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배경
그웬덜린 윌로 윌슨은 미국 뉴저지주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만화와 대중문화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종교가 없는 가정에서 자랐지만, 대학 시절 다양한 종교를 탐구하며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1.1. 초기 생애 및 성장
그웬덜린 윌로 윌슨은 1982년 8월 31일 미국 뉴저지주 몬머스 카운티에서 태어나 모건빌에서 성장했다. 그녀는 12세까지 몬머스 카운티에 거주했으나, 2013년 인터뷰에서는 모리스 카운티에서 태어나 처음 10년을 보냈다고 잘못 언급한 적도 있다. 그녀의 부모는 무신론자였으며, 1960년대 후반 개신교를 포기하여 윌슨은 종교적인 가정에서 자라지 않았다.
윌슨이 처음 만화를 접한 것은 5학년 때 엑스맨이 등장하는 금연 팸플릿을 통해서였다. 이 캐릭터들에 매료된 그녀는 매주 토요일 방영되는 《엑스맨》 애니메이션을 시청하기 시작했다. 2년 후 그녀와 가족은 콜로라도주 볼더로 이사했고, 윌슨은 그곳에서도 만화와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과 같은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을 이어갔다.
1.2. 종교적 여정과 개종
고등학교 졸업 후 윌슨은 보스턴 대학교에 입학하여 역사학을 전공했다. 2학년 때 부신피질 문제로 인한 불편함을 겪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불교,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를 탐구하게 되었다. 유대교를 공부한 후 그녀는 이슬람교에 집중했으며, "무슬림이 되는 것은 당신과 신 사이의 일종의 거래"라는 점에 이끌렸다. 9·11 테러는 그녀의 종교 연구에 잠시 주춤하게 만들었지만, 그녀는 이후 연구를 재개했다.
2003년, 졸업 직전 윌슨은 이집트 카이로에서 영어 교사로 일하기로 결정했다. 비행기 여행 중 윌슨은 이슬람교로 개종했는데, 그녀는 이를 "신과 화해했고, 그분을 알라라고 불렀다"고 표현했다. 그녀의 회고록 《버터플라이 모스크》에 따르면, 카이로에 도착한 후 윌슨은 비밀리에 이슬람교를 수행했지만, 이집트인과 약혼한 후에는 더 공개적으로 신앙생활을 시작했다.
2. 이집트에서의 경험
2003년 이슬람교 개종 직후 윌슨은 이집트 카이로로 건너가 영어 교사로 일하며 약 20대 시절을 보냈다. 이 시기에 그녀는 언론인으로서의 경력을 시작하며 《애틀랜틱 먼슬리》(Atlantic Monthly영어), 《뉴욕 타임스 매거진》(The New York Times Magazine영어), 《내셔널 포스트》(National Post영어) 등에 기고했다. 또한 현재는 폐간된 이집트 야당 주간지 《카이로 매거진》(Cairo Magazine영어)의 정기 기고가이기도 했다. 윌슨은 이집트 대 무프티에 임명된 알리 고마아(Ali Gomaa영어)와 사적인 인터뷰를 허락받은 최초의 서구 언론인이기도 하다.
2010년, 윌슨은 호스니 무바라크 정권 하 이집트에서의 삶을 다룬 회고록 《버터플라이 모스크》를 출간했으며, 이 책은 《시애틀 타임스》(Seattle Times영어) 선정 2010년 최고의 책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3. 주요 활동 및 저작
그웬덜린 윌로 윌슨은 저널리즘으로 경력을 시작한 이래 소설, 그래픽 노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작품 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마블 코믹스에서 선보인 《미즈 마블》 시리즈는 그녀의 대표작 중 하나로 손꼽힌다.
3.1. 초기 경력
윌슨의 글쓰기 경력은 디그보스턴(DigBoston영어)의 프리랜서 음악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이집트 카이로로 이주한 후, 그녀는 《애틀랜틱 먼슬리》, 《뉴욕 타임스 매거진》, 《내셔널 포스트》에 글을 기고했다. 또한 현재는 폐간된 이집트 야당 주간지 《카이로 매거진》의 정기 기고가이기도 했다. 그녀는 이집트 대 무프티인 알리 고마아와 개인적인 인터뷰를 허락받은 최초의 서구 언론인이기도 하다.
3.2. 소설
윌로 윌슨은 두 편의 주요 소설과 한 편의 회고록을 출간했다.
- 《버터플라이 모스크》(The Butterfly Mosque영어)
- 2010년 6월에 출간된 이 회고록은 그녀의 이집트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졌다.
- 《보이지 않는 자 알리프》(Alif the Unseen영어)
- 2012년 7월에 출간된 그녀의 소설 데뷔작이다. 이 작품은 2013년 세계 환상 문학 대상 최우수 소설 부문을 수상했으며, 중동 도서상 청소년 문학 부문과 퍼시픽 노스웨스트 북셀러스 협회상도 수상했다. 또한 플래허티-더난 첫 소설상 최종 후보, 베일리스 여성 소설상 후보, 존 W. 캠벨 기념상 3위, 로커스상 첫 소설 부문 후보에 오르며 문학적 성공을 거두었다.
- 《새 왕》(The Bird King영어)
- 2019년 3월에 출간되었다. 이 소설은 무슬림 스페인의 마지막 에미르국이었던 그라나다의 왕궁에서 시녀인 파티마와 궁정 지도 제작자이자 현실의 형태를 바꿀 수 있는 비밀 능력을 가진 친구 하산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3.3. 그래픽 노블
윌로 윌슨은 다양한 출판사에서 다수의 그래픽 노블 작품을 선보였다.
- AiT/플래닛 라(AiT/Planet Lar영어)
- 《네거티브 번》(Negative Burn영어) vol. 2 #7-10, "에이스"(Aces영어) (섀넌 에릭 덴턴 및 커티스 스퀘어-브릭스 공저). 이 작품은 《에이스: 레드 바론의 저주》(Aces: Curse Of The Red Baron영어)로 출판되었다. (2008년)
- 다크 호스 코믹스 / 버거 북스(Dark Horse Comics/Berger Books영어)
- 《인비저블 킹덤》(Invisible Kingdom영어) #1-현재 (크리스천 워드 공저, 2019년 10월부터 연재 중)
- DC 코믹스(DC Comics영어)
- 《아웃사이더스: 다섯 종류 - 메타모르포/아쿠아맨》(The Outsiders: Five of a Kind - Metamorpho/Aquaman영어) #1, "로그 엘레멘츠"(Rogue Elements영어) (조슈아 미들턴 공저, 2007년 8월). 《아웃사이더스: 다섯 종류》로 수록됨. (2008년)
- 《빅슨: 사자의 귀환》(Vixen: Return of the Lion영어) (제한 시리즈, 2008년 10월 - 2009년 2월). CAFU가 그림을 담당했다. 이 작품은 "포식자", "먹이", "피난처", "부활", "우상"의 다섯 이슈로 구성되어 《빅슨: 사자의 귀환》으로 출판되었다. (2009년)
- 《슈퍼맨》(Superman영어) #704, 706 (레안드로 올리베이라 및 아밀카르 핀나 공저, 2010년). 《슈퍼맨: 그라운드 Vol. 1》에 수록됨. (2011년)
- 《원더 우먼》(Wonder Woman영어) #58-72, 74-81 (캐리 노드, 알레한드로 헤르마니코, 에마누엘라 루파치노, 헤수스 메리노 공저, 2018-2019). "정의로운 전쟁"(The Just War영어)이라는 아크에서 아레스와 대결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 《배트맨 블랙 앤 화이트》(Batman Black and White영어), "변태"(Metamorphosis영어) (그렉 스몰우드 공저, #1, 2020)
- 《더 드리밍: 깨어나는 시간들》(The Dreaming: Waking Hours영어) #1-12 (닉 로블스 공저, 2020년 8월 - 2021년 8월). 이 시리즈는 샌드맨 유니버스의 일부이다. 《더 드리밍: 깨어나는 시간들》로 수록됨. (2021년)
- 《포이즌 아이비》(Poison Ivy영어) (2022년)
- 버티고 코믹스(Vertigo영어)
- 《카이로》(Cairo영어) (그래픽 노블, M.K. 페르커 공저, 2007년 11월). 이 작품은 《퍼블리셔스 위클리》(Publishers Weekly영어), 《에드먼턴 저널》(The Edmonton Journal영어/캔웨스트 뉴스(CanWest News영어)), 《코믹스 워스 리딩》(Comics Worth Reading영어) 등에서 2007년 최고의 그래픽 노블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카이로》의 페이퍼백 판은 《스쿨 라이브러리 저널》(School Library Journal영어)에서 2008년 고등학생을 위한 최고의 그래픽 노블 중 하나로, 미국 도서관 협회에서는 2009년 청소년을 위한 톱 텐 그래픽 노블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 《에어》(Air영어) (2008년 8월 - 2010년 8월). M.K. 페르커와 다시 협업한 이 작품은 2009년 아이스너 상 '최우수 신작 시리즈' 부문 후보에 올랐다. NPR은 《에어》를 2009년 최고의 만화 중 하나로 선정했으며, 《페어필드 위클리》(Fairfield Weekly영어), 《코믹 북 리소스》(Comic Book Resources영어), 《마리 끌레르》(Marie Claire영어), 《라이브러리 저널》(Library Journal영어) 등으로부터도 찬사를 받았다. 이 시리즈는 4권의 수집판으로 나뉘어 출간되었다: 《볼륨 1: 잃어버린 나라에서 온 편지들》(Volume 1: Letters from Lost Countries영어), 《볼륨 2: 비행 기계》(Volume 2: Flying Machine영어), 《볼륨 3: 순수 세계》(Volume 3: Pureland영어), 《볼륨 4: 미래의 역사》(Volume 4: A History of the Future영어).
- 《언익스펙티드》(The Unexpected영어), "개들"(Dogs영어) (로비 로드리게스 공저, 2011년 10월). 《언익스펙티드》에 수록됨. (2013년)
3.4. 마블 코믹스 작업
윌로 윌슨은 마블 코믹스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했으며, 특히 《미즈 마블》 시리즈 재창조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 《미스틱》(Mystic영어) vol. 2 (4 이슈 제한 시리즈, 데이비드 로페즈 공저, 2011년 8월-11월). 이 작품은 크로스젠 리바이벌이지만 이전 버전과는 거의 관련이 없다. 이 시리즈는 《열 번째 견습생》(The Tenth Apprentice영어)으로 수록되었다. (2012년)
- 《걸 코믹스》(Girl Comics영어) vol. 2 #1, "모리타트"(Moritat영어) (밍 도일 공저, 2010년 3월)
- 《우먼 오브 마블》(Women of Marvel영어) #1, "왕좌들"(Thrones영어) (피터 응우옌 공저, 2010년 11월)
- 《미즈 마블》(Ms. Marvel영어) vol. 3 #1-19 (에이드리언 알파나 공저, 2014년 2월 - 2015년 10월). 이 시리즈는 16세 무슬림 슈퍼히어로 카말라 칸을 주인공으로 한다. 이 시리즈는 다음 4권의 수집판으로 출판되었다:
- 《볼륨 1: 노 노멀》(Volume 1: No Normal영어) (2014년)
- 《볼륨 2: 제너레이션 와이》(Volume 2: Generation Why영어) (2015년)
- 《볼륨 3: 크러시드》(Volume 3: Crushed영어) (2015년)
- 《볼륨 4: 라스트 데이즈》(Volume 4: Last Days영어) (2015년)
- 《미즈 마블》(Ms. Marvel영어) vol. 4 #1-38 (2015년 11월 - 2019년 4월). 이 시리즈는 다음 3권의 수집판으로 출판되었다:
- 《볼륨 5: 슈퍼 페이머스》(Volume 5: Super Famous영어) (2016년)
- 《볼륨 6: 시빌 워 II》(Volume 6: Civil War II영어) (2016년)
- 《볼륨 7: 초당 피해량》(Volume 7: Damage Per Second영어) (2017년)
- 《엑스맨》(X-Men영어) vol. 4 #23-26 (2015년 1월 - 4월). 이 시리즈는 《볼륨 5: 타오르는 세계》(Volume 5: The Burning World영어)로 수록되었다. (2015년)
- 《에이-포스》(A-Force영어) vol. 1 (5 이슈 제한 시리즈, 마그리트 베넷 및 호르헤 몰리나 공저, 2015년 5월-10월). 이 시리즈는 《볼륨 0: 워존스!》(Volume 0: Warzones!영어)로 수록되었다. (2015년)
- 《에이-포스》(A-Force영어) vol. 2, #1-4 (2016년 1월-4월). 이 시리즈는 《볼륨 1: 하이퍼타임》(Volume 1: Hypertime영어)으로 수록되었다. (2016년)
- 《올-뉴, 올-디퍼런트 어벤저스 연간》(All-New, All-Different Avengers Annual영어) #1, "인터넷 랜도스"(Internet Randos영어) (마흐무드 아스라르 공저, 2016년 8월)
- 《제너레이션스: 미즈 마블》(Generations: Ms. Marvel영어) #1 (파올로 빌라넬리 공저, 2017년 9월). 이 시리즈는 《제너레이션스》에 수록되었다. (2017년)
4. 캐러멜 칸 창작과 사회적 영향
윌로 윌슨은 이전에 《슈퍼맨》과 《빅슨》과 같은 만화 작품에 참여하며 만화 산업에 몇 차례 발을 들인 적이 있었다. 이후 그녀는 마블 엔터테인먼트의 수석 부사장인 데이비드 가브리엘(David Gabriel영어)로부터 인터뷰 요청을 받았다. 당시 그녀는 두 번째 소설을 거의 완성했지만, 그와의 대화를 위해 시간을 할애했다. 곧이어 그녀는 마블 엔터테인먼트의 이사이자 편집자인 사나 아마나트(Sana Amanat영어)와 함께 미즈 마블의 새로운 버전인 카말라 칸을 공동 창작할 기회를 제안받았다.
카말라 캐릭터를 구상하는 과정은 매우 세밀하게 진행되었다. 두 아티스트는 10대 무슬림 미국인 소녀를 만들기를 원했다. 파키스탄계 혈통으로 결정하기 전에는 소말리아계 미국인 소녀로 만들자는 아이디어도 논의되었다. 그들은 카말라를 창조하면서 이슬람 혐오증을 가진 사람들뿐만 아니라, 카말라가 특정 방식으로 묘사되어야 한다고 믿는 무슬림들로부터도 부정적인 반응을 예상했다. 캐릭터 구상에는 작은 세부 사항에도 초점을 맞췄다. 윌슨은 대다수의 10대 무슬림 미국인 소녀들이 히잡을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카말라가 히잡을 착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초기 우려에도 불구하고 카말라에 대한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일부 매체에서는 그녀를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캐릭터로 묘사하며 현대판 피터 파커에 비유하기도 했다. 다른 이들은 카말라를 다양한 종교 간의 평등과 대표성을 상징하는 인물로 보았다.
5. 개인 생활
윌슨은 2007년부터 남편 오마르와 함께 시애틀에서 거주하고 있다. 그녀는 두 명의 딸을 두고 있다.
6. 수상 및 평가
윌로 윌슨은 그녀의 문학 및 만화 작품들을 통해 다수의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하며 비평가와 대중 모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6.1. 주요 수상 경력
윌로 윌슨은 그녀의 작품을 통해 수많은 문학 및 만화 관련 상을 수상했다.
연도 | 수상 내역 | 작품 |
---|---|---|
2012 | 중동 도서상 - 청소년 문학 부문 | 《보이지 않는 자 알리프》 |
2013 | 퍼시픽 노스웨스트 북셀러스 협회상 - 지역 도서 부문 | 《보이지 않는 자 알리프》 |
2013 | 세계 환상 문학 대상 - 소설 부문 | 《보이지 않는 자 알리프》 |
2014 | 브로큰 프론티어 어워즈 - 메인스트림 최우수 작가 | - |
2015 | 휴고상 - 최우수 그래픽 스토리 부문 | 《미즈 마블》 |
2016 | 드웨인 맥더피 다양성 만화상 | 《미즈 마블》 |
2019 | 미국 도서상 | 《미즈 마블》 |
6.2. 후보 지명
그녀의 작품은 여러 권위 있는 상의 후보로도 지명되었다.
연도 | 후보 내역 | 작품 |
---|---|---|
2009 | 아이스너 상 - 최우수 신작 시리즈 | 《에어》 (M. K. 페르커 공저) |
2012 | 플래허티-더난 첫 소설상 - 첫 소설 부문 (최종 후보) | 《보이지 않는 자 알리프》 |
2013 | 베일리스 여성 소설상 - 소설 부문 (후보) | 《보이지 않는 자 알리프》 |
2013 | 존 W. 캠벨 기념상 - 소설 부문 (3위) | 《보이지 않는 자 알리프》 |
2013 | 로커스상 - 첫 소설 부문 (후보) | 《보이지 않는 자 알리프》 |
2015 | 아이스너 상 - 최우수 신작 시리즈 | 《미즈 마블》 (에이드리언 알파나 공저) |
2015 | 아이스너 상 - 최우수 작가 | - |
2015 | 드웨인 맥더피 다양성 만화상 | 《미즈 마블》 (에이드리언 알파나 공저) |
2015 | 하비 상 - 최우수 작가 | - |
2015 | 하비 상 - 최우수 신작 시리즈 | 《미즈 마블》 |
2016 | 아이스너 상 - 최우수 작가 | - |
6.3. 작품에 대한 평가
윌로 윌슨의 작품은 비평가와 대중 모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미즈 마블》 시리즈는 마블 코믹스 최초의 무슬림 여성 슈퍼히어로를 성공적으로 선보이며 문화적 다양성과 포용성을 증진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이 캐릭터는 많은 독자들에게 공감을 얻었으며, 종교적, 문화적 대표성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녀의 소설 작품 또한 깊이 있는 서사와 마술적 사실주의적 요소로 문학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그녀는 만화와 문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폭넓은 독자층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