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계양군 이증은 세종과 당시 궁인이었던 신빈 김씨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세종에게는 서차자이자 여덟째 아들이었다. 세종은 여러 아들 중에서도 그와 이복 동생인 영응대군을 특히 아꼈다.
1.1. 출생과 가정 배경
이증은 1427년(세종 9년) 음력 8월 12일(양력 9월 11일)에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조선의 제4대 국왕인 세종이며, 어머니는 청주 김씨 출신의 신빈 김씨이다. 그는 세종의 서자들 중에서는 두 번째로 태어났으며, 신빈 김씨 소생으로는 첫 아들이었다.
1.2. 교육 및 학문
이증은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책을 읽고 공부하기에 게을리하지 않았다. 그의 학문적 성향과 뛰어난 서예 실력은 아버지 세종의 큰 총애를 받는 이유 중 하나였다. 세종은 그를 영응대군과 함께 가장 아끼는 아들로 여겼다.
1.3. 정치적 활동
1434년(세종 16년) 1월, 이증은 계양군(계양군桂陽君한국어)에 봉해졌다. 1437년(세종 19년)에는 한확의 둘째 딸인 정선군부인 한씨와 혼인하였다. 정선군부인 한씨는 훗날 성종의 어머니가 되는 인수대비의 친언니이기도 하다.
단종 재위 말기, 이증은 이복형인 수양대군을 지지하며 계유정난에 참여하였다. 1454년에는 이복 동생 정현옹주의 남편인 영천위(永川尉) 윤사로와 함께 금성대군을 탄핵하였다. 같은 해 파평위(坡平尉) 윤암(尹巖)과도 함께 금성대군과 혜빈 양씨 등을 공격하는 데 가담하였다.
1455년(세조 1년), 세조가 즉위한 후 이증은 수충위사동덕좌익공신 1등(輸忠衛社同德佐翼功臣一等)에 책록되었고, 다시 계양군에 봉작되었다. 세조는 즉위 직후부터 그를 깊이 신뢰하여 측근에서 서무(庶務)의 출납을 맡기기도 하였으며, 그의 총애는 더욱 두터워졌다. 이후 그는 다양한 왕실 행사에 참여하며 왕실의 중요한 일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1460년(세조 6년)에는 해양대군(예종)의 혼례를 주관하는 가례도감 제조를 겸임하기도 하였다.
1.4. 개인적 삶과 성품
이증은 성품이 단아하고 용모가 아름다웠으며, 담화를 잘하였다. 사람을 대하거나 사물을 접할 때 항상 겸손하고 공경하는 태도를 보였고, 자신이 귀한 신분이거나 세력이 있음을 스스로 자랑한 적이 없었다.
그러나 그는 친동생인 익현군 등과 자주 술을 마시며 음주를 즐겼다. 1463년 5월 4일, 동생 익현군이 술병으로 사망하자 세조는 "이것은 모두 계양군(桂陽君)의 허물이다. 의창군이 술로 죽었는데, 익현군도 또한 술로 죽으니 매우 슬프다"라며 그를 질책하고 애통해하였다. 이증 자신도 주색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어 1464년 4월부터 병석에 눕게 되었다.
2. 가족 관계
계양군 이증의 가족 관계는 조선 왕실의 주요 가문들과 복잡하게 얽혀 있다.
2.1. 부모와 형제
- 아버지 : 세종(世宗, 1397 ~ 1450)
- 어머니 : 신빈 김씨(愼嬪 金氏, 1406 ~ 1464)
- 남동생 : 의창군 이공(義昌君 李玒, 1428 ~ 1460)
- 남동생 : 밀성군 이침(密城君 李琛, 1430 ~ 1479)
- 남동생 : 익현군 이연(翼峴君 李璭, 1431 ~ 1463)
- 남동생 : 영해군 이장(寧海君 李璋, 1435 ~ 1477)
- 남동생 : 담양군 이거(潭陽君 李璖, 1439 ~ 1450)
2.2. 배우자와 자녀
- 정부인 : 정선군부인 한씨(旌善郡夫人 淸州韓氏, 1426년 4월 12일 ~ 1480년 7월 27일)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의 딸
- 장남 : 영원군 이례(寧原君 李澧, 1450 ~ 1513년 6월 16일)
- 며느리 : 청송 심씨 - 심선의 딸
- 손자 : 회안부정(淮安副正) 이식(李軾)
- 손자 : 도안군 이철(道安君 李轍, 1476 ~ 1505년 10월 12일) - 장남 영원군 이례의 양자로 출계
- 손녀 : 김해 김씨 참봉(參奉) 김맹손(金孟孫)의 처
- 손녀 : 인천 채씨 호판(戶判) 채수(蔡壽)의 아들 채윤권(蔡胤權)의 처
- 손녀 : 평산 신씨 판서(判書) 증 찬성(贈 贊成) 신상(申鏛)의 처
- 손녀 : 무송 윤씨 부사직(副司直) 윤옥견(尹玉堅)의 처
- 차남 : 강양군 이숙(江陽君 李潚) - 남동생인 담양군에게 출계(出계)
- 며느리 : 안악군사(安岳郡事) 허준(許峻)의 딸
- 3남 : 부림군 이식(富林君 李湜, 1458 ~ 1489)
- 며느리 : 안동 김씨 -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 김질의 딸
- 장녀 : 향주 전주 이씨
- 사위 : 순흥 안씨 안계송(安繼宋)
- 손자 : 안광수(安光粹, 1463 ~ ?)
- 손자 : 안광범(安光範, 1466 ~ ?)
- 손자 : 안광렬(安光烈)
- 손자 : 안광윤(安光胤)
- 손자 : 안광익(安光翊, 1492 ~ ?)
- 손자 : 안광옥(安光沃, 1493 ~ ?)
- 손녀 : 광산 김씨 군수(郡守) 김강(金綱)의 처
- 손녀 : 성주 이씨 이문량(李文樑)의 처
- 손녀 : 연안 이씨 이경장(李敬長)의 처
- 손녀 : 함종 어씨 찰방(察訪) 어숙정(魚叔貞)의 처
- 손녀 : 함안 조씨 조응경(趙應卿)의 처
- 차녀 : 향주 전주 이씨
- 사위 : 정경조(鄭敬祖, 1455 ~ 1498년 7월) - 정인지의 4남
- 손자 : 정승희(鄭承禧)
- 손자 : 정승우(鄭承祐)
- 3녀 : 향주 전주 이씨
- 사위 : 청주 한씨 한금(韓嶔)
- 손자 : 한형준(韓亨俊)
- 손자 : 한형걸(韓亨傑)
- 손자 : 한형신(韓亨信, 1491 ~ ?)
- 손녀 : 한산 이씨 호군(護軍) 이덕부(李德溥)의 처
- 손녀 : 정안부정(定安副正) 이천수(李千壽)의 처
- 손녀 : 창녕 조씨 서맹(司猛) 조수원(曺守원)의 처
- 손녀 : 여흥 민씨 장사랑(將仕郞) 민수원(閔世瑗)의 처
- 장남 : 영원군 이례(寧原君 李澧, 1450 ~ 1513년 6월 16일)
- 첩 : 소비(小婢)
- 서장남 : 방산수 이란(方山守 李瀾)
- 며느리 : 동래 정씨 - 정계은(鄭繼銀)의 딸
- 서장녀 : 연일 정씨 정종선(鄭從善)의 처
- 서장남 : 방산수 이란(方山守 李瀾)
2.3. 친척 관계
계양군 이증의 부인 정선군부인 한씨는 의경세자의 부인이자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대비의 친언니이다. 따라서 이증은 의경세자에게는 이복 삼촌이자 손윗 동서가 되며, 성종에게는 외숙부가 된다. 또한 그의 자녀들이 정인지의 아들 정경조, 김질의 딸과 혼인하는 등 당대 주요 가문들과 사돈 관계를 맺었다.
3. 사망 및 사후
계양군 이증은 1464년 4월부터 병석에 누웠다가 그해 음력 8월 16일(양력 9월 26일)에 사망하였다. 향년 38세였다.
그의 사망 소식에 세조는 깊이 애도하며 3일 동안 조회와 저자(시장)를 정지하고 거애(擧哀, 슬픔을 표함)하였다. 세조는 육선(肉膳, 고기반찬)을 물리치며 슬픔을 표현하였고, 그가 병들었을 때 내의(內醫)를 보내 치료하게 하는 등 극진한 보살핌을 아끼지 않았다.
이증은 처음 경기도 양주군 동촌면 백석리에 묻혔다. 이후 1480년 7월 27일 그의 부인 정선군부인 한씨가 사망하자, 그해 9월 18일에 부인과 함께 동원이역(同原異域)의 형태로 조성되었다. 뒤에 그의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일패동 묘적산 신좌(申坐)로 이장되었다.
4. 평가 및 관련 작품
계양군 이증의 공과(功過)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 그를 다룬 대중문화 작품은 다음과 같다.
4.1. 역사적 평가
계양군 이증은 세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학문을 좋아하고 책을 공부하는 데 게을리하지 않는 인물로 평가된다. 세조 즉위 시 좌익공신으로서 공을 세웠고, 세조의 신뢰를 받아 서무 출납을 담당할 정도로 중용되었다. 그는 성품이 단아하고 용모가 아름다웠으며, 담화를 잘하고 사람을 대하거나 사물을 접할 때 겸손하고 공경하는 태도를 지녔다. 스스로 귀한 신분이나 세력을 자랑한 적이 없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세조는 그의 동생 익현군이 술병으로 사망하자, 이증이 술을 즐기는 습관 때문에 동생의 죽음에 영향을 주었다고 질책하기도 했다. 이증 자신도 주색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어 이른 나이에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4.2. 관련 작품
계양군 이증의 생애나 활동을 다룬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
- 《왕과 비》(KBS1, 1998년 6월 6일 ~ 2000년 3월 26일, 배우: 이성용)
- 《인수대비》 (JTBC, 2011년 12월 3일 ~ 2012년 6월 24일, 배우: 전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