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팀 버너스리 경(Sir Timothy John Berners-Lee영어, 1955년 6월 8일 ~ )은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월드 와이드 웹(WWW)의 발명가이다. 그는 HTML, URL, HTTP 시스템의 최초 설계를 주도하며 웹의 근간을 마련하여 '웹의 아버지'로 불린다.
버너스리 경은 1989년 CERN에서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1990년 11월에는 최초의 웹 브라우저이자 편집기인 WorldWideWeb과 최초의 웹 서버인 CERN httpd를 구축했다. 1990년 12월 20일에는 세계 최초의 웹사이트인 info.cern.ch를 공개하며 웹의 탄생을 알렸다. 그는 웹의 폭발적인 성장을 이끌었으며, 1994년에는 웹의 지속적인 발전을 감독하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을 설립하고 초대 소장으로 활동했다.
그는 웹을 특허나 로열티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여, 웹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또한 그는 망 중립성, 데이터 개방, 개인 데이터 통제권 등 디지털 사회의 중요한 가치를 옹호하며 '웹을 위한 계약' 캠페인을 주도하는 등 웹의 미래와 인류 복지를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교수 연구원이며 MIT의 명예 교수이다.
2. 초기 생애 및 배경
버너스리 경의 어린 시절과 교육, 그리고 초기 직업 경력은 그가 월드 와이드 웹을 발명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개념적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1. 어린 시절 및 교육
팀 버너스리 경은 1955년 6월 8일 런던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인 콘웨이 버너스리(Conway Berners-Lee영어)와 메리 리 우즈(Mary Lee Woods영어)는 모두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였다. 두 분은 페란티 마크 1(Ferranti Mark 1영어) 개발팀에 참여했으며, 이는 상업적으로 제작된 최초의 컴퓨터 중 하나였다. 부모님은 그에게 식사 시간에도 수학을 활용하는 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그는 세 명의 어린 형제가 있으며, 그의 남동생 마이크(Mike Berners-Lee영어)는 생태학 및 기후 변화 관리 분야의 교수이다.
버너스리 경은 신 마운트 초등학교(Sheen Mount Primary School영어)를 다녔고, 1969년부터 1973년까지 에마뉘엘 학교(Emanuel School)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어린 시절부터 열렬한 열차 관찰자(trainspotter영어)였던 그는 모형 철도를 가지고 놀면서 전자공학에 대한 지식을 쌓았다.
1973년부터 1976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의 퀸스 칼리지(The Queen's College, Oxford)에서 물리학을 전공하여 최우수 학사 학위를 받았다. 재학 중 그는 오래된 텔레비전 수상기를 활용하여 납땜 인두, TTL 게이트, MC6800 프로세서로 자신만의 컴퓨터를 조립하기도 했다. 또한 대학 컴퓨터를 해킹하다가 친구와 함께 사용 금지 조치를 받기도 했다.
2.2. 초기 경력
대학 졸업 후, 버너스리 경은 풀(Poole)에 위치한 통신 회사 플레시(Plessey)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하며 분산 트랜잭션 시스템, 메시지 릴레이, 바코드 기술 등을 담당했다. 1978년에는 펀다운(Ferndown)의 D.G. 내시(D.G. Nash영어)에 입사하여 프린터용 조판 소프트웨어와 멀티태스킹 운영 체제 등을 개발했다.
1980년 6월부터 12월까지 제네바의 CERN에서 독립 계약직 소프트웨어 컨설턴트로 일했다. 이 시기에 그는 연구자들 간의 정보 공유 및 업데이트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이퍼텍스트 개념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이를 시연하기 위해 그는 인콰이어(ENQUIRE)라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비록 공식적으로 출판되지는 않았지만, 훗날 월드 와이드 웹 개발의 개념적 토대가 되었다.
1980년 말 CERN을 떠난 후, 그는 본머스(Bournemouth)에 위치한 존 풀의 이미지 컴퓨터 시스템즈 주식회사(John Poole's Image Computer Systems, Ltd영어)에서 3년간 기술 책임자로 근무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실시간 원격 프로시저 호출(remote procedure call영어)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한 경험을 쌓았다. 1984년에는 CERN으로 돌아와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과학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을 위한 분산 실시간 시스템 개발에 참여했다. 그는 FASTBUS 시스템 소프트웨어 작업과 이기종 원격 프로시저 호출 시스템 설계를 담당했다.
3. 경력 및 연구
팀 버너스리 경의 경력은 월드 와이드 웹의 발명과 발전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그의 학술적 기여와 정책적 옹호 활동으로 확장되었다.
3.1. CERN에서의 근무 및 웹 제안
1989년 당시 CERN은 유럽에서 가장 큰 인터넷 노드였으며, 버너스리 경은 이곳에서 하이퍼텍스트를 인터넷과 결합할 기회를 포착했다. 그는 "하이퍼텍스트 아이디어를 TCP와 DNS 아이디어에 연결하기만 하면 월드 와이드 웹이 탄생한다"고 말했다. 그는 웹을 만드는 것이 "절박한 행동"이었다고 회고하며, 하이퍼텍스트, 인터넷, 다중 폰트 텍스트 객체 등 웹에 관련된 대부분의 기술은 이미 설계되어 있었고, 자신은 그것들을 "단지 통합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모든 문서 시스템을 "더 큰 가상의 문서 시스템의 일부"로 생각하는 추상화 수준을 높이는 단계였다고 덧붙였다.
버너스리 경은 1989년 3월에 그의 제안서를 작성했으며, 1990년에는 이를 재배포했다. 그의 상사인 마이크 센달(Mike Sendall영어)은 그의 제안을 "모호하지만 흥미롭다"고 평가하며 수락했다. 로베르 카이오(Robert Cailliau영어)는 CERN에서 하이퍼텍스트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독자적으로 제안했으며, 버너스리 경과 협력하여 웹을 구현하는 데 동참했다.
3.2. 월드 와이드 웹 발명

버너스리 경은 ENQUIRE 시스템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만들었으며, 이를 위해 세계 최초의 웹 브라우저이자 편집기인 WorldWideWeb을 설계하고 구축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NeXTSTEP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었으며, 최초의 웹 서버인 CERN httpd(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데몬의 약자)로도 기능했다.
버너스리 경은 1990년 12월 20일, 웹 프로젝트 자체를 설명하는 세계 최초의 웹사이트를 공개했으며, 이는 CERN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서 접근할 수 있었다. 이 사이트는 월드 와이드 웹이 무엇인지, 사람들이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방법, 웹 서버를 설정하는 방법, 그리고 자신만의 웹사이트를 시작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제공했다. 1991년 8월 6일, 버너스리 경은 유즈넷(Usenet)에 WorldWideWeb 프로젝트에 대한 공개 협력 초청을 처음으로 게시했다.
1993년 4월 30일, CERN은 월드 와이드 웹을 모든 사람에게 무료로 개방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웹이 전 세계적으로 폭넓게 채택되고 발전하는 데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2016년, 저명한 과학자, 학자, 작가, 세계 지도자 25명으로 구성된 패널이 선정한 세계를 형성한 80가지 문화적 순간 목록에서 월드 와이드 웹의 발명은 1위를 차지했다. 해당 항목은 "역사상 가장 빠르게 성장한 통신 매체인 인터넷은 현대 생활의 모습을 영원히 바꾸어 놓았다. 우리는 전 세계 어디에서든 즉시 서로 연결될 수 있다"고 명시했다.
3.3.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 설립 및 운영
1994년, 버너스리 경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 W3C(World Wide Web Consortium)를 설립했다. W3C는 웹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준과 권고안을 만드는 데 참여하는 다양한 기업들로 구성되었다. 버너스리 경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특허나 로열티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했다. W3C는 웹 표준이 로열티 없는 기술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결정했는데, 이는 누구나 쉽게 웹 기술을 채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W3C는 MIT, 유럽 정보학 연구 컨소시엄(ERCIM영어), 게이오기주쿠 대학(Keio University영어)에 호스트 사이트를 두고 전 세계에 사무실을 운영하며 웹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3.4. 학술 및 연구 활동
버너스리 경은 MIT 컴퓨터 과학 및 인공지능 연구소(CSAIL)의 선임 연구원이자 3Com 창립자 의장직을 역임했다. 그는 분산 정보 그룹(Decentralized Information Group영어)을 이끌고 있으며, 카타르 컴퓨팅 연구소(Qatar Computing Research Institute)와의 공동 프로젝트인 솔리드(Solid)를 주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 진정한 데이터 소유권과 향상된 개인 정보 보호를 목표로 한다.
2004년 12월, 그는 사우샘프턴 대학교(University of Southampton) 전자 및 컴퓨터 과학부의 컴퓨터 과학 의장직을 수락하여 시맨틱 웹 연구에 참여했다. 2006년에는 웹 과학 연구 이니셔티브(Web Science Research Initiative영어, WSRI)로 시작된 웹 과학 트러스트(Web Science Trust영어)의 공동 소장으로 임명되어 월드 와이드 웹을 연구하고 미래 웹의 사용과 설계를 안내하는 데 필요한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최초의 다학제 연구를 돕고 있다. 그는 또한 MIT 집단 지능 센터(MIT Center for Collective Intelligence영어)의 자문 위원회 위원이기도 하다.
2011년에는 포드 재단(Ford Foundation) 이사회 이사로 임명되었으며, 오픈 데이터 연구소(Open Data Institute)의 설립자이자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MeWe의 자문위원이기도 하다.
2009년 10월, 버너스리 경은 더 타임스(The Times영어) 기사에서 웹 주소의 초기 두 개의 슬래시("//")가 "불필요하다"고 인정했다. 그는 슬래시 없이도 웹 주소를 설계할 수 있었지만, "그 당시에는 좋은 생각처럼 보였다"며 가볍게 사과했다.
3.5. 시맨틱 웹 및 웹 과학
버너스리 경은 웹의 미래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며 시맨틱 웹 기술의 표준화 노력을 이끌었다. 그는 2004년 12월 사우샘프턴 대학교 전자 및 컴퓨터 과학부의 컴퓨터 과학 의장직을 수락하며 시맨틱 웹 연구에 집중했다.
또한 그는 2006년 웹 과학 연구 이니셔티브(Web Science Research Initiative영어, WSRI)로 시작된 웹 과학 트러스트(Web Science Trust영어)의 공동 소장으로 활동하며 웹의 미래를 위한 다학제 연구를 촉진했다. 이는 웹의 사용과 설계를 안내하는 실용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6. 정책 활동 및 옹호

2010년까지 버너스리 경은 나이젤 섀드볼트(Nigel Shadbolt)와 함께 data.gov.uk를 만들었다. 2010년 4월 오드넌스 서베이(Ordnance Survey) 데이터에 대해 언급하며, 버너스리 경은 "이러한 변화는 정보가 정당한 이유가 없는 한 공공 영역에 있어야 한다는 가정에 기반한 정부의 더 넓은 문화적 변화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정부의 더 큰 개방성, 책임성, 투명성은 국민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주고, 개인이 자신에게 중요한 문제에 더 직접적으로 참여하기 쉽게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2009년 11월, 버너스리 경은 월드 와이드 웹 재단(World Wide Web Foundation, WWWF)을 설립했다. 그는 망 중립성의 선구적인 옹호자 중 한 명이며, ISP가 "조건 없는 연결성"을 제공해야 하며, 고객의 명시적인 동의 없이 고객의 브라우징 활동을 통제하거나 모니터링해서는 안 된다는 견해를 표명했다. 그는 망 중립성이 일종의 인간 네트워크 권리라고 주장하며, "인터넷에 대한 위협, 즉 인터넷 트래픽을 방해하거나 염탐하는 기업이나 정부는 기본적인 인간 네트워크 권리를 침해한다"고 말했다. 2017년 12월 14일, 버너스리 경은 다른 20명의 인터넷 선구자들과 함께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 망 중립성을 지지하는 투표를 취소할 것을 촉구하는 공개 서한에 참여했다.

버너스리 경은 2012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월드 와이드 웹의 발명가"로 영예를 안았으며, 그는 오래된 NeXT Computer를 조작하는 모습으로 등장했다. 그는 "이것은 모두를 위한 것입니다"(This is for everyone영어)라는 트윗을 올렸고, 이 문구는 관중석 의자에 부착된 LED 조명으로 나타났다.
2013년 10월, 구글, 페이스북,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등 공공 및 민간 단체 연합인 저렴한 인터넷 연합(Alliance for Affordable Internet, A4AI)이 출범했으며, 버너스리 경이 이 연합을 이끌고 있다. A4AI는 개발도상국에서 인터넷 접근성을 더욱 저렴하게 만들어 접근성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는 인터넷 접근 가격이 유엔 브로드밴드 위원회(UN Broadband Commission)의 월 소득 5% 목표치 이하로 떨어지도록 노력할 것이다.
3.7. 후기 프로젝트 및 이니셔티브
2016년 10월, 버너스리 경은 옥스퍼드 대학교 컴퓨터 과학부의 교수 연구원 및 옥스퍼드 칼리지 중 하나인 크라이스트 처치(Christ Church)의 연구원으로 합류했다.
2010년대 중반부터 버너스리 경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과 관련된 EME(Encrypted Media Extensions) 제안에 대해 처음에는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그러나 2017년 3월, 그는 EME 제안을 지지하는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느꼈다. 그는 DRM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언급하며 EME의 장점을 설명했다. W3C 소장으로서 그는 2017년 7월 최종 사양을 승인했다. 그의 입장은 전자 프런티어 재단(EFF), 반DRM 캠페인인 디펙티브 바이 디자인(Defective by Design영어),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ree Software Foundation) 등 일부 단체의 반대에 부딪혔다. 제기된 다양한 우려 사항에는 웹의 개방형 철학이 상업적 이익에 반하고, 사용자가 특정 DRM 콘텐츠를 보기 위해 특정 웹 브라우저를 강제로 사용해야 할 위험이 있다는 점이 포함되었다. EFF는 공식적인 항소를 제기했지만 성공하지 못했으며, EME 사양은 2017년 9월 공식적인 W3C 권고안이 되었다.
2018년 9월 30일, 버너스리 경은 새로운 오픈 소스 스타트업인 인럽트(Inrupt)를 발표했다. 인럽트는 솔리드(Solid)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상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개인 데이터에 대한 더 많은 통제권을 부여하고 데이터가 어디로 가고, 누가 특정 요소를 볼 수 있으며, 어떤 앱이 해당 데이터를 볼 수 있는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9년 11월, 베를린에서 열린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nternet Governance Forum)에서 버너스리 경과 월드 와이드 웹 재단은 '웹을 위한 계약(Contract for the Web)'이라는 캠페인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이 캠페인은 정부, 기업, 시민들이 "오용"을 막기 위한 9가지 원칙에 전념하도록 설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지금 행동하지 않고 함께 행동하지 않으면, 웹을 착취하고 분열시키며 약화시키려는 자들에 의해 웹이 오용될 위험에 처하게 될 것"이라는 경고를 담고 있다.
2021년 6월 23일부터 30일까지, 웹의 소스 코드가 버너스리 경에 의해 NFT(non-fungible token) 형태로 런던 소더비(Sotheby's)에서 경매에 부쳐졌다. 이 NFT는 543.45 만 USD에 팔렸으며, 수익금은 버너스리 경과 리스 부인의 이니셔티브에 자금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보도되었다.
4. 철학 및 이념
팀 버너스리 경의 핵심 사상과 가치관은 웹의 개방성, 정보 접근성, 개인 데이터 통제권, 그리고 기술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깊은 성찰을 중심으로 한다.
그는 웹을 발명하면서 특허나 로열티 없이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웹이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혁신을 촉진하는 기반이 되었다. 그는 웹의 본질적인 가치가 개방적이고 비독점적이며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는 데 있다고 믿는다。
버너스리 경은 정보 접근성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그는 정부 데이터가 "정당한 이유가 없는 한 공공 영역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정보의 개방이 정부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고 시민의 참여를 증진시킨다고 보았다. 그는 또한 망 중립성을 강력히 옹호하며, 이를 "인간 네트워크 권리"로 간주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가 사용자 동의 없이 트래픽을 통제하거나 감시해서는 안 된다는 그의 주장은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과 개인의 디지털 권리를 보호하려는 그의 철학을 반영한다.
최근에는 개인 데이터 통제권에 대한 그의 철학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솔리드(Solid) 프로젝트와 인럽트(Inrupt) 스타트업을 통해 그는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데이터를 소유하고, 누가 데이터를 보고 어떤 앱이 접근할 수 있는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웹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는 현재 소수의 대기업에 집중된 데이터 통제권을 분산시켜 개인에게 돌려주려는 노력이다.
그러나 그는 기술의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특히 DRM(Digital Rights Management)과 관련된 EME(Encrypted Media Extensions) 표준화 과정에서 그의 입장은 논란을 낳기도 했다. 그는 DRM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여 W3C 소장으로서 EME 사양을 승인했지만, 이는 웹의 개방형 철학에 반하고 사용자의 브라우저 선택권을 제한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논란은 기술 발전과 웹의 개방성이라는 그의 핵심 가치 사이의 복잡한 균형을 보여준다.
그는 웹이 "악용되거나, 착취하고, 분열시키고, 약화시키려는 자들"에 의해 오용될 위험에 처해 있다고 경고하며, '웹을 위한 계약' 캠페인을 통해 웹의 긍정적인 잠재력을 보호하고 인류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원칙들을 제시했다. 그의 철학은 웹을 단순한 도구가 아닌, 인류의 발전과 자유를 위한 근본적인 기반으로 보고 이를 지키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강조한다.
5. 개인적인 삶
버너스리 경은 자신의 일과 개인적인 삶을 분리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5.1. 가족
버너스리 경은 1990년에 미국인 컴퓨터 프로그래머인 낸시 칼슨(Nancy Carlson영어)과 결혼했다. 그녀는 당시 스위스 세계 보건 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도 근무하고 있었다. 두 사람 사이에는 두 명의 자녀가 있었으나, 2011년에 이혼했다.
2014년 6월 20일, 버너스리 경은 런던 세인트 제임스 궁전의 채플 로열(Chapel Royal영어)에서 로즈메리 리스(Rosemary Leith)와 재혼했다. 리스는 캐나다 출신의 인터넷 및 금융 분야 기업가이자 버너스리 경이 설립한 월드 와이드 웹 재단(World Wide Web Foundation)의 창립 이사이다. 그녀는 또한 하버드 대학교 버크만 센터의 회원이며, 과거에는 세계 경제 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인터넷 보안 미래에 관한 글로벌 의제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YouGov의 이사회 회원이다. 이 부부는 인공지능 기업을 지원하는 벤처 캐피털 분야에서도 협력하고 있다.
5.2. 종교적 신념
버너스리 경은 성공회 신자로 양육되었으나, 청소년기에 종교에서 멀어졌다. 그는 "믿기 힘든 모든 것을 믿어야 하는" 것에 지쳤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부모가 된 후, 그는 유니테리언 보편주의자(Unitarian Universalist, UU)가 되었다. 그는 "많은 사람들처럼, 나는 청소년기에 거부했던 종교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처럼, 우리는 아이를 낳았을 때 종교로 돌아왔다"고 말했다. 그와 그의 아내는 자녀들에게 영적인 삶을 가르치고 싶었고, 목사의 조언을 듣고 유니테리언 보편주의 교회를 방문한 후 이 신념을 선택했다. 그는 이 교회를 관용적이고 자유로운 신념으로 존중하며 적극적인 교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신의 존재에 대해 질문을 받았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의미에서는 아니다. 나는 무신론자이자 유니테리언 보편주의자이다"라고 답했다. 그는 또한 다른 종교들에 대한 존중을 표하며, "나는 많은 종교와 관련된 삶의 철학의 대부분이 그것이 수반하는 교리보다 훨씬 더 옳다고 믿는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그들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6. 수상 및 영예
팀 버너스리 경은 월드 와이드 웹 발명에 대한 공로로 수많은 상과 영예를 받았다.
- 1995년: ACM 소프트웨어 시스템상(ACM Software System Award영어)을 수상했다.
- 1996년: 사우샘프턴 대학교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1996년 10월 30일: C&C 재단으로부터 C&C상을 수상했다.
- 1997년: 4등급 대영 제국 훈장(OBE)을 받았다.
- 1998년: USENIX 공헌상과 에두아르트 라인 재단 기술상을 수상했다.
- 1998년 6월 2일: 맥아더 펠로우(MacArthur Fellow영어)로 선정되어 27.00 만 USD를 받았다.
- 1999년: 『타임』지 선정 '20세기 가장 중요한 인물 100인'에 포함되었다.
- 2000년: 영국 왕립 학회(Royal Society)로부터 로열 메달(Royal Medal영어)을 수상했다.
- 2000년 3월: 오픈 대학교(Open University)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2001년: 영국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컬럼비아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2002년: 일본 국제상과 아스투리아스 공주상 과학 기술 연구 부문을 수상했다. 같은 해 BBC의 '위대한 영국인 100인'에 선정되었다.
- 2003년: 월드 와이드 웹 개발에 대한 중요한 공로로 컴퓨터 역사 박물관(Computer History Museum) 펠로우상을 수상했다.
- 2004년 4월 15일: 밀레니엄 기술상(Millennium Technology Prize)의 첫 수상자가 되었다.
- 2004년 7월 16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2등급 대영 제국 훈장(KBE)을 받아 기사 작위를 수여받았다.
- 2004년: 미국 철학 학회(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 2005년 1월 27일: '2004년 가장 위대한 영국인'으로 선정되었다.
- 2007년 1월 8일: 찰스 스타크 드레이퍼상(Charles Stark Draper Prize)을 수상했다.
- 2007년 6월 13일: 메리트 훈장(Order of Merit, OM)을 수여받았다. 이 훈장은 군주의 개인적인 재량으로 수여되며, 살아있는 회원 수가 24명으로 제한된다.
- 2007년: 미국 공학 한림원(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데일리 텔레그래프』지 선정 '살아있는 천재 100인'에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 2009년: 웨비상 평생 공로 부문을 수상했다.
- 2009년 4월 28일: 미국 과학 한림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s)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 2009년 10월: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교(Vrije Universiteit Amsterdam)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2012년: 피터 블레이크(Peter Blake) 경이 비틀즈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앨범 커버를 재해석한 작품에 영국 문화 아이콘 중 한 명으로 등장했다.
- 2013년: 제1회 엘리자베스 여왕 공학상(Queen Elizabeth Prize for Engineering)을 수상했다.
- 2017년 4월 4일: 2016년도 튜링상을 수상했다. 이는 월드 와이드 웹, 최초의 웹 브라우저, 그리고 웹 확장을 가능하게 한 근본적인 프로토콜과 알고리즘을 발명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 2017년: 게이오기주쿠 대학으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2022년: 서울평화상을 수상했다.
7. 유산 및 영향력
팀 버너스리 경의 발명과 활동은 현대 사회, 기술, 문화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일부 비판이 존재한다.
7.1. 긍정적 평가
버너스리 경의 월드 와이드 웹 발명은 인류 역사상 가장 빠르게 성장한 통신 매체로 평가받으며, 현대 생활의 모습을 영원히 바꾸어 놓았다. 웹은 전 세계 사람들이 즉시 연결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정보 접근성을 혁신적으로 확대하고 사회적 연결성을 증진시켰다.
그의 가장 큰 공헌 중 하나는 웹을 특허나 로열티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 것이다. 이러한 개방형 접근 방식 덕분에 웹은 전 세계적으로 폭넓게 채택되고 수많은 혁신을 촉진할 수 있었다. 『타임』지는 1999년 버너스리 경을 '20세기 가장 중요한 인물 100인'에 선정하며, "그는 월드 와이드 웹을 만들고 21세기의 대중 매체를 창조했다. 월드 와이드 웹은 버너스리 혼자만의 것이다. 그가 설계했고, 세상에 내놓았다. 그리고 그 누구보다도 웹을 개방적이고 비독점적이며 자유롭게 유지하기 위해 싸웠다"고 평가했다.
그는 웹의 기술적 발전뿐만 아니라, 망 중립성 옹호, 정부 데이터 개방, 개인 데이터 통제권 강화 등 웹의 사회적, 윤리적 측면에서도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의 이러한 활동은 웹이 인류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발전하고 디지털 권리가 보호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7.2. 비판 및 논란
버너스리 경의 업적에 대한 전반적인 긍정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그의 일부 결정과 관련하여 비판과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가장 큰 논란 중 하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을 웹 표준으로 포함하는 EME(Encrypted Media Extensions)에 대한 그의 입장이었다. 2017년 W3C 소장으로서 그가 EME 사양을 승인했을 때, 전자 프런티어 재단(EFF), 디펙티브 바이 디자인(Defective by Design영어),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ree Software Foundation) 등은 이에 강력히 반대했다. 비판론자들은 EME가 웹의 개방형 철학에 위배되며, 상업적 이익을 위해 사용자의 자유를 제한하고 특정 웹 브라우저 사용을 강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버너스리 경은 DRM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여 이를 지지했지만, 이는 웹의 창시자가 웹의 개방성을 훼손하는 결정에 동의했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2009년 그는 웹 주소의 초기 두 개의 슬래시("//")가 "불필요하다"고 인정하며 "그 당시에는 좋은 생각처럼 보였다"고 가볍게 사과하기도 했다。 이는 사소한 부분이지만, 웹의 설계에 있어 완벽함을 추구하는 그의 성향을 보여주는 일화로 회자된다.
이러한 비판과 논란에도 불구하고, 버너스리 경의 웹 발명과 개방형 웹 생태계 유지를 위한 노력은 그의 유산에서 여전히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평가받고 있다.
8. 저서
팀 버너스리 경은 월드 와이드 웹의 발명 경험과 웹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담은 여러 저서를 집필하거나 공저했다.
- 『위빙 더 웹(Weaving the Web): The Original Design and Ultimate Destiny of the World Wide Web by Its Inventor』 (1999년). 마크 피스케티(Mark Fischetti영어)와 공저했으며, 웹의 기원과 미래에 대한 그의 견해를 상세히 담고 있다. 한국어 번역본은 『당신이 꿈꾸는 인터넷 세상 월드와이드웹』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 『스피닝 더 시맨틱 웹(Spinning the Semantic Web영어): Bringing the World Wide Web to Its Full Potential』 (2005년). 디터 펜젤(Dieter Fensel영어) 등이 편집한 이 책의 서문을 썼다.
- 『웹 과학을 위한 프레임워크(A Framework for Web Science영어)』 (2006년). 웬디 홀(Wendy Hall영어), 제임스 A. 헨들러(James A. Hendler영어)와 공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