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인 생활
존 하이든라이크는 1969년 6월 28일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1990년에 마리사와 결혼하여 슬하에 아들 한 명을 두었다.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해 그의 자택이 피해를 입었다. 2017년에는 이마의 낭종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
2016년 7월, 하이든라이크는 WWE를 상대로 제기된 집단 소송에 참여했다. 이 소송은 선수들이 WWE 재직 중 외상성 뇌 손상을 입었으며, 회사가 부상 위험을 은폐했다고 주장했다. 이 소송은 변호사 콘스탄틴 카이로스가 진행했으며, 2018년 9월 미국 지방법원 판사 바네사 린 브라이언트에 의해 기각되었다.
1.1. 어린 시절 및 학력
하이든라이크는 루이지애나 대학교 먼로의 전신인 노스이스트 루이지애나 대학교 출신으로, 미식축구 선수로 활동했다.
WWE에서 '리틀 조니' 기믹을 사용했을 때, 그는 이 캐릭터가 자선 병원에서 태어난 것에 대해 여전히 화가 나 있는 자신의 내면 아이를 상징한다고 밝혔다. 그는 알 스노우가 스티로폼 머리를 들고 다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인형을 링으로 가져왔으며, 이 각본은 그가 어릴 적 실제로 인형과 대화했던 경험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2. 미국 미식축구 경력
프로레슬링 선수로 전향하기 전, 하이든라이크는 미식축구 선수로 활동했다. 그는 1992년 시즌을 앞두고 워싱턴 레드스킨스(Washington Redskins영어, 현 워싱턴 커맨더스)의 훈련 캠프에 언드래프티드 오펜시브 태클로 초청되었으나, 1992년 7월 27일 조 깁스 감독에 의해 첫 번째 로스터 정리 대상에 포함되어 방출되었다.
1993년 7월, 훈련 캠프가 시작되기 일주일 전, 하이든라이크는 뉴올리언스 세인츠와 계약했다. 그는 훈련 캠프 첫날 동료 수비수 릭 돌리와 싸움에 휘말렸고, 오후 훈련에서는 레날도 턴불과 또 다른 몸싸움을 벌였다. 결국 1993년 8월 24일, 최종 로스터 정리일에 방출되었다.
1994년 7월, 그는 애틀랜타 팔콘스의 훈련 캠프에 초청되었다. 당시 그는 등번호 74번을 달고 있었으며, 같은 WWE 레슬러였던 빌 골드버그를 막는 역할을 자주 수행했다. 그러나 1994년 8월 23일, 그는 다시 한번 최종 로스터에서 탈락했다.
하이든라이크는 1994년부터 1995년까지 2시즌 동안 캐나디안 풋볼 리그의 슈리브포트 파이리츠에서 오펜시브 라인맨으로 뛰었다. 이후 1996년에는 아레나 풋볼 리그의 텍사스 테러에서, 1997년에는 NFL 유럽의 프랑크푸르트 갤럭시에서 활동했다.
3. 프로레슬링 경력
하이든라이크의 프로레슬링 경력은 2001년에 시작되어 2018년에 마무리되었다. 그는 WWE에서 활동하며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이후 다양한 인디 단체에서 활약하며 여러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3.1. 초기 경력 및 훈련
하이든라이크는 캘리포니아주에 기반을 둔 얼티밋 프로레슬링(Ultimate Pro Wrestling영어, UPW)에서 훈련을 시작했다. 2001년, 그는 브루스 프리차드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WWF, 현 WWE)과 첫 수련 계약을 맺었다. 2001년 12월 18일 선데이 나이트 히트의 다크 매치에서 페리 새턴에게 패배했으며, WWF의 수련 단체인 오하이오 밸리 레슬링(Ohio Valley Wrestling영어, OVW)에서 활동했다.
WWF에서 방출된 후, 그는 일본의 프로레슬링 제로원(Pro Wrestling ZERO1-MAX영어)에서 활동하며 네이선 존스와 태그팀을 이루어 NWA 인터콘티넨탈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이 활약으로 WWE 스카우트들의 눈에 띄어 2003년에 WWE와 재계약했다.
3.2. WWE 경력
하이든라이크는 2003년 WWE에 복귀하여 다양한 기믹을 선보였으며, 특히 폴 헤이먼의 매니지먼트를 받는 악역으로 디 언더테이커와 대립했다. 이후 선역으로 전환하여 로드 워리어 애니멀과 리전 오브 둠을 결성, WWE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하는 등 주요 활동을 펼쳤다.
3.2.1. 데뷔 및 기믹 변화
하이든라이크는 2003년 9월 29일 RAW 에피소드에서 '리틀 조니'라는 존재에 의해 '조종당하는' 기믹으로 WWE에 공식적으로 복귀했다. 몇 주간의 노력 끝에 10월 27일 RAW에서 더 허리케인과 팀을 이루어 라 레지스탕스를 꺾고 첫 경기를 치렀다. 11월 3일 RAW에서는 트리쉬 스트래터스와 태그를 이루어 빅토리아와 스티비 리차즈를 물리쳤다. 다음 달 동안 하이든라이크는 무패 행진을 이어갔으나, 12월 14일 선데이 나이트 히트에서 리코에게 패배하며 무패 기록이 깨졌다. 2004년 2월 8일 히트에서는 롭 밴 댐에게 패했다. 이후 몇 차례 더 경기를 치른 뒤 2004년 5월경 WWE TV에서 모습을 감췄다.
2008년, 전 WWE 작가 댄 매디건은 2004년 빈스 맥마흔에게 하이든라이크를 나치 독일 돌격대원 '바론 폰 바바'로 복귀시키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 기믹은 그가 냉동 보존되었다가 홀로코스트 생존자의 아들인 폴 헤이먼에 의해 소생한다는 설정이었다. 하이든라이크는 하켄크로이츠가 그려진 붉은 완장을 차고 거위걸음으로 링에 등장할 예정이었다. 이 제안은 너무 충격적이어서 맥마흔은 회의실을 말없이 떠나 그날 남은 시간 동안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 사건은 매디건이 그해 말 WWE를 떠나는 계기가 되었다.

하이든라이크는 2004년 8월 26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서 폴 헤이먼의 매니지먼트를 받으며 악역으로 복귀했다. 그의 새로운 기믹은 무작위 경기 도중 난입하고, 팬들을 공격하며, 자신이 "재앙의 걸작"(Disasterpieces영어)이라 부르는 증오에 찬 시를 낭독하는 사이코패스였다. 9월 16일 스맥다운!에서 그는 해설자 마이클 콜을 공격하여 백스테이지로 끌고 가 강제로 시를 읽어주었다. 2008년 인터뷰에서 하이든라이크는 콜 공포 각본이 맥마흔의 아이디어였으며, 스테파니 맥마흔이 이 아이디어를 제안했을 때 펄프 픽션이 떠올랐다고 설명했다.
3.2.2. 주요 대립 및 스토리라인
하이든라이크의 첫 번째 대립은 디 언더테이커와의 대립이었다. 이 대립은 2004년 노 머시에서 언더테이커의 WWE 챔피언십 경기에 난입하면서 시작되었다. 다음 달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언더테이커에게 패배했지만, 12월 아마겟돈의 메인 이벤트 페이탈 포 웨이 매치에서 두 차례나 난입하여 언더테이커의 WWE 챔피언십 획득을 저지했다. 2004년 12월 23일 WWE 트리뷰트 투 더 트룹스에서 언더테이커에게 카운트아웃으로 패했다. 2005년 1월 6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서는 하이든라이크와 헤이먼이 언더테이커와의 2대1 핸디캡 매치에서 패배했고, 헤이먼은 핀폴을 당한 뒤 언더테이커에 의해 관에 갇히면서 TV에서 사라졌다.

2005년 1월 30일 로얄 럼블에서 하이든라이크는 언더테이커와 캐스킷 매치에서 맞붙었다. 경기 도중 RAW 브랜드의 진 스니츠키가 하이든라이크를 위해 난입했다. 그러나 관이 열리자 케인이 관 속에 숨어있다가 스니츠키와 하이든라이크를 공격했고, 둘은 관중석으로 자리를 옮겨 싸움을 이어갔다. 하이든라이크는 결국 경기에서 패배했다. 이 사건은 원래 레슬매니아 21에서 언더테이커와 케인이 팀을 이루어 스니츠키와 하이든라이크를 상대하는 경기로 이어질 계획이었으나, 이 아이디어는 취소되었다. 대신 언더테이커는 랜디 오턴과 대결했고, 케인은 머니 인 더 뱅크 래더 매치에 참가했다. 네 선수 간의 대립은 2월 6일 하우스 쇼에서 언더테이커와 케인이 승리하며 마무리되었다.
2005년 노 웨이 아웃에서 하이든라이크는 부커 T에게 철제 의자로 공격하여 실격패했다. 3월 3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서 하이든라이크는 부커 T와 재대결을 펼쳤으나, 부커 T가 의자 위에서 DDT를 사용하여 하이든라이크가 실격승을 거두었다. 3월 10일 스맥다운!에서 하이든라이크와 부커 T는 노 디스퀄리피케이션 매치에서 다시 맞붙었고, 부커 T가 하이든라이크를 결정적으로 물리쳤다. 3월 17일 스맥다운!에서 하이든라이크는 부커 T에게 시를 읽어주며 "진정한" 하이든라이크를 보여주도록 격려해준 것에 대해 감사하며 선역으로 전환했다. 하이든라이크는 레슬매니아 21에서 열린 30인 배틀 로얄에 참가했으나, 이 경기는 부커 T가 우승했다.
그의 "재앙의 걸작" 시는 점차 가벼운 내용으로 바뀌었고, 관중들의 환호를 받기 시작했다. 하이든라이크는 스맥다운!에서 관중들과 "친구를 사귀는" 세그먼트를 가졌고, 그들에게 시를 읽어준 뒤 경기 중 자신의 코너에 서게 했다. 그는 또한 올랜도 조던과 짧은 대립을 가졌으며, 저지먼트 데이에서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에 도전했으나 실패했다.
하이든라이크는 6월 16일 스맥다운!에서 MNM(Melina영어, 조니 나이트로, 조이 머큐리)이 디바들과 초콜릿을 먹고 있는 그를 공격한 후 MNM과 대립을 시작했다. 매주 MNM에게 공격당하던 그는 7월 14일 스맥다운!에서 로드 워리어 애니멀의 도움을 받았다. 애니멀과 하이든라이크는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에서 MNM에게 도전하여 승리하고 WWE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3.2.3. 태그팀 활동 및 챔피언십
2005년 7월 28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서 하이든라이크는 애니멀의 요청에 따라 마지못해 머리를 모히칸 스타일로 밀었다. 애니멀은 자신이 로드 워리어 호크의 "대체자"를 찾는 것이 아니라 재능 있는 파트너를 찾는 것이라고 설득한 후, 하이든라이크에게 페이스 페인트를 하도록 설득했다. 8월 18일 스맥다운!에서 그는 리전 오브 둠의 "공식" 멤버가 되었고, 로드 워리어의 스파이크 한 쌍을 선물 받았다.
2005년 10월 28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서 로드 워리어스는 멕시쿨스와 윌리엄 리갈 및 폴 버칠이 참가한 경기에서 MNM에게 WWE 태그팀 챔피언십을 다시 내주었다. 하이든라이크는 12월 30일 벨로시티에서 애니멀과 팀을 이루어 눈치오와 비토를 물리치며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3.2.4. WWE에서의 퇴출
2006년 1월 17일, WWE는 하이든라이크가 계약에서 해지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그의 건강 문제와 WWE 측의 복귀 일정 제안에 대한 이견 차이 때문이었다.
3.3. WWE 이후 및 인디 단체 활동
WWE를 떠난 후, 하이든라이크는 푸에르토리코에 기반을 둔 월드 레슬링 카운슬(World Wrestling Council영어, WWC)로 이적했다. 2006년 10월 28일, 그는 아바드를 물리치고 WWC의 최고 타이틀인 WWC 유니버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두 달 후 락아웃 이벤트에서 칼리토에게 타이틀을 내주었으나, 칼리토가 WWE와의 계약 문제로 타이틀을 박탈당하면서 다시 타이틀을 돌려받았다. 2007년 1월 6일, 그는 칼리토의 동생인 에디 콜론에게 두 번째로 타이틀을 내주었다.

이후 하이든라이크는 다양한 인디 단체에서 활동했다. 2007년 5월 19일, 루이지애나주 기반의 올 아메리칸 레슬링(All-American Wrestling영어, AAW)에 데뷔하여 J.T. 라모타를 물리쳤다. 2008년 5월 18일, 그는 로드니 맥과 팀을 이루어 라티노스 로코스를 물리치고 AAW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으나, 원본 타이틀 매치에서의 간섭으로 인해 곧 타이틀이 공석 처리되었다. 12월 14일, 그는 스리 웨이 매치인 루저 리브스 매치에서 디 엔젤 오브 신과 하니엘을 상대로 엔젤을 핀폴하여 AA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그는 이 타이틀을 획득한 직후 프로레슬링에서 은퇴했다.
하이든라이크는 2016년에 몇 차례 경기를 치렀다. 2016년 6월 11일 뉴욕 기반의 워리어스 오브 레슬링(Warriors of Wrestling영어)에서 주바와 대결하여 더블 실격으로 경기가 끝났다. 2016년 5월에는 골든 코랄 주차장에서 열린 행사에서 두잉크 더 클라운을 사칭한 선수와 대결했는데, 이 기이한 만남은 레슬크랩의 주목을 받았다. 2017년 11월 12일, 하이든라이크는 302 레슬링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했으나, 이 타이틀은 그의 승리 직후 즉시 폐지되었다. 그는 2018년 2월 24일에 최종적으로 은퇴했다.
4. 레슬링 스타일 및 기술
하이든라이크는 강력한 파워와 독특한 기믹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술을 구사했다.
- 피니시 기술
- 스크랩버스터 (Swinging side slam영어)
- 리버스 숄더버스터 (Inverted shoulderbreaker영어)
- 코브라 클러치
- 시그니처 무브
- 빅 부트
- 바디 슬램
- 카타펄트 백브레이커
- 초크슬램
- 클로스라인
- 일렉트릭 체어 드롭
- 리프팅 밀리터리 프레스 슬램
- 러닝 파워슬램
- 스피닝 백 수플렉스
- 태그팀 피니시 기술
- 둠즈데이 디바이스 (로드 워리어 애니멀과 함께 사용)
- 매니저
- 크리스티 헴미
- 미셸 맥쿨
- 폴 헤이먼
- 등장 테마
- "Dangerous Politics" (2003년 ~ 2005년, 짐 존스턴 작곡)
- "LOD 2000" (2005년 ~ 2006년, 리전 오브 둠 멤버로 활동 시 사용, 짐 존스턴 작곡)
5. 기타 매체 활동
하이든라이크는 레슬링 영화인 블러드스테인드 메모어스(Bloodstained Memoirs영어)에 출연했다. 또한 비디오 게임 WWE 데이 오브 레코닝 2(WWE Day of Reckoning 2영어)와 WWE 스맥다운! vs. 로우 2006(WWE SmackDown! vs. Raw 2006영어)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한다.
6. 수상 경력 및 업적
6.1. 프로레슬링
- 302 레슬링
- 302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회)
- 올 아메리칸 레슬링 (루이지애나)
- AA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회)
- AAW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로드니 맥
- 아메리칸 레슬링 램페이지
- AWR 노 리미트 챔피언십 (1회)
- 블루그래스 챔피언십 레슬링
- B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회)
- 노 리미트 레슬링
- NL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회)
- 오버 더 탑 레슬링
- OTT 노 리미트 챔피언십 (1회)
- 프로레슬링 제로원
- NWA 인터콘티넨탈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네이선 존스
- 텍사스 레슬링 얼라이언스
- TWA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버스타
- 월드 레슬링 카운슬
- WWC 유니버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회)
-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
- WWE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로드 워리어 애니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