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그레고리 마이클 핸셀은 1971년 3월 1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미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
2. 선수 경력
핸셀은 메이저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했다.
2.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MLB)
핸셀은 1995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1999년 마지막 경기를 치르기까지 총 네 개 팀에서 뛰었다. 1995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96년 미네소타 트윈스, 1997년 밀워키 브루어스, 그리고 1999년 피츠버그 파이리츠 소속이었다. 그는 1995년 4월 28일에 메이저 리그에 처음 등판했으며, 1999년 10월 3일에 마지막 경기를 가졌다. 특히, 1994년에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산하 마이너 리그 올해의 투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2.2. 일본 프로 야구 (NPB)
1999년 12월 7일, 핸셀은 피츠버그 파이리츠에서 일본 프로 야구 센트럴 리그의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했다.
2000년 한신에 입단한 그는 처음에는 벤 리베라를 대신할 마무리 투수 후보로 고려되었으나, 선발 투수로서의 적성을 인정받아 메이저 리그에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선발로 20경기에 등판했다. 팀은 센트럴 리그 최하위에 머물렀지만, 핸셀은 규정 이닝을 채우지 못했음에도 7승 8패를 기록하며 가와지리 데쓰로에 이어 팀 내 두 번째로 좋은 성적을 올렸다.
2001년에는 개막 로테이션에 합류하여 27경기에 등판했다. 그해 규정 이닝을 달성했으며, 평균자책점은 리그 9위인 3.49를 기록했다. 그러나 타선의 지원 부족으로 5승 13패를 기록하며 해당 시즌 리그 최다 패전 투수가 되었다.
2002년 시즌 초에는 탈장이 악화되어 전력에서 이탈했고, 귀국하여 6월에 내시경 수술을 받았다. 이후 놀라운 회복력을 보이며 시즌 후반에 다시 일본으로 돌아와 한신 잔류를 희망했으나, 호시노 센이치 감독의 전력 구상에서 제외되어 팀을 떠나게 되었다.
한신 퇴단 후에도 일본에서의 선수 생활을 희망했으며, 실제로 여러 일본 구단으로부터 영입 제안을 받았다. 특히 주니치 드래곤즈가 그에게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신이 마무리 투수였던 마크 발데스를 방출하면서 주니치는 영입 대상을 핸셀에서 발데스로 변경했다. 결국 핸셀은 일본에서 계속 뛰고 싶다는 바람을 이루지 못했다.
2.3. 은퇴 후 복귀 시도
일본에서의 선수 생활이 좌절된 후, 핸셀은 2003년 뉴욕 양키스 산하 마이너 리그 소속으로 뛰며 메이저 리그 복귀를 시도했다. 또한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의 트라이아웃에도 참여했다. 이후 멕시코 등지에서도 선수로 활동하며 메이저 리그 복귀를 노렸으나,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하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선수 경력 이후 활동
그레고리 핸셀은 선수 생활을 마감한 후에도 야구계와 개인적인 관심사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이어갔다.
3.1. 스카우트 경력
2006년, 그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미국 주재 스카우트로 취임하며 야구계에 복귀했다. 2017년 현재까지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미국 주재 스카우트로 활동하고 있다.
3.2. 개인적인 활동 및 관심사
핸셀은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에 조예가 깊었다. 일본으로 오기 전 현역 선수 시절부터 attheyard.com이라는 스포츠 용품 판매 회사의 웹사이트에 정기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했다. 팬들이 이메일을 보낼 수 있는 기능도 제공했다.
4. 상세 기록 및 정보
4.1.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 사구 | 몸에 맞는 공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1995 | LAD | 20 | 0 | 0 | 0 | 0 | 0 | 1 | 0 | -- | .000 | 93 | 19.1 | 29 | 5 | 6 | 1 | 2 | 13 | 0 | 0 | 17 | 16 | 7.45 | 1.81 |
1996 | MIN | 50 | 0 | 0 | 0 | 0 | 3 | 0 | 3 | -- | 1.000 | 329 | 74.1 | 83 | 14 | 31 | 1 | 2 | 46 | 9 | 1 | 48 | 47 | 5.69 | 1.53 |
1997 | MIL | 3 | 0 | 0 | 0 | 0 | 0 | 0 | 0 | -- | ---- | 21 | 4.2 | 5 | 1 | 1 | 0 | 1 | 5 | 0 | 0 | 5 | 5 | 9.64 | 1.29 |
1999 | PIT | 33 | 0 | 0 | 0 | 0 | 1 | 3 | 0 | 4 | .250 | 168 | 39.1 | 42 | 5 | 11 | 3 | 3 | 34 | 2 | 0 | 20 | 17 | 3.89 | 1.35 |
2000 | 한신 | 20 | 20 | 0 | 0 | 0 | 7 | 8 | 0 | -- | .467 | 497 | 114.0 | 108 | 10 | 52 | 2 | 6 | 97 | 4 | 0 | 59 | 55 | 4.34 | 1.40 |
2001 | 27 | 26 | 0 | 0 | 0 | 5 | 13 | 0 | -- | .278 | 700 | 162.1 | 145 | 14 | 75 | 1 | 8 | 123 | 6 | 0 | 71 | 63 | 3.49 | 1.36 | |
2002 | 5 | 0 | 0 | 0 | 0 | 0 | 0 | 0 | -- | ---- | 19 | 4.2 | 4 | 0 | 1 | 0 | 0 | 2 | 1 | 0 | 1 | 1 | 1.93 | 1.07 | |
MLB 통산: 4년 | 106 | 0 | 0 | 0 | 0 | 4 | 4 | 3 | 4 | .500 | 611 | 137.2 | 159 | 25 | 49 | 5 | 8 | 98 | 11 | 1 | 90 | 85 | 5.56 | 1.51 | |
NPB 통산: 3년 | 52 | 46 | 0 | 0 | 0 | 12 | 21 | 0 | -- | .364 | 1216 | 281.0 | 257 | 24 | 128 | 3 | 14 | 222 | 11 | 0 | 131 | 119 | 3.81 | 1.37 |
4.2. 주요 기록
- NPB 투수 기록**
- 첫 등판 및 첫 선발 등판: 2000년 4월 2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3차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4이닝 6실점으로 패전 투수
- 첫 승리 및 첫 선발 승리: 2000년 4월 8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차전 (히로시마 시민 구장), 6과 2/3이닝 4실점
- 첫 탈삼진: 위와 동일, 2회말 니시야마 슈지를 헛스윙 삼진으로 처리
- NPB 타격 기록**
- 첫 안타 및 첫 타점: 위와 동일, 4회초 기토 마코토로부터 유격수 2점 적시 내야 안타
4.3. 등번호
- 5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95년
- 19 (미네소타 트윈스): 1996년
- 53 (밀워키 브루어스): 1997년
- 57 (피츠버그 파이리츠): 1999년
- 49 (한신 타이거스): 2000년
- 14 (한신 타이거스): 2001년
- 42 (한신 타이거스): 2002년
5. 평가 및 영향
그레고리 핸셀은 일본 프로 야구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치며 전문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5.1. 전문가 평가
노무라 가쓰야 감독은 한신 타이거스 시절의 핸셀을 높이 평가하며, "만약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의 '이테마에 타선'이 뒤를 받쳐줬다면 20승을 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그가 소속팀의 타선 지원 부족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투구 능력을 가졌음을 시사하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