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경안궁주의 생애는 출생 배경과 공주 책봉 및 혼인, 그리고 그녀의 가족에게 영향을 미친 주요 사건들로 구성된다.
1.1. 출생 및 배경
경안궁주의 정확한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녀는 고려의 제24대 국왕인 원종(元宗)과 그의 제2비 경창궁주(慶昌宮主) 사이에서 태어난 맏딸이다. 그녀의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다. 경안궁주는 순안공 왕종, 시양후 왕이, 함녕궁주와 친남매이며, 이복 오빠로는 제25대 국왕인 충렬왕(忠烈王)이 있다.
경안궁주의 어머니 경창궁주는 현종의 아들인 평양공 왕기의 7세손인 신안공 왕전의 딸이다. 경창궁주의 어머니, 즉 경안궁주의 외조모는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인 가순궁주이다. 흥미롭게도 경안궁주의 친조모인 안혜왕후 또한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이므로, 경안궁주의 친조모와 외조모는 서로 친자매 관계였다. 경창궁주가 유씨 성을 사용한 것은 외가의 성씨를 따른 것이다.
1.2. 공주 책봉 및 혼인
1260년(원종 원년) 음력 10월 27일, 경안궁주는 정식으로 궁주에 책봉되어 경안궁주(경안궁주慶安宮主한국어)라는 호를 받았다. 이날 아버지 원종은 궁중에서 여러 대신들에게 성대한 잔치를 베풀었다. 같은 해 음력 12월 7일, 경안궁주는 종실인 제안백 왕숙과 혼인하였다. 당시 1260년 한 해에만 4건의 책봉식과 2건의 가례(혼인식)가 연이어 치러지면서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이 행사들로 인해 금과 은이 약 1,000근 가량 소비되었고, 쌀 등의 곡식은 3,000석 이상이 소모되었으며, 삼베 등의 천은 그 소비량을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혼인 이후 경안궁주의 삶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많이 남아있지 않다.
1.3. 주요 사건
경안궁주의 생애 중 중요한 사건으로는 1277년(충렬왕 3년)에 발생한 가족 관련 비극이 있다. 충렬왕이 즉위한 지 3년 후, 경안궁주의 어머니 경창궁주와 오빠 순안공 왕종은 역모를 꾀했다는 무고를 당하였다. 이로 인해 경창궁주는 폐서인이 되었고, 순안공은 외딴 섬으로 유배를 떠나야 했다.
한편, 경안궁주의 남편인 제안공 왕숙은 경안궁주 사후 충렬왕과 그의 제2비 정신부주의 딸인 정녕원비와 재혼하였다. 왕숙은 왕명으로 여러 차례 원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이후 대군에 봉해져 제안대군(제안대군齊安大君한국어)이 되었다. 또한 삼중대광(삼중대광三重大匡한국어)의 작위를 받고 제안부원대군(제안부원대군齊安府院大君한국어)으로 진봉되었다. 그는 1312년(충선왕 4년)에 7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2. 가족 관계
경안궁주는 고려 왕족의 일원으로서, 다음과 같은 가족 관계를 가지고 있다.
- 조부: 고종(高宗, 1192년~1259년) - 고려의 제23대 국왕
- 조모: 안혜왕후(安惠王后, ?~1232년) -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이자 경안궁주의 외조모 가순궁주의 친언니
- 아버지: 원종(元宗, 1219년~1274년) - 고려의 제24대 국왕
- 이복 남매: 충렬왕(忠烈王, 1236년~1308년) - 고려의 제25대 국왕
- 외조부: 신안공 왕전(新安公 王佺, ?~1261년)
- 외조모: 가순궁주(嘉順宮主, 생몰년 미상) -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이자 경안궁주의 친조모 안혜왕후의 친동생
- 어머니: 경창궁주(慶昌宮主, 생몰년 미상) - 원종의 제2비
- 남매: 시양후 왕이(始陽侯 王珆, ?~1266년)
- 남매: 순안공 왕종(順安公 王琮, 생몰년 미상)
- 동생: 함녕궁주(咸寧궁주, 생몰년 미상)
- 시아버지: 신양백 왕전(新陽伯 王佺, ?~1256년)
- 시어머니 (고모): 수흥궁주(壽興宮主, 생몰년 미상)
- 남편: 제안공 왕숙(齊安公 王淑, 1238년~1312년)
- 아들: 평량공 왕현(平良公 王昡, ?~1300년) - 허씨와 혼인
3. 평가
경안궁주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매우 제한적이다. 그녀의 출생 연도와 사망 연도 모두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며, 혼인 이후의 개인적인 삶이나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따라서 경안궁주 개인에 대한 역사적 또는 사회적 평가는 현존하는 기록만으로는 어렵다. 다만, 그녀의 삶은 고려 후기 왕실의 복잡한 정치적 상황과 가족 관계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이해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