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와 교육
켄트 오즈번의 어린 시절과 가족 배경, 그리고 그가 받은 교육 과정에 대한 상세 정보이다.
1.1. 유년기 및 성장
켄트 오즈번은 그의 형제 마크 오즈번과 함께 버몬트주에서 자랐으며, 이후 뉴저지주 플레밍턴으로 이사했다.
1.2. 교육
오즈번은 헌터든 센트럴 리저널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뉴욕으로 건너가 미국 문학 예술 아카데미와 데이비드 매밋의 아틀란틱 시어터 컴퍼니에서 연기를 전공하며 전문적인 배우 훈련을 받았다.
2. 경력
오즈번의 전문 경력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영화,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독립 영화 등에서 작가, 배우, 프로듀서, 감독 등 여러 역할을 수행했다.
2.1. 초기 활동과 연기 역할
오즈번의 첫 영화 출연은 1992년 영화 《스쿨 타이즈》에서 브렌든 프레이저, 맷 데이먼, 벤 애플렉, 크리스 오도널과 함께 작은 역할을 맡으면서 시작되었다. 《스쿨 타이즈》에서의 에밀(Emile)이라는 캐릭터는 오즈번이 각본을 쓰는 데 영감을 주었다. 이 영화에서 그는 데이비드 코흐너, 애덤 아킨, 존 스타모스, 케이티 사갈, 프레드 윌러드와 함께 출연했으며, 그의 형제 마크가 감독을 맡았다. 《드롭핑 아웃》은 2000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세계 초연되었다.
오즈번은 코미디언 롭 슈나이더의 각본 파트너로도 활동했다. 그는 1998년부터 2001년까지 TBS 쇼 《디너 앤 어 무비》에 반복적으로 출연한 후, TBS의 스핀오프 프로그램인 《무비 라운지》의 진행자를 맡았다.
2.2. 애니메이션 TV 프로그램 작업
켄트 오즈번은 여러 인기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작가, 스토리보드 감독, 헤드 라이터, 프로듀서 등 다양한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2.2.1. 스폰지밥 네모바지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니켈로디언의 《스폰지밥 네모바지》에서 작가이자 스토리보드 감독으로 활동했다. 그는 이 쇼에서의 작가 활동으로 2003년과 2004년에 두 차례 에미상 후보에 지명되었다. 또한 2004년 극장판 영화 《보글보글 스폰지밥 더 무비》의 작가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그는 월트 돈이 더 많은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영화 작업을 위해 《스폰지밥》을 떠난 후, 스토리보드 감독 겸 작가로 합류했다.
2.2.2. 카툰 네트워크 및 디즈니 프로젝트
오즈번은 《스폰지밥》 이후 카툰 네트워크에서 방영된 다른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각본 작업에 참여했다. 여기에는 2006년 에미상 후보에 지명된 《라즐로 캠프》와 2010년 에미상 후보에 지명된 《이상한 바다의 플랩잭》이 포함된다. 그는 또한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어드벤처 타임》의 작가, 스토리, 헤드 라이터,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감독 등의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어드벤처 타임》으로 2010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6년에 에미상 후보에 올랐으며, 2015년과 2017년에 두 차례 에미상을 수상했다.
2008년에는 디즈니 채널의 《피니와 퍼브》 첫 시즌의 여러 에피소드를 쓰고 스토리보드 작업을 했다. 또한 《레귤러 쇼》의 "프랭크 칼러스" 에피소드에서 작가이자 스토리보드 아티스트로 참여했다. 2011년에는 《검볼》의 "키스" 에피소드에서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송라이터, 스토리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2018년 첫 방영된 카툰 네트워크의 애니메이션 시리즈 《섬머 캠프 아일랜드》의 헤드 라이터로 활동했으며, 작가, 스토리 작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목소리 연출가, 총괄 프로듀서, 공동 총괄 프로듀서, 성우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았다. 2023년부터는 디즈니 채널의 애니메이션 시리즈 《키프》의 개발자, 공동 프로듀서, 스토리 에디터, 작가, 성우로 참여하고 있다.
2.3. 맘블코어 영화 참여
오즈번은 조 스완버그 감독의 작품을 포함하여 맘블코어 운동과 관련된 여러 영화에서 시나리오 작가와 배우로 활동했다. 그는 2007년 영화 《해나 테이크스 더 스테어스》의 공동 작가이자 배우로 참여했으며, 2008년 영화 《나이츠 앤 위켄즈》에서는 조연을 맡았다.
2011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첫 선을 보인 《엉클 켄트》에서 그는 공동 작가 겸 공동 프로듀서로 활동했으며, 자신의 삶을 느슨하게 기반으로 한 제목 역할인 켄트 역을 연기했다. 그는 2015년 SXSW 영화제에서 초연된 속편 《엉클 켄트 2》에서도 반자전적인 역할로 다시 출연했다.
2011년에는 작가 겸 감독인 앰버 실리의 영화 《하우 투 치트》에 출연했다. 오즈번과 그의 출연진은 2011년 로스앤젤레스 영화제의 내러티브 경쟁 부문에서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했다.
2.4. 목소리 연출 및 기타 제작 역할
오즈번은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목소리 연출가로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그는 《이상한 바다의 플랩잭》, 《비 앤 퍼피캣》, 《어드벤처 타임》, 《스티븐 유니버스》의 목소리 연출을 맡았다. 또한 카툰 네트워크 개발 스튜디오 유럽의 첫 번째 쇼인 《검볼》의 스토리 컨설턴트로도 참여했다.
그의 성우 역할로는 《스폰지밥 네모바지》 시즌 3에서의 일부 역할, 영화 《쿵푸 팬더》의 돼지 팬, 《몬스터 vs. 에이리언》의 기술자 제리, 《비 앤 퍼피캣》의 데커드, 《엉클 그랜파》의 "트래시 캣" 에피소드에서의 역할, 《섬머 캠프 아일랜드》, 그리고 《키프》에서의 역할 등이 있다.
2.5. 기타 프로젝트
2013년, 오즈번은 타이타우스 및 식스 포인트 하네스 직원들이 설립한 러그 번(Rug Burn)과 함께 인터넷 시리즈 《캣 에이전트》를 제작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그는 창작자, 감독, 작가, 스토리 작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총괄 프로듀서, 성우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3. 필모그래피
켄트 오즈번이 참여한 주요 영화 및 텔레비전 작품 목록이다.
3.1. 영화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2 | 《스쿨 타이즈》 | 에밀 | |
1998 | 《넉 오프》 | 패키 | |
2000 | 《드롭핑 아웃》 | 에밀 | 작가 |
2004 | 《보글보글 스폰지밥 더 무비》 | - | 작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
《오픈 하우스》 | 월터 | ||
《서바이빙 크리스마스》 | 말리 | ||
2007 | 《해나 테이크스 더 스테어스》 | 매트 | 작가 |
《딕스 테일왜거》 | 작가 | ||
2008 | 《나이츠 앤 위켄즈》 | 매티의 여동생 남자친구 | |
《쿵푸 팬더》 | 돼지 팬 (성우) | ||
2009 | 《몬스터 vs. 에이리언》 | 기술자 제리 (성우) | |
《알렉산더 더 라스트》 | 레지 | ||
2011 | 《엉클 켄트》 | 켄트 | 작가, 프로듀서 |
《아트 히스토리》 | 에릭 | 작가 | |
《하우 투 치트》 | 마크 | ||
2012 | 《올 더 라이트 인 더 스카이》 | 댄 | |
2014 | 《와일드 카나리에스》 | 캘빈 | |
2015 | 《파이어를 찾아서》 | 애덤 | |
《엉클 켄트 2》 | 켄트 | 작가, 프로듀서 | |
《블루밍 머드 셔플》 | 스판덱스 맨 | ||
2016 | 《노 라이트 앤 노 랜드 애니웨어》 | 대니 | |
2017 | 《디스미스드》 | 데이비드 버틀러 씨 | |
2020 | 《빌드 더 월》 | 켄트 | |
2024 | 《오리온과 다크》 |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
3.2. 텔레비전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8-2001 | 《무비 라운지》 | 진행자 | |
2002-2005 | 《스폰지밥 네모바지》 | 작가, 스토리보드 감독, 성우 (시즌 3에 한함) | |
2005-2006 | 《라즐로 캠프》 | 스토리, 작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 |
2008 | 《피니와 퍼브》 | 작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 |
2008-2010 | 《이상한 바다의 플랩잭》 | 스토리, 작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목소리 연출가, 성우, 스토리 에디터 | |
2010-2018 | 《어드벤처 타임》 | 스토리, 작가, 헤드 라이터,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총괄 감독 (에피소드: "제이크 더 브릭"), 목소리 연출가, 성우 | |
2010 | 《레귤러 쇼》 | 작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에피소드: "프랭크 칼러스") | |
2011 | 《검볼》 |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에피소드: "키스"), 송라이터, 스토리 컨설턴트 | |
2013 | 《비 앤 퍼피캣》 | 목소리 연출가, 성우 (데커드) | |
《캣 에이전트》 | 창작자, 감독, 작가, 스토리 작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총괄 프로듀서, 성우 | ||
《스티븐 유니버스》 | 목소리 연출가 | ||
2016 | 《엉클 그랜파》 | 성우 (에피소드: "트래시 캣") | |
2017 | 《크레이그 오브 더 크릭》 | 목소리 연출가 (파일럿) | |
2018-2023 | 《섬머 캠프 아일랜드》 | 작가, 스토리 작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목소리 연출가, 총괄 프로듀서, 공동 총괄 프로듀서, 성우 | |
2019 | 《룸 104》 | 배우 (에피소드: "헝그리," 댄) | |
2020 | 《더 마이티 원즈》 | 스토리 (에피소드 "록시의 구멍 속 문제", "소름 끼치는 애벌레") | |
2023-현재 | 《키프》 | 개발자, 공동 프로듀서, 스토리 에디터, 작가, 성우 |
4. 수상 및 후보 지명
켄트 오즈번은 그의 경력 동안 여러 주요 시상식에서 수상과 후보 지명을 받았다.
- 에미상
- 2003년: 《스폰지밥 네모바지》 (후보)
- 2004년: 《스폰지밥 네모바지》 (후보)
- 2006년: 《라즐로 캠프》 (후보)
- 2010년: 《이상한 바다의 플랩잭》 (후보)
- 2010년: 《어드벤처 타임》 (후보)
- 2012년: 《어드벤처 타임》 (후보)
- 2013년: 《어드벤처 타임》 (후보)
- 2014년: 《어드벤처 타임》 (후보)
- 2015년: 《어드벤처 타임》 (수상)
- 2016년: 《어드벤처 타임》 (후보)
- 2017년: 《어드벤처 타임》 (수상)
- 로스앤젤레스 영화제
- 2011년: 《하우 투 치트》 내러티브 경쟁 부문 최우수 연기상 (출연진 공동 수상)
5. 관련 항목
- 마크 오즈번
- 스폰지밥 네모바지
- 어드벤처 타임
- 맘블코어
- 에미상
- 스토리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