
3.1.2. 군 복무 기간
2011 시즌 종료 후, 김형일은 군 복무를 위해 상주 상무 피닉스에 입단했다. 그는 상주 상무 피닉스 소속으로 K리그 챌린지 2013에서 팀의 우승에 크게 기여했으며, 그 해 K리그 챌린지 베스트 11 수비수 부문에 선정되며 개인적인 역량도 인정받았다. 2013년 11월 12일, 군 복무를 성공적으로 마친 그는 원 소속팀인 포항 스틸러스로 복귀했다.
3.1.3. 후기 클럽 경력 및 이적
포항 스틸러스로 복귀한 김형일은 상하이 선화와 이적 협상을 벌였으나 최종적으로 불발되어 포항에 잔류했다. 2015 시즌을 앞두고 그는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며 새로운 팀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016년 시즌이 끝난 후 자유계약선수가 되었고, 2016년 12월 23일 중국 슈퍼리그의 강호인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와 6개월 단기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 당시 이적은 부상으로 이탈한 김영권 선수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김형일은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에서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고, 김영권 선수가 예상보다 빨리 부상에서 회복함에 따라 2017년 6월 계약이 해지되었다. 2017년 6월 29일, 그는 K리그2 소속의 부천 FC 1995로 이적하여 반년간 활약했다. 2019년 전반기에는 소속팀 없이 지내다가 태국의 시암 네이비 FC로 이적하여 다시 반년간 선수 활동을 한 후 은퇴를 선언했다.
3.2. 국가대표팀 경력
김형일은 2009년 3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며 태극마크를 달았다. 그는 2009년 6월 3일 UAE 두바이에서 열린 오만과의 친선 경기에서 A매치에 데뷔했다. 또한 그는 2010년 FIFA 월드컵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최종 명단에 포함되어 월드컵 무대를 경험하기도 했다. 김형일은 국가대표팀에서 총 3번의 국제 A매치에 출전했으나, 득점은 기록하지 못했다.
4. 경력 통계
김형일은 2010년 10월 31일, 프로 통산 100경기 출전 기록을 달성하며 꾸준한 활약을 보였다. 다음은 그의 클럽 및 국가대표팀 통계 기록이다.
클럽 성적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통산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대한민국 | 리그 | FA컵 | 리그컵 | AFC | 통산 | |||||||
2007 | 대전 시티즌 | K리그1 | 21 | 0 | 1 | 0 | 8 | 0 | - | 30 | 0 | |
2008 | 13 | 0 | 1 | 0 | 3 | 0 | - | 17 | 0 | |||
2008 | 포항 스틸러스 | 3 | 0 | 1 | 0 | 0 | 0 | 0 | 0 | 4 | 0 | |
2009 | 25 | 2 | 3 | 0 | 5 | 0 | 11 | 1 | 44 | 3 | ||
2010 | 22 | 2 | 1 | 0 | 0 | 0 | 8 | 0 | 31 | 2 | ||
2011 | 19 | 0 | 4 | 0 | 2 | 0 | - | 25 | 0 | |||
2012 | 상주 상무 피닉스 | K리그1 | 17 | 1 | 0 | 0 | - | - | 17 | 1 | ||
2013 | K리그2 | 26 | 0 | 2 | 0 | - | - | 28 | 0 | |||
2013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1 | 2 | 0 | 0 | 0 | - | - | 2 | 0 | ||
2014 | 14 | 1 | 1 | 1 | - | 4 | 0 | 19 | 2 | |||
2015 | 전북 현대 모터스 | 24 | 0 | 0 | 0 | - | 7 | 1 | 31 | 1 | ||
2016 | 13 | 0 | 0 | 0 | - | 7 | 0 | 20 | 0 | |||
중국 | 리그 | FA컵 | - | AFC | 통산 | |||||||
2017 |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 중국 슈퍼리그 | 0 | 0 | 0 | 0 | - | 0 | 0 | 0 | 0 | |
대한민국 | 리그 | FA컵 | - | - | 통산 | |||||||
2017 | 부천 FC 1995 | K리그2 | 10 | 0 | 0 | 0 | - | - | 10 | 0 | ||
태국 | 리그 | 국내 컵 | - | - | 통산 | |||||||
2018 | 시암 네이비 FC | 타이 리그 | 15 | 1 | 0 | 0 | - | - | 15 | 1 | ||
경력 총계 | 224 | 7 | 14 | 1 | 18 | 0 | 37 | 2 | 293 | 10 |
5. 수상 및 업적
김형일은 선수 생활 동안 클럽과 개인적으로 다양한 수상과 업적을 달성하며 뛰어난 기량을 증명했다.
5.1. 클럽 수상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1 우승: 2013년
- FA컵 우승: 2008년
- 피스컵 코리아 우승: 2009년
-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2009년
- 상주 상무 피닉스
- K리그2 우승: 2013년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1 우승: 2015년
-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2016년
5.2. 개인 수상
- K리그 베스트 11: 2009년
- K리그 챌린지 베스트 11: 2013년
6. 은퇴 후 활동
선수 생활을 마친 김형일은 DH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을 맺고 새로운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tvN의 축구 관련 방송 프로그램인 《전설이 떴다 군대스리가》 (2022년)와 《골든일레븐》 (2022년)에 출연하며 대중에게 얼굴을 알렸다.
7. 평가 및 영향
김형일은 그라운드 위에서 보여준 터프하고 저돌적인 수비 스타일로 인해 '글래디에이터'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 별명은 그가 몸을 사리지 않고 싸우는 듯한 전투적인 모습을 상징하며, 그를 K리그에서 많은 팬들에게 사랑받는 인기 수비수로 만들었다. 그는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설적인 수비수인 카를레스 푸욜을 자신의 롤 모델로 삼았는데, 푸욜의 견고한 플레이 스타일뿐만 아니라 그의 상징적인 긴 머리 스타일까지 참고했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