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조란 "바타" 밀코비치(Зоран Бата Мирковић세르비아어, zǒran bâ:ta mǐrkoʋitɕ조란 바타 미르코비치sh)는 1971년 9월 21일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에서 태어난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지도자이다. 현역 시절 주로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FK 라드, FK 파르티잔, 아탈란타 BC, 유벤투스 FC, 페네르바흐체 SK 등 유럽 유수의 클럽에서 뛰었다. 특히 FK 파르티잔에서는 두 차례에 걸쳐 활약하며 팬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국가대표팀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59경기에 출전했으며, 1998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기도 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세르비아 축구협회 스포츠 디렉터와 FK 파르티잔 부회장 등 행정가로 활동했으며, FK 신델리치 베오그라드와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 FK 파르티잔 감독을 역임하며 지도자로서의 경력도 쌓았다.
2. 선수 경력
조란 밀코비치는 1989년부터 2006년까지 약 17년간 프로 축구 선수로 활약했으며, 주로 수비수로 뛰었다. 그의 클럽 경력은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튀르키예 등 다양한 리그를 거쳤으며, 국가대표팀에서는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대표했다.
2.1. 클럽 경력
밀코비치는 1989년 FK 라드니치키 스빌라이나츠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15경기에 출전했다.
이후 1990년 FK 라드에 입단하여 1990-91 시즌에 첫 1군 경기를 치렀다. 그는 성인 무대 데뷔 전에도 팀 동료들과 함께 유고슬라비아 U-21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FK 라드 역사상 가장 큰 성공을 거두는 데 기여했다. 밀코비치는 FK 라드에서 3시즌 동안 프로 선수로 활약하며 총 62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 그의 재능은 FK 파르티잔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아 부상당한 블라조 페시칸의 대체 선수로 FK 파르티잔에 합류하게 되었다.
FK 파르티잔에서의 첫 3년간 밀코비치는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했으며, 동시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선수로 성장했다. 그는 1993-94 시즌에 더블을 달성하고 1994-95 시즌에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총 3개의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그는 등번호 2번 셔츠를 입고 뛰었으며, 특히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와의 더비 경기에서 보여준 투지 넘치는 플레이로 파르티잔 팬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제재로 인해 어려웠던 시기에도 그는 FK 파르티잔과의 계약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며 3년간 팀에 머물렀다. 그는 FK 파르티잔에서 총 82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1993-94 시즌 26경기, 1994-95 시즌 29경기, 1995-96 시즌 27경기).
1996년, 밀코비치는 아탈란타 BC로 이적하여 두 시즌을 보냈다. 그는 세리에 A 첫 경기에서 부상을 입어 3개월간 경기에 나서지 못했다. 그러나 미드필더와 수비수를 오가며 좋은 활약을 펼쳤고, 당시 유벤투스 FC의 감독이었던 마르첼로 리피의 눈에 띄어 유벤투스 FC로 이적하게 되었다. 그는 아탈란타 BC 팬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많았으며, 구단이 그를 ACF 피오렌티나에 매각하려 했을 때 팬들의 반대로 이적이 무산되기도 했다.
유벤투스 FC에서의 밀코비치의 경력은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리피 감독 체제에서는 세리에 A 19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으며, UEFA 챔피언스리그 경기에도 출전했다. 그러나 1999년 봄 카를로 안첼로티가 감독을 맡은 이후로는 주전에서 밀려나 주로 코파 이탈리아 경기에 출전했다.
2000년 여름, 밀코비치는 페네르바흐체 SK와 3년 계약을 맺었다. 이스탄불에서의 첫 시즌인 2000-01 시즌에 그는 튀르키예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튀르키예 컵 준우승을 기록했다. 튀르키예에서의 두 번째 시즌에는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했으며, 리그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세 번째 시즌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세 명의 감독 교체와 클럽 내부 문제로 인해 페네르바흐체 SK는 리그 6위로 시즌을 마쳤다.
축구 활동을 6개월간 중단했던 밀코비치는 2004년 1월 다시 FK 파르티잔으로 돌아와 2년 반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고질적인 허리 부상이 재발하면서, 그는 2006년 3월 6일 34세의 나이로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밀코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선수로 활약했으며, 주로 라이트백 포지션에서 등번호 2번을 달고 뛰었다. 그는 1995년에 국가대표팀에 데뷔했으며, 성인 국가대표팀에서 총 59경기에 출전했다.
그는 1998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여 2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16강 진출에 기여했다. 그러나 UEFA 유로 2000에는 참가하지 못했는데, 이는 자그레브에서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상대 선수 로베르트 야르니의 고환을 잡는 사건으로 인해 퇴장당하며 3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기 때문이다. 그의 마지막 국가대표 경기는 2003년 6월 UEFA 유로 2004 예선 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원정 경기였다.
3. 지도자 및 행정 경력
선수 은퇴 후 조란 밀코비치는 축구계에서 행정가와 지도자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경험을 쌓았다.
3.1. 행정 경력
2007년 4월 24일, 밀코비치는 세르비아 축구협회(FSS)의 스포츠 디렉터로 임명되었다. 그는 성인 국가대표팀과 U-21 국가대표팀을 담당했다. 그러나 그는 당시 즈베즈단 테르지치가 이끌던 FSS 지도부와의 전문적인 협력 부족을 이유로 2007년 12월 초에 사임했다. 테르지치 FSS 회장(이후 횡령 혐의로 기소됨)은 밀코비치의 사임에 대해 "밀코비치는 내가 FSS로 데려오기 전에 그를 개인적으로 충분히 알지 못했던 나의 실수다. 그는 훌륭한 사람이지만 시스템의 일부가 될 수 없었고, 여러 차례 나와 조란 라코비치 사무총장에게도 그렇게 말했다"고 언급했다.
2008년 8월 18일, 밀코비치는 FK 파르티잔의 부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약 1년간 부회장직을 수행했으며, 2009-10 UEFA 챔피언스리그 예선에서 FK 파르티잔이 조기에 탈락한 후 사임했다.
3.2. 지도자 경력
밀코비치는 2015년 FK 신델리치 베오그라드의 수석 코치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7월에는 감독으로 승격했다. 그는 2015년 12월까지 해당 직책을 유지했다.
2016년 2월, 그는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의 수석 코치로 부임하여 자신의 전 스승인 류비샤 툼바코비치 감독과 직접 협력했다. 그는 2018년 8월 4일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으며, 이후 미로슬라프 주키치 감독의 후임으로 FK 파르티잔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밀코비치는 2018년 8월 4일부터 2019년 3월 10일까지 FK 파르티잔의 감독을 맡았다. 그는 2019년 3월 10일 FK 보즈도바츠와의 경기에서 1대0으로 패한 후 갑작스럽게 사임했다.
4. 개인사
2013년 5월, 조란 밀코비치는 가수 샤반 샤울리치의 딸인 사넬라 샤울리치와 결혼했다. 이로써 밀코비치는 축구 선수 루카 아지치의 의붓아버지가 되었다.
5. 통계
5.1. 클럽 통계
| 클럽 | 시즌 | 리그 | 컵 | 유럽 | 합계 | ||||||
|---|---|---|---|---|---|---|---|---|---|---|---|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
| FK 라드니치키 스빌라이나츠 | 1989-90 | 15 | 0 | - | 15 | 0 | |||||
| FK 라드 | 1990-91 | 5 | 0 | - | 5 | 0 | |||||
| 1991-92 | 26 | 0 | - | 26 | 0 | ||||||
| 1992-93 | 31 | 1 | - | 31 | 1 | ||||||
| Total | 62 | 1 | - | 62 | 1 | ||||||
| FK 파르티잔 | 1993-94 | 26 | 0 | - | 26 | 0 | |||||
| 1994-95 | 29 | 0 | - | 29 | 0 | ||||||
| 1995-96 | 27 | 1 | - | 27 | 1 | ||||||
| Total | 82 | 1 | - | 82 | 1 | ||||||
| 아탈란타 BC | 1996-97 | 22 | 0 | - | 22 | 0 | |||||
| 1997-98 | 30 | 0 | - | 33 | 0 | ||||||
| Total | 52 | 0 | - | 52 | 0 | ||||||
| 유벤투스 FC | 1998-99 | 19 | 0 | 5 | 0 | 4 | 0 | 28 | 0 | ||
| 1999-00 | 8 | 0 | 4 | 0 | 10 | 0 | 22 | 0 | |||
| Total | 27 | 0 | 9 | 0 | 14 | 0 | 50 | 0 | |||
| 페네르바흐체 SK | 2000-01 | 29 | 1 | 5 | 0 | 0 | 0 | 34 | 1 | ||
| 2001-02 | 27 | 2 | 1 | 0 | 5 | 0 | 33 | 2 | |||
| 2002-03 | 15 | 0 | 0 | 0 | 4 | 0 | 19 | 0 | |||
| Total | 71 | 3 | 6 | 0 | 9 | 0 | 86 | 3 | |||
| FK 파르티잔 | 2003-04 | 10 | 0 | 1 | 0 | 0 | 0 | 11 | 0 | ||
| 2004-05 | 23 | 2 | 3 | 0 | 12 | 0 | 38 | 2 | |||
| 2005-06 | 13 | 0 | 0 | 0 | 6 | 0 | 19 | 0 | |||
| Total | 46 | 2 | 4 | 0 | 18 | 0 | 68 | 2 | |||
| 커리어 합계 | 340 | 7 | 19 | 0 | 41 | 0 | 400 | 7 | |||
5.2. 국가대표 통계
| 국가대표팀 | 연도 | 경기 | 득점 |
|---|---|---|---|
|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1995 | 6 | 0 |
| 1996 | 5 | 0 | |
| 1997 | 13 | 0 | |
| 1998 | 8 | 0 | |
| 1999 | 6 | 0 | |
| 2000 | 3 | 0 | |
| 2001 | 5 | 0 | |
| 2002 | 8 | 0 | |
| 2003 | 5 | 0 | |
| 합계 | 59 | 0 | |
5.3. 지도자 통계
| 팀 | 시작 | 종료 | 기록 | ||||
|---|---|---|---|---|---|---|---|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 FK 신델리치 베오그라드 | 2015년 7월 | 2015년 12월 | 16 | 6 | 5 | 5 | 37.50% |
| FK 파르티잔 | 2018년 8월 4일 | 2019년 3월 10일 | 30 | 17 | 10 | 3 | 56.67% |
| 총합 | 46 | 23 | 15 | 8 | 50.00% | ||
6. 수상 경력
;FK 파르티잔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1993-94, 1995-96, 2004-05
- 유고슬라비아 컵: 1993-94
;유벤투스 FC
- UEFA 인터토토컵: 1999
;페네르바흐체 SK
- 튀르키예 쉬페르리그: 20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