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사토 히카루는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에서 태어났다.
1.1. 어린 시절과 교육
사토 히카루는 중학교 시절 육상부에서 포환던지기 선수로 활동했으며, 3학년 때 스모로 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 오카야마학예관고등학교에 진학한 후 아마추어 레슬링을 시작하여, 3학년 때 자유형 레슬링과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70kg급에서 전국 대회 3위에 입상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1.2. 가족 관계
사토 히카루에게는 남동생이 있으며, 그의 남동생은 유명한 록 밴드 indigo la End인디고 라 엔드영어의 드러머인 사토 에이타로이다.
2. 종합격투기 경력
사토 히카루는 학창 시절 아마추어 레슬링 경력을 바탕으로 1999년 6월부터 판크라스 하이브리드 레슬링에서 종합격투기 훈련을 시작했다.
2.1. 데뷔 및 초기 활동
그는 2000년 2월 27일 미들급 선수로서 판크라스에서 와타나베 다이스케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으나, 판정패했다. 이어진 2000년 4월 30일 두 번째 경기에서는 마이클 사 진 쿼크를 1라운드 만에 암바로 제압하며 첫 승리를 거두었다. 사토는 일찍부터 독특한 개성으로 이름을 알렸는데, 경기에 나설 때 고양이 귀를 착용하거나 메이드복을 입고 링에 입장하는 등 이색적인 모습을 보였다.
2001년, 사토는 세 차례의 주요 경기를 가졌다. 3월 31일에는 당시 판크라스 미들급 챔피언이었던 네이트 마쿼트에게 서브미션으로 패배했으며, 5월 5일에는 료 초난의 프로 데뷔전에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하지만 8월 30일에는 판크라스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 야마미야 케이이치로에게 만장일치 판정패했다.
2.2. 주요 경기 및 토너먼트
2004년 1월 18일, 사토는 Greatest Common Multiple (GCM)의 2004년 데몰리션 미들급 4인 토너먼트에서 나카무라 다이스케를 판정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경기 이후 그는 링 위에서 판크라스 무차별급 챔피언 조쉬 바넷에게 공개적으로 도전 의사를 밝혔다. 2005년 1월 30일에는 제2회 프로-아마 오픈 캐치 레슬링 토너먼트 100kg 미만급에서 우승하며 실력을 입증했다.
초기 판크라스 활동에서 사토는 승리보다 패배가 많았으나, 2007년 2월 28일 후지이 리쿠헤이를 꺾으면서 17승 16패 3무로 생애 처음으로 승리 수가 패배 수를 앞질렀다. 2007년 12월 22일, 그는 마침내 조쉬 바넷과 링에서 맞붙었으나, 이 경기는 캐치 레슬링 룰로 진행되었고 바넷에게 1라운드 종료 직전 서브미션으로 패배했다. 2008년 프로레슬링으로 전향한 이후 종합격투기 경기 수는 줄었지만, 2017년 2월 5일 조나단 아이비를 상대로 TKO 승리를 거두며 24승 27패 4무의 전적을 기록했다.
2.3. 종합격투기 전적
승패 | 전적 | 상대 | 방식 | 대회 | 날짜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패 | 24-27-4 | 칸토 후치가미 | TKO (펀치) | Pancrase: 322 | 2021년 6월 27일 | 1 | 3:32 | 일본 도쿄 | 슈퍼 헤비급 경기 |
패 | 24-26-4 | 김두환 | 서브미션 (암 트라이앵글 초크) | Top FC 18 | 2018년 5월 25일 | 1 | 2:21 | 대한민국 서울 | 라이트 헤비급 경기 |
패 | 24-25-4 | 사쿠라이 류타 | TKO (펀치) | Pancrase: 289 | 2017년 8월 20일 | 2 | 0:23 | 일본 도쿄 | |
승 | 24-24-4 | 조나단 아이비 | TKO (펀치) | Pancrase: 284 | 2017년 2월 5일 | 1 | 1:18 | 일본 도쿄 | 오픈 웨이트 경기 |
패 | 23-24-4 | 세르게이 마르티노프 | 서브미션 (암바) | Pancrase: 275 | 2016년 1월 31일 | 1 | 2:03 | 일본 도쿄 | |
승 | 23-23-4 | 섀넌 리치 | 서브미션 (암바) | Pancrase: 269 | 2015년 8월 9일 | 1 | 1:36 | 일본 도쿄 | 라이트 헤비급 경기 |
승 | 22-23-4 | 후지누마 히로히데 | 서브미션 (스카프 홀드 암록) | Deep: Dream Impact 2014: Omisoka Special | 2014년 12월 31일 | 1 | 2:10 | 일본 사이타마 | 오픈 웨이트 경기 |
패 | 21-23-4 | 다카야마 요시히로 | KO (슬램) | U-Spirits: Again | 2013년 3월 9일 | 1 | 4:26 | 일본 도쿄 | 논쟁 중. 프로레슬링 경기로 보고되기도 함. |
패 | 21-22-4 | 이케이 나가무라 | 판정 (만장일치) | Pancrase: Progress Tour 1 | 2012년 1월 28일 | 2 | 5:00 | 일본 도쿄 | |
승 | 21-21-4 | 시부야 오사미 | 서브미션 (스카프 홀드 암록) | ZST: Battle Hazard 4 | 2010년 7월 3일 | 1 | 2:22 | 일본 도쿄 | |
승 | 20-21-4 | 오호리 류지 | 서브미션 (힐 훅) | Pancrase: Changing Tour 1 | 2009년 2월 1일 | 1 | 3:46 | 일본 도쿄 | 라이트 헤비급 경기 |
패 | 19-21-4 | 허민석 | TKO (코너 스톱) | Deep: Gladiator | 2008년 8월 16일 | 1 | 1:08 | 일본 오카야마 | |
승 | 19-20-4 | 제리 넬슨 | 서브미션 (힐 훅) | Pancrase: Real 2008 | 2008년 6월 29일 | 1 | 2:37 | 일본 차탄정 | 라이트 헤비급 경기 |
패 | 18-20-4 | 알라부트딘 가지예프 | KO (펀치) | Pancrase: Shining 2 | 2008년 3월 26일 | 1 | 1:20 | 일본 도쿄 | |
무 | 18-19-4 | 사토 타케시 | 무승부 | Kingdom of Grapple: Live 2007 | 2007년 11월 25일 | 2 | 5:00 | 일본 도쿄 | |
승 | 18-19-3 | 아베 켄타로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Pancrase: Rising 8 | 2007년 10월 14일 | 2 | 2:27 | 일본 도쿄 | |
패 | 17-19-3 | 후쿠다 리키 | KO (펀치) | Pancrase: 2007 Neo-Blood Tournament Finals | 2007년 7월 27일 | 1 | 1:09 | 일본 도쿄 | |
패 | 17-18-3 | 브라이언 라피크 | TKO (펀치) | Pancrase: Rising 4 | 2007년 4월 27일 | 2 | 2:16 | 일본 도쿄 | |
승 | 17-17-3 | 후지이 리쿠헤이 | 판정 (다수) | Pancrase: Rising 2 | 2007년 2월 28일 | 2 | 5:00 | 일본 도쿄 | |
승 | 16-17-3 | 스비아토슬라프 마타포노프 | 판정 (만장일치) | Pancrase: Blow 11 | 2006년 12월 10일 | 2 | 5:00 | 일본 도쿄 | |
승 | 15-17-3 | 이와미야 토모요시 | 판정 (만장일치) | Pancrase: Blow 9 | 2006년 10월 25일 | 2 | 5:00 | 일본 도쿄 | |
패 | 14-17-3 | 다케우치 이즈루 | 판정 (만장일치) | Pancrase: Blow 6 | 2006년 8월 27일 | 3 | 5:00 | 일본 요코하마 | 미들급 복귀 |
승 | 14-16-3 | 하나자와 다이스케 | 서브미션 (토 홀드) | Pancrase: Blow 2 | 2006년 3월 19일 | 2 | 2:01 | 일본 오사카 | 라이트급 데뷔 |
패 | 13-16-3 | 사쿠라기 유지 | TKO (사커 킥) | Pancrase: Blow 1 | 2006년 1월 26일 | 1 | 0:55 | 일본 도쿄 | |
무 | 13-15-3 | 교스케 사사키 | 무승부 | Pancrase: Spiral 10 | 2005년 12월 4일 | 1 | 10:00 | 일본 도쿄 | |
패 | 13-15-2 | 포아이 스가누마 | 판정 (만장일치) | Pancrase: Spiral 8 | 2005년 10월 2일 | 2 | 5:00 | 일본 요코하마 | |
승 | 13-14-2 | 마츠모토 텐신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Pancrase: Z | 2005년 9월 3일 | 1 | 2:43 | 일본 구마모토 | |
승 | 12-14-2 | 오구라 세이지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Pancrase: Spiral 5 | 2005년 7월 10일 | 1 | 4:16 | 일본 요코하마 | |
승 | 11-14-2 | 고야노 스미오 | TKO (코너 스톱) | Pancrase: Spiral 1 | 2005년 2월 4일 | 1 | 2:57 | 일본 도쿄 | 헤비급 복귀 |
패 | 10-14-2 | 히사마츠 유지 | 판정 (만장일치) | Pancrase: Brave 11 | 2004년 11월 26일 | 2 | 5:00 | 일본 도쿄 | |
무 | 10-13-2 | 교스케 사사키 | 무승부 | Pancrase: Brave 9 | 2004년 10월 12일 | 2 | 5:00 | 일본 도쿄 | |
패 | 10-13-1 | 이노우에 카츠야 | TKO (펀치) | Pancrase: Brave 6 | 2004년 6월 22일 | 1 | 3:53 | 일본 도쿄 | |
승 | 10-12-1 | 나카니시 유이치 | 판정 (다수) | Pancrase: Brave 3 | 2004년 3월 29일 | 3 | 5:00 | 일본 도쿄 | |
승 | 9-12-1 | 나카무라 다이스케 | 판정 (만장일치) | GCM: Demolition 040118 | 2004년 1월 18일 | 2 | 5:00 | 일본 도쿄 | 데몰리션 미들급 4인 토너먼트 우승 |
승 | 8-12-1 | 소토야마 신페이 | TKO (펀치) | GCM: Demolition 030923 | 2003년 9월 23일 | 1 | 2:29 | 일본 도쿄 | |
패 | 7-12-1 | 하세가와 히데히코 | 판정 (스플릿) | Pancrase: Hybrid 7 | 2003년 6월 22일 | 2 | 5:00 | 일본 오사카 | |
승 | 7-11-1 | 엘렉트로쇼크 | 서브미션 (힐 훅) | Deep: 9th Impact | 2003년 5월 5일 | 2 | 0:57 | 일본 도쿄 | 라이트 헤비급 경기 |
승 | 6-11-1 | 시바타 히로시 | 서브미션 (토 홀드) | GCM: Demolition 030323 | 2003년 3월 23일 | 1 | 2:36 | 일본 도쿄 | |
패 | 5-11-1 | 오카미 유신 | 판정 (만장일치) | Pancrase: Hybrid 1 | 2003년 1월 26일 | 2 | 5:00 | 일본 도쿄 | |
무 | 5-10-1 | 야마자키 스스무 | 무승부 (만장일치) | Pancrase: Spirit 7 | 2002년 10월 29일 | 2 | 5:00 | 일본 도쿄 | |
패 | 5-10 | 코지마 마사야 | 판정 (만장일치) | KF 2: Kushima's Fight 2 | 2002년 7월 23일 | 3 | 5:00 | 일본 나가사키 | |
승 | 5-9 | 후케 타카쿠 | 판정 (다수) | Pancrase: Spirit 4 | 2002년 5월 11일 | 2 | 5:00 | 일본 오사카 | |
승 | 4-9 | 오쿠보 카즈키 | 판정 (다수) | Pancrase: Spirit 2 | 2002년 2월 17일 | 2 | 5:00 | 일본 오사카 | |
패 | 3-9 | 이와사키 히데아키 | KO (펀치) | Pancrase: Proof 6 | 2001년 10월 30일 | 2 | 4:20 | 일본 도쿄 | |
패 | 3-8 | 야마미야 케이이치로 | 판정 (만장일치) | Zero1: Shingeki Chapter 2 | 2001년 8월 30일 | 2 | 5:00 | 일본 도쿄 | |
패 | 3-7 | 미사키 카즈오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Pancrase: 2001 Neo-Blood Tournament Opening Round | 2001년 5월 5일 | 1 | 4:08 | 일본 도쿄 | 미들급 복귀 |
승 | 3-6 | 료 초난 | 판정 (만장일치) | Pancrase: 2001 Neo-Blood Tournament Eliminations | 2001년 5월 5일 | 3 | 5:00 | 일본 도쿄 | 헤비급 데뷔 |
패 | 2-6 | 네이트 마쿼트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Pancrase: Proof 2 | 2001년 3월 31일 | 1 | 1:53 | 일본 오사카 | |
승 | 2-5 | 사토 신야 | 판정 (만장일치) | Pancrase: Trans 8 | 2000년 12월 9일 | 1 | 10:00 | 일본 아오모리 | 라이트 헤비급 경기 |
패 | 1-5 | 시바타 히로시 | 판정 (만장일치) | Pancrase: Trans 6 | 2000년 10월 31일 | 1 | 10:00 | 일본 도쿄 | |
패 | 1-4 | 이시카와 에이지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Pancrase: 2000 Neo-Blood Tournament Second Round | 2000년 8월 27일 | 1 | 2:43 | 일본 오사카 | |
패 | 1-3 | 호시노 유지 | 판정 (만장일치) | Pancrase: 2000 Neo-Blood Tournament Opening Round | 2000년 7월 23일 | 2 | 3:00 | 일본 도쿄 | |
승 | 1-2 | 마이클 사 진 쿼크 | 서브미션 (암바) | Pancrase: Trans 3 | 2000년 4월 30일 | 1 | 2:23 | 일본 요코하마 | 미들급 데뷔 |
패 | 0-2 | 와타나베 다이스케 | 판정 (만장일치) | Pancrase: Trans 2 | 2000년 2월 27일 | 1 | 10:00 | 일본 오사카 |
3. 프로레슬링 경력
사토 히카루는 2008년 3월부터 판크라스 창립자 스즈키 미노루 아래에서 프로레슬링 훈련을 시작했다.
3.1. DDT 프로레슬링 활동
2008년 5월 24일, 사토는 DDT 프로레슬링의 "하드 히트" 이벤트에서 이시카와 슈지를 꺾으며 프로레슬링 데뷔전을 치렀다. "하드 히트"는 DDT 프로레슬링의 프로젝트로, 종합격투기와 프로레슬링 요소를 결합하여 더욱 실전적인 모습을 추구하는 스타일이다. 그는 프로레슬링에서도 메이드복을 입고 경기를 펼치는 등 자신의 독특한 캐릭터를 유지했다.
이후 사토는 오사카 프로레슬링과 스즈키 미노루가 주최하는 인디 단체에도 출연하며 활동 반경을 넓혔다. 2008년 8월 DDT 프로레슬링에 정기적으로 출전하기 시작했으며, 그 과정에서 마이클 나카자와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2009년 2월 22일, 사토는 타노무사쿠 토바, 야스 우라노와의 삼자간 경기에서 승리하며 KO-D 무차별급 왕좌에 도전할 기회를 얻었으나, 3월 15일 챔피언 다카기 산시로를 상대로 패배했다.
2009년 11월 29일, 사토는 단쇼쿠 디노, 마사 타카나시와 함께 Belt Hunter×Hunter벨트 헌터×헌터영어 스테이블을 결성하여 UWA 세계 6인 태그팀 왕좌를 획득하며 첫 프로레슬링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그는 이후 이시이 케이스케, 요시히코와 함께 UWA 세계 6인 태그팀 왕좌를 한 차례 더 획득했으며, 마이클 나카자와 및 마츠나가 토모미츠와 함께 Shit Heart♥Foundation싯 하트 파운데이션영어을 결성하여 DDT 지유가오카 6인 태그팀 왕좌와 DDT 니혼카이 6인 태그팀 왕좌도 차지했다. 2010년 11월 12일, 사토는 하라시마를 꺾고 KO-D 무차별급 왕좌에 올랐으나, 14일 만에 딕 토고에게 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2011년 2월 27일에는 타카오 소마와의 Hair vs. Hair match헤어 vs. 헤어 매치영어에서 패배하여 머리를 삭발하는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 2013년 5월 3일, 사토는 동료 종합격투가인 사카구치 유키오와 함께 하라시마와 야스 우라노를 꺾고 KO-D 태그팀 왕좌를 처음으로 획득했다. 이들은 8월 18일 코다카 이사미와 미야모토 유코에게 타이틀을 잃기 전까지 세 차례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2014년 1월 17일, DDT 프로레슬링은 사토와의 정규 계약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으나, 그는 이후에도 {{lang|en|Union Pro Wrestling|유니온 프로레슬링]] 및 간헐적인 하드 히트 이벤트에서 활동하며 DDT와 간접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3.2. 전일본 프로레슬링(AJPW) 활동
2010년 7월 25일, 사토는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처음으로 출전하여 Junior League주니어 리그영어 개막전에서 야마토 히로시를 상대로 승리했다. 그는 이후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주니어 리그 및 주니어 태그 리그에 꾸준히 참여했다.
2013년 1월 26일, 사토는 야마토 히로시와 함께 태그팀 Jounetsu Hentai Baka정열 변태 바카영어 (정열 변태 바보)를 결성하여 주니어 스타즈 (Koji Kanemoto카네모토 코지영어 & 타나카 미노루)를 꺾고 올 아시아 태그팀 왕좌를 획득하며 전일본에서의 첫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하지만 15일 만에 다시 주니어 스타즈에게 타이틀을 내주었다. 2014년 2월, 사토는 스야마와 조 도어링이 이끄는 에볼루션 스테이블에 합류했다.
2014년 10월 22일, 사토는 아오키 아츠시와 함께 2014 Jr. 태그 배틀 오브 글로리에서 우승하며 성공적인 태그팀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이들은 2015년과 2016년에도 Jr. 태그 배틀 오브 글로리에서 우승하며 3년 연속으로 토너먼트를 제패하는 위업을 달성했다. 이 기간 동안 사토와 아오키는 Hentai Jieitai변태 자위대영어라는 태그팀 이름으로 활동했다. 2016년 6월 19일, 사토는 아오키 아츠시를 꺾고 월드 주니어 헤비급 왕좌를 처음으로 차지했으며, 7월 14일에는 다카이와 타츠히토를 상대로 첫 방어에 성공했다.
2016년 7월 24일, 사토와 아오키는 빅 재팬 프로레슬링 이벤트에서 코다카 이사미와 미야모토 유코를 꺾고 올 아시아 태그팀 왕좌를 획득하며 더블 챔피언에 올랐다. 그러나 8월 28일 DDT 프로레슬링에서 타카오 소마에게 월드 주니어 헤비급 왕좌를 잃었다. 2016년 11월 27일, 사토와 아오키는 오니타 아츠시와 후치 마사노부에게 올 아시아 태그팀 왕좌를 내주었다.
2017년 4월 28일, 사토는 이시이 케이스케를 꺾고 두 번째 월드 주니어 헤비급 왕좌를 차지했다. 6월 20일에는 아오키와 함께 오니타와 후치에게서 올 아시아 태그팀 왕좌를 탈환하며 또 다시 더블 챔피언이 되었다. 7월 30일, 사토는 타지리에게 월드 주니어 헤비급 왕좌를 잃었고, 8월 3일 스야마와의 그래플링 매치에서 패배한 후 에볼루션에서 탈퇴를 선언했다. 8월 27일, 사토와 아오키는 블랙 타이거 7세와 타카 미치노쿠에게 올 아시아 태그팀 왕좌를 잃었다. 이후 2019년에는 오카다 유스케와, 2020년에는 타무라 단과 함께 Jr. 태그 배틀 오브 글로리에서 우승했다. 2023년 3월 1일에는 주니어 꿈의 제전에 도정 스웨터를 입고 타구치 류스케, 이마나리 유메토와 함께 変態トリオ변태 트리오일본어(변태 트리오)를 결성하여 출전했다. 그는 2024년 5월 5일 프로레슬링 노아의 WRESTLE MAGIC 2024레슬 매직 2024영어 흥행에 출전하며 노아에 첫 참전을 기록했다.
3.3. 기타 단체 활동 및 하드 히트 프로젝트
사토는 유니온 프로레슬링, 도쿄 구렌타이 등 다양한 단체에서 활동했다. 2014년 5월 18일, 사토는 코다카 이사미를 꺾고 유니온 맥스 왕좌를 차지했으며, 2014년 7월 7일에는 모치즈키 마사아키와 함께 도쿄 인터콘티넨탈 태그팀 왕좌를 획득했다. 2015년 6월 4일, 사토는 Hard Hit하드 히트영어 프로젝트의 모든 권리를 획득하여 DDT에서 독립적인 브랜드로 운영하게 되었다. 2016년 4월 4일, 그는 카와무라 료와 함께 다시 한번 도쿄 인터콘티넨탈 태그팀 왕좌를 차지했다. 2023년 12월 27일, TAKA 미치노쿠가 주최한 인디 주니어 축제에서 56명 참가 토너먼트를 뚫고 인디펜던트 월드 주니어 헤비급 왕좌의 38대 챔피언에 올랐다.
3.4. 페르소나 및 경기 스타일
사토 히카루는 링 안팎에서 독특한 페르소나를 선보였다. 특히 메이드복을 입고 경기에 임하거나 입장하는 모습은 그의 상징적인 개성 중 하나이다. 이러한 모습은 상대 선수들에게 충격이나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일부 선수들은 그의 유머 감각을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그의 경기 스타일은 종합격투기 배경을 기반으로 한 강력한 기술과 노련한 운영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주요 피니시 기술로는 앵클 홀드, 암바 (특히 다리를 잡고 사용하는 형태), 그리고 상대방의 급소를 정확히 노리는 장외 타격이 있다. 그는 KO-D 무차별급 왕좌를 획득할 때도 암바를 사용하여 레프리 스톱을 유도했다. 또한 뛰어난 레슬링 기술을 바탕으로 크랩 홀드 (플라잉 스타일), 닐 킥, 버즈소 킥, 헤드벗, 그리고 다양한 발차기 기술을 구사한다. 타격 외에도 데스 밸리 밤, 저먼 수플렉스, 백드롭과 같은 강력한 던지기 기술도 사용한다. 그는 히트하면 스즈키 미노루처럼 혀를 내미는 버릇이 있으며, 시합 초반 로프 브레이크 시 도발적으로 강한 손바닥치기를 날려 관객들의 호응을 얻는 경우가 많다.
그의 입장 테마곡으로는 DAISHI DANCE다이시 댄스영어의 'PIANO Renovation. (MUSH UP ANTHEM) feat. 요시다 형제'가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과거에는 시노하라 료코의 '사랑스러움과 애절함과 든든함과', Perfume퍼퓸영어의 '일렉트로 월드' (승부 경기 한정), THE BOOM의 '푸른 석양' (야마토 히로시와의 태그팀 '정열 변태 바보' 테마곡) 등이 있었다.
4. 획득한 타이틀 및 업적
사토 히카루는 종합격투기와 프로레슬링 양 분야에서 다양한 타이틀과 업적을 쌓았다.
- 종합격투기
- Greatest Common Multiple (GCM)
- 데몰리션 미들급 4인 토너먼트 (2004)
- 프로-아마 오픈 캐치 레슬링 토너먼트 100kg 미만급 우승 (2005)
- 프로레슬링
- 전일본 프로레슬링
- 올 아시아 태그팀 왕좌 (5회) - 야마토 히로시 (1회), 아오키 아츠시 (2회), 타무라 단 (2회)
- 전일본 프로레슬링 TV 인정 6인 태그팀 왕좌 (1회, 현 챔피언) - 아베 후미노리, 아오야기 유마와 함께
- 월드 주니어 헤비급 왕좌 (3회)
- Jr. 태그 배틀 오브 글로리 (5회) - 아오키 아츠시 (2014, 2015, 2016), 오카다 유스케 (2019), 타무라 단 (2020)과 함께
- DDT 프로레슬링
- 아이언맨 헤비메탈급 왕좌 (2회)
- KO-D 무차별급 왕좌 (1회)
- KO-D 태그팀 왕좌 (1회) - 사카구치 유키오와 함께
- UWA 세계 6인 태그팀 왕좌 (3회) - 단쇼쿠 디노 & 마사 타카나시 (1회), 이시이 케이스케 & 요시히코 (1회), 마이클 나카자와 & 마츠나가 토모미츠 (1회)와 함께
- 지유가오카 6인 태그팀 왕좌 (1회) - 마이클 나카자와 & 마츠나가 토모미츠와 함께
- 니혼카이 6인 태그팀 왕좌 (1회) - 마이클 나카자와 & 마츠나가 토모미츠와 함께
- 월드 사토 왕좌 (1회) 1
- DDT48 (2011)
- 기타
- 인디펜던트 월드 주니어 헤비급 왕좌 (1회, 현 챔피언)
- 간바레☆프로레슬링
- 스피릿 오브 간바레 월드 태그팀 왕좌 (1회) - 마에구치 타이슨과 함께
- 프로레슬링 일러스트레이티드
- PWI 500에서 2016년 싱글 레슬러 500명 중 184위
- 텐류 프로젝트
- 텐류 프로젝트 인터내셔널 주니어 헤비급 왕좌 (1회)
- 인터내셔널 주니어 헤비급 태그팀 왕좌 (1회) - 야노 케이타와 함께
- 텐류 프로젝트 유나이티드 내셔널 태그팀 왕좌 (1회, 현 챔피언) - 스즈키 히데키와 함께
- 텐류 프로젝트 월드 6인 태그팀 왕좌 (1회, 현 챔피언) - 하시모토 다이치, 스시와 함께
- 도쿄 구렌타이
- 도쿄 인터콘티넨탈 태그팀 왕좌 (2회) - 모치즈키 마사아키 (1회), 카와무라 료 (1회)와 함께
- 유니온 프로레슬링
- 유니온 맥스 왕좌 (1회)
- 프로레슬링 가토운도
- 고고 그린 카레 콥푼 컵 우승 (2019) - 리호와 함께
- 류큐 드래곤 프로레슬링
- 오만토 왕좌 "소류오" (1회) - 로키 카와무라 2와 함께
- 일본 인디 대상
- 특별상 (2010)
1 DDT 프로레슬링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챔피언십.
- 전일본 프로레슬링
- Greatest Common Multiple (GCM)
5. 대외 활동 및 개인 생활
사토 히카루는 링 밖에서도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자신의 개성을 드러냈다.
5.1. 집필 활동
사토 히카루는 여러 미디어 플랫폼에서 활발한 집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주간 단위로 방대한 양의 원고를 작성하며 격투기 활동과 병행하고 있다.
- 현재 연재 중
- 전일본 프로레슬링 및 프로레슬링 노아 공식 모바일 사이트 "프로레슬링/격투기 DX"의 《오만 국제공항으로부터의 편지》: 2018년 2월부터 매주 화요일에 연재되는 웹 일기.
- 모바일 SPA!스파!영어 내 칼럼 《사토 히카루의 데카모리 챔피언 카니발》: 2008년 8월 시작. 종합격투기에서 프로레슬링으로 활동 영역을 넓힌 사토가 프로레슬러에 걸맞은 거대한 신체를 얻기 위해 대용량 요리에 도전하는 기획. 주제는 "EATorDIE!!!!!!".
- 모바일 영화 정보 사이트 "영화 비보 클럽" 내 칼럼 《잔변감 영화 비평》: 격투가의 입장에서 영화를 비평하는 독특한 시도의 칼럼으로 부정기적으로 연재된다.
- 판크라스 공식 팬클럽 "HYBRID CLUB"의 《사토 히카루의 세계 장소 발견》.
- 과거 연재 칼럼
- 《주간 공》 지면 《독자 참여형 서바이벌 칼럼》(2008년 10월 29일호 No.1443 - 2009년 9월 16일호 No.1489): 세 명의 프로레슬러가 칼럼을 집필하고 매주 독자 투표를 통해 연재 지속 여부를 가렸다.
- 월간 DMM디엠엠영어 DVD 리뷰 집필 (폐간으로 연재 종료).
- 모바일 SPA!스파!영어 내 칼럼 《사토 히카루의 너의 눈동자에 이상해》: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에이스 타나하시 히로시도 애독했다는 칼럼이다. 사토 본인도 놀랐으며, 스즈키 미노루와 함께 참석한 2006년 프로레슬링 대상 시상식에서 타나하시가 먼저 인사를 건네와 황송했던 일화도 실려 있다. 스즈키는 타나하시에게서 사토의 칼럼을 즐겨 읽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런 것을 돈 주고 읽다니 바보 아니냐"며 크게 웃었다고 한다.
- 모바일 《공》 내 칼럼 《히카루의 여 프로레슬링☆파라다이스》: 사토가 매회 인기 여자 프로레슬러를 게스트로 초대하여 인터뷰했다. 공 휴간에 따른 사이트 폐쇄로 종료되었다.
- 왕도! SP-777에스피-777영어 내 칼럼 《사토 히카루의 팔러 망상 뇌내 일족》: 파칭코·파치슬롯 종합 사이트 "파칭코의 신"에서 파칭코에 관한 칼럼.
- 모바일 사이트 "격투 왕국" 내 칼럼 《사토 히카루의 육지의 고도 통신》.
5.2. 미디어 출연
- TV 도쿄 《낚시 로망을 찾아서》(2008년 3월 1일 방송 #972): 스즈키 미노루의 보조 역할로 함께 게스트로 출연했다.
5.3. 스즈키 미노루와의 관계
사토 히카루는 스즈키 미노루를 자신의 스승이자 정신적 지주로 여긴다. 2004년 10월 12일 판크라스 대회에서 사토는 스즈키를 공개적으로 도발하는 사건을 일으켰다. 그는 U-STYLE에 참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후, 스즈키에게 "저는 판크라스에 들어와 누구보다 당신 가까이 있었습니다. 1년여 전 '라이거 선수와 싸워 느끼는 것이 있으니, 저는 이적해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진짜 싸움을 하러 가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쭉 스즈키 씨를 따라왔지만, 최근 스즈키 씨를 보면 그것이 진짜 싸움입니까? 스즈키 씨는 여전히 강하지만, 지금까지 갈고닦은 칼은 판크라스 링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 아닙니까? 갈고닦지 않은, 잘리지 않는 칼은 그저 철덩어리일 뿐입니다! 왜 판크라스의 젊은 선수들과는 싸워주지 않습니까? NK 홀에서 첫 경기, 이것 (레가스)을 차고 저와 싸워주십시오!"라고 외쳤다.
이에 분노한 스즈키는 백스테이지 통로에서 사토에게 덤벼들었고, 주변 관계자들이 겨우 말려 사태가 진정되었다. 이 사건으로 스즈키는 3개월 감봉 10%의 징계를 받았다. 그러나 이 사건 이후 사토와 스즈키의 사제 관계는 더욱 돈독해졌고, 2005년 5월 1일 판크라스 링에서 스즈키와 시범 경기를 갖기도 했다. 사토는 스즈키 미노루의 공식 온라인 상점 '파일드라이버'의 일이 바쁘다는 이유로 2013년 TAKA 미치노쿠와 타이치의 자율 흥행에서 반스즈키군 동맹 X로 링에 오르기도 했다. 스즈키는 사토가 프로레슬링 전향을 결심했을 때, 자신이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지는 않겠다고 말했지만, 그가 정기적으로 출전하는 전일본 프로레슬링 도장으로 출장 훈련을 갈 수 있도록 주선하거나, 자신의 20주년 기념 흥행에서 경기를 갖도록 하는 등 간접적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5.4. 주요 일화 및 특이사항
- 사토 히카루는 히로스에 료코의 열렬한 팬으로 유명하다. 중학생 시절 주간 영 점프에 데뷔한 히로스에를 만나기 위해 오카야마현에서 고치현까지 자전거를 타고 찾아가기도 했다. 그 결과 히로스에의 아버지의 도움으로 히로스에와 함께 사진을 찍는 데 성공했고, 그 사진을 티셔츠로 만들어 입고 다녔다.
- 조쉬 바넷이나 사쿠라기 유지와의 경기에서 보듯이, 그는 무차별급 경기에서 자신만의 미학을 추구한다.
- 2002년 3월 30일, DEEP2001 4th IMPACT in NAGOYA딥2001 4th 임팩트 인 나고야영어에서 스즈키 미노루와 엘 솔라르의 경기 중 난투극이 벌어졌을 때, 사토는 난투에 뛰어들었다가 안경을 잃어버렸다. 이후 상대편 세컨드인 멕시코인 청년이 그의 안경을 찾아 가져다주었고, 그 청년은 현재 프로레슬링 노아에서 활동하는 리키 마빈이었다.
- 2006년 8월 14일, 탐정 파일 기획으로 야마키 요스케와 아키하바라 공원에서 공개 연습을 진행했다. 사토는 메이드복 차림으로 등장하여 그 복장 그대로 야마키와 대결했는데, 삼각 조르기를 노리는 야마키를 버스터로 바닥에 내리찍으려는 등 매우 위험하지만 유머러스한 파이팅을 선보였다.
- 프로레슬링 잡지 《주간 공》의 모바일 사이트 '모바일 공'에서 여자 프로레슬러들과 대담하는 칼럼 '히카루의 여 프로레슬링☆파라다이스'를 연재했다. 이 칼럼에서 메이드 카페에서 카스가 모에카와 '메이드복 대담'을 진행하며 의기투합한 일화가 있으며, 이후 카스가 모에카가 2006년 10월 25일 판크라스 고라쿠엔 홀 대회에서 사토의 메이드 세컨드로 나서기도 했다.
- 메이드 차림으로 입장하는 그의 모습에 야마모토 "KID" 노리후미 (상대 선수 후쿠다 리키의 세컨드)가 후쿠다에게 "죽여라!"고 지시할 정도로 격노하기도 했으나, 브라이언 라피크는 "조크 가이를 좋아한다"고 말하는 등 호불호가 갈렸다.
- 2004년 7월 23일 오후 8시경, 요코하마시의 한 파칭코 가게에서 가게 점장과 심하게 다투다 도주하려는 불심자를 목격하고 추격하여 가게로 데려왔다. 이후 불심자가 경찰의 직무 질문을 뿌리치고 다시 도주하자 경찰과 협력하여 추적 끝에 붙잡는 데 성공했다. 이 공로로 이세자키 경찰서로부터 감사장을 받았다. 나중에 그 불심자가 불법 체류 외국인임이 밝혀졌다. 사토는 인터뷰에서 "나중에 경찰관에게 '필사적으로 도망치려는 불법 체류 외국인은 무슨 짓을 할지 모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는 말을 들었지만, 저는 격투기 선수로서 규칙을 지키고 싸우고 있으므로, 사회에서도 규칙을 지키지 않는 사람은 용납할 수 없다는 생각에 몰두했다"고 밝혔다. 또한 "평소 몸을 단련하고 있으니, 유사시에 사회를 위해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당연하며, 'P's LAB Yokohama피스 랩 요코하마영어'의 강사로서 회원들에게 격투기를 가르치는 입장에서 범죄자라 할지라도 일반인을 상대로 부상을 입혀서는 안 되므로, 거기에 배려했다"고 덧붙였다.
- 판크라스 공식 체육관 'P's LAB Yokohama피스 랩 요코하마영어'에서 일반 학생 및 어린이 (어린이 레슬링)를 지도하고 대회에 인솔하기도 한다.
- 스즈키 미노루와 함께 카이엔타이 도조에 참전하기도 했으며, 판크라스 대회에서는 링 아나운서도 맡고 있다.
- 2013년 3월 17일, 스피드 파트너스에 의한 전일본 프로레슬링 인수 발표 후 첫 빅 매치였던 료고쿠 국기관 대회에서, 링 위에서 인사한 신임 오너 시라이시 노부오를 습격했다. 이 사건 이후 그는 도쿄 스포츠와의 인터뷰에서 "프로레슬링을 얕본 인간이 있다면, 소속은 아니지만 나설 수밖에 없었다", "사회인으로서는 잘못된 행동으로 죄송하지만, 프로레슬러로서는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사건은 《주간 프로레슬링 4월 3일호》 표지에 실리기도 했다.
6. 평가 및 유산
사토 히카루는 종합격투기와 프로레슬링이라는 두 개의 상이한 격투 스포츠를 성공적으로 넘나들며 활동한 독특한 이력을 가진 선수이다. 그의 초기 종합격투기 경력에서는 메이드복을 입고 등장하는 등 파격적인 퍼포먼스로 주목받았으며, 이는 그가 단순히 강함만을 추구하는 선수가 아닌, 대중과의 소통 방식에 대한 깊은 고민을 가진 엔터테이너임을 보여주었다.
프로레슬링으로 전향한 후에도 그는 '변태'라는 페르소나와 결합된 실전적인 경기 스타일을 유지하며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했다. 특히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에볼루션 스테이블에서 스야마나 아오키 아츠시와 같은 실력파 선수들과 호흡을 맞추며 주니어 헤비급 전선의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단순히 기행적인 캐릭터에 그치지 않고, KO-D 무차별급 왕좌나 월드 주니어 헤비급 왕좌와 같은 주요 타이틀을 획득하며 선수로서의 역량도 증명했다.
그의 자율 프로듀싱 프로젝트인 하드 히트는 종합격투기와 프로레슬링의 경계를 허물고, 보다 사실적인 격투 요소를 프로레슬링에 도입하려는 시도로 평가받는다. 이는 일본 프로레슬링 내에서 'U' 스타일의 계보를 잇는 중요한 흐름 중 하나로 인식되며, 사토 히카루는 이러한 스타일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기억된다. 스승인 스즈키 미노루와의 특별한 사제 관계는 그의 성장 배경과 선수로서의 정신적 깊이를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전반적으로 사토 히카루는 독특한 개성과 뛰어난 실력, 그리고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도전 정신으로 일본 격투 스포츠 역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선수로 평가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