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년기
함자 함자올루는 1970년 7월 1일에 태어났다. 그의 유년기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2. 선수 경력
함자 함자올루는 1988년부터 2004년까지 약 16년간 프로 축구 선수로 활동하며 여러 클럽을 거쳤고,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했다.
2.1. 클럽 경력
함자 함자올루는 1988년 이즈미르스포르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5년에는 갈라타사라이로 이적하여 주장과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구단의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갈라타사라이에서 4시즌 동안 뛰면서 쉬페르리그에서 두 차례(1992-93, 1993-94), 튀르키예 컵에서 한 차례(1993), 그리고 튀르키예 쉬페르컵에서 한 차례(1993) 우승을 차지하는 등 전성기를 보냈다.
갈라타사라이를 떠난 후에는 시이르트스포르, 이스탄불스포르, 요즈가트스포르를 거쳐 코니아스포르에서 활약했다. 코니아스포르 시절인 2002-03 시즌에는 TFF 1. 리그 우승을 경험하며 팀의 상위 리그 승격에 기여했다. 2004년에는 베일러베이에서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은퇴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함자 함자올루는 국제 무대에서도 튀르키예를 대표했다. 1991년부터 1993년까지 튀르키예 U-21 국가대표팀에서 9경기에 출전했다. 성인 튀르키예 국가대표팀에는 1993년에 한 차례 출전 기록을 남겼다.
3. 감독 경력
함자 함자올루는 선수 은퇴 후 곧바로 축구 감독의 길로 들어섰으며, 여러 클럽을 거치며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키워나갔다. 특히 갈라타사라이에서의 성공적인 재임 기간은 그의 감독 경력의 정점으로 꼽힌다.
3.1. 초기 감독 경력
함자 함자올루는 2004년 코니아스포르에서 임시 감독을 맡으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2008년 말라티아스포르와 정식 계약을 맺으며 본격적인 감독 경력을 시작했고, 이듬해 말라티아스포르를 떠나 에위프스포르를, 그리고 1년 뒤에는 데니즐리스포르를 지도했다.
2011년에는 아키사르스포르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팀을 쉬페르리그로 승격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2011-12 시즌에는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메이저 트로피인 TFF 1.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이듬해에는 파티흐 테림 감독을 보좌하며 튀르키예 국가대표팀의 코치진으로도 합류했다.
3.2. 갈라타사라이 재임 기간
2014년 11월 28일, 함자 함자올루는 전임 체사레 프란델리 감독의 계약 해지 직후 갈라타사라이의 신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그는 시즌 종료까지 5개월 단기 계약을 맺었다. 부임 첫 시즌인 2014-15 시즌에 그는 팀을 이끌고 쉬페르리그 우승과 튀르키예 컵 우승을 동시에 차지하는 더블을 달성했다. 다음 시즌에는 튀르키예 쉬페르컵 우승까지 추가하며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었다. 그의 이러한 활약을 인정받아 2015년에는 밀리예트 스포츠상에서 '올해의 튀르키예 감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2015년 11월 18일, 계약이 해지되며 갈라타사라이를 떠나게 되었다.
3.3. 이후 감독 경력
갈라타사라이를 떠난 후 함자 함자올루는 여러 클럽에서 감독직을 이어갔다. 그는 부르사스포르, 오스만르스포르, 안탈리아스포르, BB 에르주룸스포르 등을 지도했다. 2019년 11월에는 쉬페르리그 클럽인 겐츨레르비를리이의 새로운 감독으로 부임하여 2020년 8월까지 팀을 이끌었다.
이후에도 그는 예니 말라티아스포르 (2020년 8월~2021년 2월), 카이세리스포르 (2021년 3월~2021년 4월),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2021년 9월~2022년 2월) 등의 팀에서 감독직을 수행했으며, 2022년 2월 24일에는 에위프스포르의 감독으로 다시 부임하여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3.4. 감독 통계
다음은 함자 함자올루 감독의 클럽별 통계 기록이다. (2022년 2월 18일 기준)
| 팀 | 국적 | 부임 | 해임 | 기록 | ||||
|---|---|---|---|---|---|---|---|---|
| 경기 수 | 승 | 무 | 패 | 승률 | ||||
| 말라티아스포르 | 튀르키예 | 2008년 11월 28일 | 2009년 3월 9일 | 15 | 3 | 1 | 11 | 20.00% |
| 에위프스포르 | 튀르키예 | 2009년 10월 2일 | 2010년 6월 23일 | 34 | 19 | 6 | 9 | 55.88% |
| 데니즐리스포르 | 튀르키예 | 2010년 7월 19일 | 2011년 2월 3일 | 24 | 9 | 9 | 6 | 37.50% |
| 아키사르스포르 | 튀르키예 | 2011년 3월 3일 | 2014년 6월 30일 | 126 | 52 | 32 | 42 | 41.27% |
| 갈라타사라이 | 튀르키예 | 2014년 12월 1일 | 2015년 11월 18일 | 52 | 33 | 9 | 10 | 63.46% |
| 부르사스포르 | 튀르키예 | 2015년 12월 18일 | 2017년 1월 23일 | 49 | 24 | 10 | 15 | 48.98% |
| 오스만르스포르 | 튀르키예 | 2017년 3월 27일 | 2017년 6월 9일 | 9 | 2 | 1 | 6 | 22.22% |
| 안탈리아스포르 | 튀르키예 | 2018년 1월 4일 | 2018년 5월 21일 | 18 | 6 | 3 | 9 | 33.33% |
| BB 에르주룸스포르 | 튀르키예 | 2019년 3월 7일 | 2019년 5월 28일 | 10 | 4 | 1 | 5 | 40.00% |
| 겐츨레르비를리이 | 튀르키예 | 2019년 11월 1일 | 2020년 8월 3일 | 25 | 8 | 6 | 11 | 32.00% |
| 예니 말라티아스포르 | 튀르키예 | 2020년 8월 19일 | 2021년 2월 21일 | 29 | 10 | 9 | 10 | 34.48% |
| 카이세리스포르 | 튀르키예 | 2021년 3월 20일 | 2021년 4월 25일 | 6 | 0 | 4 | 2 | 0.00% |
|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 튀르키예 | 2021년 9월 24일 | 2022년 2월 19일 | 20 | 6 | 4 | 10 | 30.00% |
| 에위프스포르 | 튀르키예 | 2022년 2월 24일 | 현재 | 1 | 0 | 0 | 1 | 0.00% |
| 합계 | 418 | 176 | 95 | 147 | 42.11% | |||
4. 수상 및 영예
함자 함자올루는 선수와 감독 경력을 통틀어 여러 우승과 개인적인 영예를 얻었다.
4.1. 선수
갈라타사라이
- 쉬페르리그: 1992-93, 1993-94
- 튀르키예 컵: 1993
- 튀르키예 쉬페르컵: 1993
코니아스포르
- TFF 1. 리그: 2002-03
4.2. 감독
아키사르스포르
- TFF 1. 리그: 2011-12
갈라타사라이
- 쉬페르리그: 2014-15
- 튀르키예 컵: 2014-15
- 튀르키예 쉬페르컵: 2015
4.3. 개인
- 밀리예트 스포츠상 올해의 튀르키예 감독: 2015
5. 개인 생활
함자 함자올루의 결혼, 가족, 취미 등 대중에게 알려진 개인적인 측면에 대한 정보는 현재까지 거의 없다.
6. 평가 및 유산
함자 함자올루는 터키 축구계에서 선수와 감독으로서 모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인물로 평가된다. 선수 시절 갈라타사라이의 주장으로서 다수의 국내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팀의 성공에 기여했다. 이는 그의 리더십과 경기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업적이다.
감독으로서는 아키사르스포르를 쉬페르리그로 승격시키고 구단 첫 메이저 타이틀을 안긴 점은 그가 팀을 성장시키는 능력이 있음을 입증한다. 특히 갈라타사라이 감독 재임 기간 동안 짧은 시간 안에 쉬페르리그와 튀르키예 컵 더블, 그리고 튀르키예 쉬페르컵까지 우승하며 트레블에 가까운 성과를 달성한 것은 그의 전술적 역량과 선수단 관리 능력을 높이 평가받는 부분이다. '올해의 튀르키예 감독' 수상은 이러한 성공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이다. 그의 지도 아래 갈라타사라이는 다시금 강호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터키 축구 역사에 그의 이름을 각인시키는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있다.
7. 같이 보기
-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 갈라타사라이 SK
- 쉬페르리그
- TFF 1. 리그
- 튀르키예 컵
- 튀르키예 쉬페르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