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김승규(김승규김승규한국어, 金承奎김승규일본어, 1990년 9월 30일~)는 대한민국 국적의 축구 선수로, 현재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의 알샤바브 FC에서 골키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울산 현대 유스 시스템을 거쳐 프로에 데뷔한 이후, 탁월한 반사 신경과 안정적인 경기 운영 능력을 바탕으로 K리그와 J리그,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등 아시아 주요 리그에서 주전 골키퍼로서 활약해왔습니다. 특히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2014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하고, 세 차례의 FIFA 월드컵과 여러 차례의 AFC 아시안컵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주요 국제 대회 성과에 크게 기여하며 한국 축구의 상징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 어린 시절 및 초기 경력
김승규는 어린 시절부터 축구에 대한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거쳤고, 일찍이 프로 무대에 발을 디디며 재능 있는 골키퍼로서 성장했습니다.
2.1. 유년기 및 교육
김승규는 1990년 9월 30일 울산광역시 동구에서 태어났습니다. 전하초등학교에서 축구를 시작했으며, 이후 현대중학교와 현대고등학교에서 축구 교육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그는 2003년 현대중학교와 울산 현대 축구단의 협약으로 창단된 산하 유스팀의 창단 멤버이기도 합니다.
2.2. 초기 프로 데뷔 및 성장
김승규는 현대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이던 2006년 울산 현대와 프로 입단 계약을 체결하며 2006 K리그 드래프트에서 우선 지명으로 입단했습니다. 입단 직후에는 주로 울산 현대 U-18 유스팀에서 활동했습니다.
프로 데뷔전은 2008년 11월 22일 홈에서 열린 동해안 더비 라이벌 포항 스틸러스와의 2008년 K리그 챔피언십 6강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치렀습니다. 그는 연장 후반 14분에 교체 투입되어 곧바로 이어진 승부차기에서 상대팀의 노병준과 김광석의 슈팅을 막아내며 팀의 최종 3위 입상에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인상적인 활약을 선보였습니다.
2013년에는 기존 주전 골키퍼였던 김영광이 부상을 당한 상황에서 기회를 잡아 뛰어난 선방 능력을 보여주며 울산의 주전 골키퍼로 확실히 자리매김했습니다. 이 시즌의 활약을 바탕으로 2013년 K리그 클래식 K리그1 베스트 11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습니다. 그는 2014년 K리그 올스타전 팬 투표에서 골키퍼 부문 전체 82%에 해당하는 99,933표를 획득하며 올스타 투표 최고의 선수로 등극했고, 2015년 K리그 올스타전에서도 골키퍼 부문 팬 투표 1위를 차지했으나 편도염으로 인해 출전이 불발되었습니다.
3. 클럽 경력
김승규는 프로 데뷔 이래 울산 현대에서 두 차례의 활동을 가졌으며, 일본 J리그의 비셀 고베와 가시와 레이솔에서 해외 무대를 경험했고, 현재는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의 알샤바브에서 활약하며 각 팀의 핵심 골키퍼로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습니다.
3.1. 울산 현대 (1기)
김승규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울산 현대 소속으로 공식전 134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골문을 굳건히 지켰습니다. 이 기간 동안 팀은 2006년 한국 슈퍼컵 우승, 2006년 A3 챔피언스컵 우승, 2009년 리그컵 준결승 진출, 2011년 K리그 준우승, 2011년 리그컵 우승, 2012년 FA컵 준결승 진출, 그리고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등 다수의 국내외 대회에서 중요한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그는 울산의 황금기를 함께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인정받았습니다.
3.2. 비셀 고베
2016년 시즌을 앞두고 일본 J1리그의 비셀 고베로 이적하며 생애 첫 해외 리그 무대에 도전했습니다. 그는 곧바로 팀의 주전 골키퍼로 자리 잡았으며, 2019년 시즌 중반까지 공식전 121경기에 출전했습니다. 2016년 시즌에는 J리그의 뛰어난 골키퍼 3인 후보에 오르며 J리그 베스트 일레븐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으나, 슈사쿠 니시카와에게 밀려 수상하지 못했습니다. 2017년 10월 14일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의 경기에서는 어시스트를 기록했으며, 같은 해 천황배 준결승 진출에 기여했습니다.
그러나 2018년 10월 20일 가와사키 프론탈레전에서 5실점을 기록한 이후 마에카와 다이야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고, 2019년 시즌에는 FC 바르셀로나에서 이적해온 세르지 삼페르의 영입으로 인한 외국인 선수 출전 쿼터 문제로 인해 벤치에도 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며 한국 언론으로부터 '외국인 쿼터의 피해자'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3.3. 울산 현대 (2기)
2019년 시즌 중이던 7월 24일, 외국인 선수 쿼터 문제로 출전 기회가 줄어들면서 친정팀인 울산 현대로 복귀했습니다. 복귀 후 FC 서울과의 2019년 K리그1 23라운드 경기에서 황일수의 득점을 어시스트하며 프로 데뷔 11년 만에 첫 공격 포인트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4개월 뒤 포항 스틸러스와의 리그 최종전에서 무리한 스로인 실책으로 실점을 허용하는 등 1대4로 패배하며 전북 현대 모터스에게 다 잡았던 리그 우승 트로피를 내주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총 16경기에 출전했습니다.
3.4. 가시와 레이솔
2019년 시즌이 끝나고 2020년 1월 10일, J1리그로 승격한 가시와 레이솔로 이적하며 반년 만에 J리그 무대로 복귀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친정팀 울산 팬들의 비난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가시와 레이솔에서는 코스케 나카무라와 주전 경쟁이 예상되었으나, 나카무라의 부상으로 기회를 잡았고, 이후 재부상으로 나카무라가 이탈하자 다시 주전 자리를 확고히 했습니다. 그는 2020년 J리그컵에서 팀의 준우승을 이끌며 활약했습니다. 2022년 시즌에도 주전으로 시작했으나, 5월부터 젊은 선수인 사사키 마사토에게 점차 주전 자리를 내주며 출전 기회가 감소했습니다. 가시와 레이솔에서 총 77경기에 출전했습니다.
3.5. 알샤바브
2022-23 시즌을 앞두고 7월에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의 알샤바브 FC로 이적하며 생애 첫 중동 리그에 진출했습니다. 이적 후 곧바로 팀의 주전 골키퍼로 자리매김했으며, 2022-23 시즌 리그 30경기에 모두 출전하여 11번의 클린시트를 기록, 이는 리그 전체 3위에 해당하는 기록입니다. 그의 활약에 힘입어 알샤바브는 리그 4위를 차지했습니다.
또한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하여 2경기에서 6개의 세이브를 기록하며 팀의 8강 진출을 이끌었습니다. 8강에서 알두하일 SC를 상대로 4개의 세이브를 기록하며 분전했으나, 팀의 수비진 실책으로 1대2로 패배하며 2010년 이후 12년 만의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습니다. 2023년 9월 30일 알힐랄 SFC와의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경기에서는 네이마르의 페널티킥을 막아내기도 했습니다. 그는 현재까지 알샤바브에서 총 73경기에 출전했습니다.
4. 국가대표팀 경력
김승규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골키퍼로서 각 연령별 대표팀부터 성인 국가대표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활약하며 여러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선방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2014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과 FIFA 월드컵 16강 진출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4.1. 연령별 대표팀
김승규는 프로 선수로서는 유일하게 U-17 대표팀에 발탁되어 2006년 AFC U-17 챔피언십에 참가했으나, 팀은 8강에서 타지키스탄에 0대1로 패배하며 탈락했습니다. 이듬해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2007년 FIFA U-17 월드컵 본선에도 출전했으나, 1승 2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습니다.
U-20 대표팀 소속으로는 2008년 AFC U-19 챔피언십에 출전하여 5경기에서 2실점, 3클린시트를 기록하며 4회 연속 FIFA U-20 월드컵 본선 진출을 이끌었습니다. 2009년 FIFA U-20 월드컵 본선에서는 4경기 4실점, 2클린시트를 기록하며 1991년 남북단일팀 이후 18년 만의 U-20 월드컵 8강 진출이라는 큰 업적을 달성했습니다.
U-23 대표팀에서는 2010년 아시안 게임에 주전 골키퍼로 출전하여 6경기 6실점, 2클린시트를 기록하며 팀의 3회 연속 아시안 게임 준결승 진출을 이끌었으나, 준결승에서 아랍에미리트에 패배하며 동메달에 머물렀습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는 대회 직전 부상으로 최종 명단에서 제외되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2년 후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2014년 아시안 게임에는 박주호, 김신욱과 함께 와일드카드로 출전했습니다. 라오스와의 조별리그 최종전을 제외한 6경기에서 무실점 6클린시트라는 눈부신 활약을 펼치며 대한민국의 28년 만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에 크게 기여했고, 이로 인해 병역 특례를 받았습니다.
4.2. 성인 국가대표팀
김승규는 2013년 국제 A매치에 데뷔한 이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골키퍼로 활약했습니다.
4.2.1. 2014년 FIFA 월드컵 및 2014년 아시안 게임
2013년 8월 14일, 2011년 코파 아메리카 준결승 진출팀인 페루와의 친선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르며 클린시트를 기록, 홍명보 감독의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듬해 개최된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 엔트리에 발탁되었으며, 정성룡의 부진 이후 벨기에와의 조별리그 최종전에 선발 출전했습니다. 비록 0대1로 석패하며 16년 만의 월드컵 무승 조별리그 탈락이라는 아픔을 겪었지만, 김승규는 단 1점만을 내주는 눈부신 선방 쇼를 펼치며 팬들로부터 큰 찬사를 받았습니다.
같은 해, 그는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 와일드카드로 출전하여 대한민국이 28년 만에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4.2.2. 2018년 FIFA 월드컵
2018년 러시아에서 열린 2018년 FIFA 월드컵 최종 엔트리에 발탁되었습니다. 그러나 대회 직전 조현우가 뛰어난 활약을 선보이며 주전 골키퍼 자리를 꿰찼고, 특히 독일전에서의 '카잔의 기적'을 이끄는 등 인상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김승규는 해당 대회에서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습니다.
4.2.3. 2022년 FIFA 월드컵
2018년 월드컵 이후 새롭게 부임한 파울루 벤투 감독은 김승규에게 깊은 신뢰를 보냈습니다. 그는 2019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참가하여 5경기에서 2실점, 3클린시트를 기록했으나, 팀은 8강에서 카타르에 0대1로 패배하며 59년 만의 아시안컵 우승 기회를 놓쳤습니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14경기에 출전하여 단 3골만을 내주며 대한민국의 통산 11번째이자 10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이라는 대업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2022년 카타르에서 열린 월드컵에서는 생애 처음으로 월드컵 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 발탁되었습니다. 조별리그에서 가나전 3실점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으나, 우루과이와 포르투갈을 상대로 각각 1골만을 내주며 뛰어난 선방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특히 포르투갈과의 조별리그 최종전에서는 5개의 유효 슈팅을 막아내는 눈부신 활약을 펼쳐 대한민국의 2010년 이후 12년 만의 월드컵 16강 진출에 결정적으로 기여했습니다. 브라질과의 16강전에서는 1대4로 대패했으나, 상대팀의 9개의 유효 슈팅 중 5개를 막아내며 팀 내에서 가장 높은 평점을 받았습니다.
또한 그는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최종전에서 일본을 상대로 팀의 압도적인 수비력과 일본의 공격력 부진으로 인해 선방 기회가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대회의 최우수 골키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습니다.
4.2.4. 2023년 AFC 아시안컵
2023년 카타르에서 개최된 2023년 AFC 아시안컵 본선 최종 명단에 포함되어 바레인과의 개막전에 선발 출전했습니다. 그러나 이 경기 직후 십자인대 파열 부상을 입어 대회에서 중도 하차하며 남은 경기에 출전할 수 없었습니다.
5. 플레이 스타일
김승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다재다능한 골키퍼 중 한 명으로 평가받습니다. 그는 본래 빠른 반사 신경과 민첩한 움직임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J1리그에서 뛰는 동안 패스 기술을 더욱 연마하여 발밑 기술에도 강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능력들은 현대 축구에서 골키퍼에게 요구되는 빌드업 능력과 연계 플레이에 크게 기여합니다.
6. 기록
김승규는 프로 데뷔 이래 다양한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꾸준히 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중요한 기록들을 쌓아왔습니다.
6.1. 클럽 기록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컵 (FA컵, 천황배, 국왕컵) | 리그컵 (리그컵, J리그컵) | 대륙 대회 (AFC 챔피언스리그) | 기타 (아랍 클럽 챔피언스컵) | 합계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울산 현대 | 2008 | K리그 | 2 | 0 | 0 | 0 | 0 | 0 | 1 | 0 | - | 3 | 0 | |
2009 | K리그 | 0 | 0 | 0 | 0 | 0 | 0 | 1 | 0 | - | 1 | 0 | ||
2010 | K리그 | 3 | 0 | 1 | 0 | 4 | 0 | - | - | 8 | 0 | |||
2011 | K리그 | 2 | 0 | 0 | 0 | - | - | - | 2 | 0 | ||||
2012 | K리그 | 12 | 0 | 0 | 0 | - | 0 | 0 | - | 12 | 0 | |||
2013 | K리그1 | 32 | 0 | 2 | 0 | - | - | - | 34 | 0 | ||||
2014 | K리그1 | 29 | 0 | 1 | 0 | - | 6 | 0 | - | 36 | 0 | |||
2015 | K리그1 | 34 | 0 | 4 | 0 | - | - | - | 38 | 0 | ||||
합계 | 114 | 0 | 8 | 0 | 4 | 0 | 8 | 0 | - | 134 | 0 | |||
비셀 고베 | 2016 | J1리그 | 34 | 0 | 1 | 0 | 2 | 0 | - | - | 37 | 0 | ||
2017 | J1리그 | 31 | 0 | 3 | 0 | 5 | 0 | - | - | 39 | 0 | |||
2018 | J1리그 | 30 | 0 | 2 | 0 | 0 | 0 | - | - | 32 | 0 | |||
2019 | J1리그 | 12 | 0 | 0 | 0 | 1 | 0 | - | - | 13 | 0 | |||
합계 | 107 | 0 | 6 | 0 | 8 | 0 | - | - | 121 | 0 | ||||
울산 현대 | 2019 | K리그1 | 16 | 0 | - | - | - | - | 16 | 0 | ||||
가시와 레이솔 | 2020 | J1리그 | 24 | 0 | - | 3 | 0 | - | - | 27 | 0 | |||
2021 | J1리그 | 35 | 0 | 1 | 0 | 1 | 0 | - | - | 37 | 0 | |||
2022 | J1리그 | 13 | 0 | 0 | 0 | 0 | 0 | - | - | 13 | 0 | |||
합계 | 72 | 0 | 1 | 0 | 4 | 0 | 0 | 0 | - | 77 | 0 | |||
알샤바브 | 2022-23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30 | 0 | 1 | 0 | - | 2 | 0 | 4 | 0 | 37 | 0 | |
2023-24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19 | 0 | 3 | 0 | - | - | 5 | 0 | 27 | 0 | |||
2024-25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8 | 0 | 1 | 0 | - | - | 0 | 0 | 9 | 0 | |||
합계 | 57 | 0 | 5 | 0 | - | 2 | 0 | 9 | 0 | 73 | 0 | |||
경력 총합 | 366 | 0 | 20 | 0 | 16 | 0 | 10 | 0 | 9 | 0 | 421 | 0 |
6.2. 국가대표팀 기록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 득점 |
---|---|---|---|
대한민국 | 2013 | 3 | 0 |
2014 | 4 | 0 | |
2015 | 10 | 0 | |
2016 | 5 | 0 | |
2017 | 5 | 0 | |
2018 | 10 | 0 | |
2019 | 11 | 0 | |
2021 | 9 | 0 | |
2022 | 14 | 0 | |
2023 | 8 | 0 | |
2024 | 2 | 0 | |
경력 총합 | 81 | 0 |
김승규는 2013년 8월 14일 페루와의 경기에서 첫 클린시트를 기록한 이래, 2024년 1월 6일 이라크전까지 총 46번의 A매치 클린시트를 기록했습니다.
7. A매치 클린시트
# | 경기일 | 경기 장소 | 상대팀 | 결과 | 비고 |
---|---|---|---|---|---|
1 | 2013/08/14 | 수원 | 페루 | 0-0 | 친선 경기 |
2 | 2014/01/25 | 로스앤젤레스 | 코스타리카 | 1-0 | 친선 경기 |
3 | 2015/01/13 | 캔버라 | 쿠웨이트 | 1-0 | 2015년 AFC 아시안컵 |
4 | 2015/06/11 | 콸라룸푸르 | 아랍에미리트 | 3-0 | 친선 경기 |
5 | 2015/06/16 | 방콕 | 미얀마 | 2-0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6 | 2015/08/02 | 우한 | 중국 | 2-0 | 2015년 EAFF 동아시안컵 |
7 | 2015/08/09 | 우한 | 북한 | 0-0 | 2015년 EAFF 동아시안컵 |
8 | 2015/09/08 | 시돈 | 레바논 | 3-0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9 | 2015/10/08 | 쿠웨이트 시티 | 쿠웨이트 | 1-0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10 | 2015/11/12 | 수원 | 미얀마 | 4-0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11 | 2016/03/27 | 방콕 | 태국 | 1-0 | 친선 경기 |
12 | 2016/09/06 | 스름반 | 시리아 | 0-0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13 | 2017/06/07 | 라스알카이마 | 이라크 | 0-0 | 친선 경기 |
14 | 2017/08/31 | 서울 | 이란 | 0-0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15 | 2017/09/05 |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 0-0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16 | 2018/02/03 | 안탈리아 | 라트비아 | 1-0 | 친선 경기 |
17 | 2018/09/07 | 고양 | 코스타리카 | 2-0 | 친선 경기 |
18 | 2019/01/01 | 아부다비 | 사우디아라비아 | 0-0 | 친선 경기 |
19 | 2019/01/07 | 두바이 | 필리핀 | 1-0 | 2019년 AFC 아시안컵 |
20 | 2019/01/11 | 알아인 | 키르기스스탄 | 1-0 | 2019년 AFC 아시안컵 |
21 | 2019/01/16 | 아부다비 | 중국 | 2-0 | 2019년 AFC 아시안컵 |
22 | 2019/03/22 | 울산 | 볼리비아 | 1-0 | 친선 경기 |
23 | 2019/06/07 | 부산 | 오스트레일리아 | 1-0 | 친선경기 |
24 | 2019/09/10 | 아슈하바트 | 투르크메니스탄 | 2-0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25 | 2019/10/15 | 평양 | 북한 | 0-0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26 | 2019/11/14 | 베이루트 | 레바논 | 0-0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27 | 2019/12/18 | 부산 | 일본 | 1-0 |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28 | 2021/06/05 | 고양 | 투르크메니스탄 | 5-0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29 | 2021/09/02 | 서울 | 이라크 | 0-0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30 | 2021/09/07 | 수원 | 레바논 | 1-0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31 | 2021/11/11 | 고양 | 아랍에미리트 | 1-0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32 | 2021/11/16 | 도하 | 이라크 | 3-0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33 | 2022/01/21 | 안탈리아 | 몰도바 | 4-0 | 친선경기 |
34 | 2022/01/27 | 시돈 | 레바논 | 1-0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35 | 2022/02/01 | 두바이 | 시리아 | 2-0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36 | 2022/03/24 | 서울 | 이란 | 2-0 |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37 | 2022/06/06 | 대전 | 칠레 | 2-0 | 친선경기 |
38 | 2022/09/27 | 서울 | 카메룬 | 1-0 | 친선경기 |
39 | 2022/11/11 | 화성 | 아이슬란드 | 1-0 | 친선경기 |
40 | 2022/11/24 | 알라이얀 | 우루과이 | 0-0 | 2022년 FIFA 월드컵 |
41 | 2023/09/07 | 카디프 | 웨일스 | 0-0 | 친선경기 |
42 | 2023/09/12 | 뉴캐슬어폰타인 | 사우디아라비아 | 1-0 | 친선경기 |
43 | 2023/10/13 | 서울 | 튀니지 | 4-0 | 친선경기 |
44 | 2023/11/16 | 서울 | 싱가포르 | 5-0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45 | 2023/11/21 | 선전 | 중국 | 3-0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46 | 2024/01/06 | 아부다비 | 이라크 | 1-0 | 친선경기 |
8. 개인 생활
김승규는 2024년 6월 17일 서울 모처에서 모델 겸 배우 김진경과 결혼했습니다. 이 결혼식에는 손흥민, 조규성 등 축구계 스타들과 모델 이현이 등 유명인사들이 대거 참석하여 화제가 되었습니다.
9. 수상 및 영예
김승규는 선수 경력 동안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다수의 중요한 수상과 개인적인 영예를 얻었습니다.
9.1. 클럽
; 울산 현대
- K리그1 : 준우승 (2011, 2013, 2019)
- 리그컵 : 우승 (2011)
- 한국 슈퍼컵 : 우승 (2006)
- A3 챔피언스컵 : 우승 (2006)
- AFC 챔피언스리그 : 우승 (2012)
; 비셀 고베
- 천황배 : 준결승 (2017)
; 가시와 레이솔
- J리그컵 : 준우승 (2020)
; 알샤바브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4위 (2022-23)
9.2.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U-23
- 아시안 게임 : 금메달 (2014), 동메달 (2010)
; 대한민국
- AFC 아시안컵 : 준우승 (2015)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우승 (2015, 2019)
9.3. 개인
- K리그1 베스트 11 : 2013
- K리그 올스타 : 2014
- J리그 우수 선수상 : 2016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최우수 골키퍼 :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