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제임스 더글러스 그랜트 던(James Douglas Grant Dunn영어, 1939년 10월 21일 ~ 2020년 6월 26일)은 영국의 저명한 신약학 학자이자 신학자이다. '지미 던'이라는 애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수년간 더럼 대학교 신학부의 라이트풋 신학 교수를 역임하며 학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특히 바울에 대한 새 관점 학파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이 분야에서 E. P. 샌더스와 톰 라이트와 함께 중요한 기여를 했다.
던은 생애 전반에 걸쳐 감리교 전통에 기반을 두었으며, 스코틀랜드 교회와 영국 감리교회의 일원이었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그리스도론, 성령론, 율법, 초기 기독교와 유대교의 관계, 구전 전통 등 다양한 신약학 주제를 아우르며, 특히 바울 신학의 이해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생애 및 경력
제임스 던의 생애와 학문적 경력은 그의 신약학 연구와 기여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교육, 목회, 그리고 다양한 학회 활동을 통해 학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확립했다.
2.1. 출생 및 초기 생애
제임스 던은 1939년 10월 21일 영국 버밍엄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많지 않지만, 그의 학문적 배경은 주로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유서 깊은 교육 기관에서 형성되었다.
2.2. 교육
던은 여러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하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 1961년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경제학 및 통계학 분야에서 이등 명예 학위(second class honours영어)를 받고 이학사(BSc) 학위를 취득했다.
- 1964년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신학 학사(BD) 학위를 우등으로 취득했다.
- 1968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C. F. D. 모울의 지도 아래 "성령 세례(The Baptism in the Holy Spirit)"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 1976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추가로 신학 학사(BD) 학위를 취득했다.
- 199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명예 신학박사(DD) 학위를 수여받으며 그의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았다.
2.3. 초기 경력
학위 취득 후, 던은 목회 및 학문 분야에서 초기 경력을 시작했다.
- 1964년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목사 면허를 받았다.
- 1968년부터 1970년까지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해외 유학생들을 위한 채플린으로 봉사했다.
- 1970년 노팅엄 대학교 신학과 강사로 부임했으며, 1979년에는 리더(reader영어, 영국 대학의 준교수 직함)로 승진했다.
- 노팅엄 대학교 재직 중에는 감리교 지방 설교자로도 활동했다.
2.4. 학문적 경력
던의 학문적 경력은 주로 노팅엄 대학교와 더럼 대학교에서의 교수직으로 특징지어진다.
- 1982년 더럼 대학교 신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 1990년에는 더럼 대학교의 라이트풋 신학 교수(Lightfoot Professor of Divinity)로 임명되었다. 이 직책은 더럼 대학교 신학부의 핵심 직위 중 하나이다.
- 2003년 라이트풋 신학 교수직에서 은퇴했으며, 이후 더럼 대학교 명예 교수로 활동했다. 그의 후임으로는 존 M. G. 바클레이(John M. G. Barclay) 교수가 임명되었다.
2.5. 학회 활동 및 직책
던은 국제적인 학회 활동을 통해 신약학 분야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 2002년에는 국제 신약학회(Studiorum Novi Testamenti Societas, SNTS영어)의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이는 그 이전 25년간 단 세 명의 영국 학자만이 역임했던 명예로운 자리였다.
- 2006년에는 영국 학술원(British Academy영어)의 펠로우(FBA)로 선출되며 영국 학계에서의 최고 수준의 인정을 받았다.
2.6. 종교적 배경
던은 생애 전반에 걸쳐 개신교 전통, 특히 감리교에 깊이 뿌리내린 신앙생활을 했다. 그는 스코틀랜드 교회의 목사이자 영국 감리교회의 일원으로서, 그의 학문적 탐구는 종교적 배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그의 연구는 단순한 학문적 호기심을 넘어 신앙적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3. 학문적 기여
제임스 던은 신약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고 심오한 학문적 기여를 했다. 특히 바울 신학에 대한 그의 접근 방식은 학계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1. 바울에 대한 새 관점
던은 E. P. 샌더스와 톰 라이트와 함께 '바울에 대한 새 관점(New Perspective on Paul)' 학파의 핵심적인 주창자로 꼽힌다. 그는 이 관점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며 바울과 유대교의 관계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를 수정했다.
- 전통적 유대교 이해 수정**: 던은 샌더스의 '팔레스틴 유대주의 재정의' 프로젝트를 발전시켜, 기독교인들이 유대교를 '행위 구원'의 종교로 오해하는 견해를 바로잡으려 했다. 그는 유대교를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al nomism)의 틀 안에서 이해했다.
- 초기 유대교의 네 기둥**: 그의 저서 《갈림길들(The Partings of the Ways)》에서 던은 1세기 유대교의 네 가지 핵심 기둥으로 유일신론, 선민(Election)과 약속의 땅(Land), 토라(Torah)와 성전(Temple)을 제시했다.
- 바울 사상의 일관성 강조**: 샌더스와의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는 던이 사도 바울의 사상에 근본적인 일관성과 통일성이 존재한다고 보았다는 점이다. 그는 바울의 다양한 진술들을 일관된 신학적 틀 안에서 해석하려 노력했다.
- 칭의 개념에 대한 비판**: 던은 샌더스의 '칭의(Justification)' 개념 이해를 비판했다. 샌더스의 이해가 '개인화하는 주석(individualizing exegesis)'의 어려움을 겪는다고 주장하며, 칭의를 단지 개인의 구원 문제뿐 아니라 공동체적, 관계적 차원에서도 이해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3.2. 주요 연구 분야
던은 바울에 대한 새 관점 외에도 다양한 신약학 주제에 깊이 천착했다.
- 그리스도론**: 예수님의 본성과 정체성, 성육신 교리의 기원에 대한 신약성경적 탐구를 수행했다.
- 성령론**: 성령의 역할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의 경험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했다.
- 율법**: 모세 율법이 초기 기독교와 바울 신학에서 가지는 의미를 분석했다.
- 초기 기독교와 유대교의 관계**: 두 종교가 어떻게 분리되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이 기독교의 특성에 미친 영향을 탐구했다.
- 구전 전통**: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구전 전통과 사회 기억 이론을 통해 기독교 기원을 연구하는 데 특별히 주목했다.
3.3. 학문적 평가 및 논쟁
던의 학문은 광범위하게 인정받았으나, 동시에 여러 논쟁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그는 E. P. 샌더스의 연구를 높이 평가하면서도, 칭의와 같은 핵심 개념에 대한 샌더스의 해석에 비판적 입장을 견지했다. 이러한 비판은 학계 내에서 활발한 토론을 촉발했으며, 던 자신의 주석적 정교함을 보여주었다. 그의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은 전통적인 종교 개혁 신학에 도전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나, 신약학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이다.
3.4. 신학적 개념
던이 중요하게 다룬 신학적 개념 중 하나는 '칭의(Justification)'이다. 그는 칭의를 단순히 개인의 죄 용서와 의로움 선포를 넘어,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공동체 내에서의 언약적 지위(covenantal status) 부여로 이해했다. 이는 율법 준수를 통해 개인의 공로를 쌓는다는 전통적인 '행위 구원'의 오해를 불식시키고,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 안에서 믿음과 은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의 핵심을 이룬다.
4. 저술
제임스 던은 50권이 넘는 서적을 저술하거나 편집했으며, 수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신약학 분야에 방대한 학문적 유산을 남겼다. 그의 저작들은 초기 기독교의 기원, 바울 신학, 예수 연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4.1. 주요 저서
아래는 제임스 던의 대표적인 저서 목록이며, 일부 서적은 한국어 번역본 정보와 함께 소개한다.
- Baptism in the Holy Spirit영어 (London: SCM Press, 1970)
- Jesus and the Spirit영어 (London: SCM Press, 1975)
- Christology in the Making: A New Testament Inquiry into the Origins of the Doctrine of the Incarnation영어 (Philadelphia, PA: Westminster Press, 1980)
- The Evidence for Jesus영어 (Philadelphia, PA: Westminster Press, 1985)
- The Kingdom of God and North East England영어 (London: SCM Press, 1986) (편집)
- Romans 1-8, 9-16영어 (Waco, TX: Word Books, 1988)
- 한국어 번역본: 『로마서(상) 1-8』 (김철, 채천석 역, 솔로몬, 2003), 『로마서(하) 9-16』 (김철, 채천석 역, 솔로몬, 2005)
- Jesus, Paul, and the Law: Studies in Mark and Galatians영어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0)
- Unity and Diversity in the New Testament: An Inquiry into the Character of Earliest Christianity영어 (London: SCM Press, 1990)
- 한국어 번역본: 『신약성서의 통일성과 다양성』 (김득중, 이광훈 역, 솔로몬, 1991)
- The Partings of the Ways between Christianity and Judaism and their Significance for the Character of Christianity영어 (London: SCM Press, 1991)
- The Epistle to Galatians영어 (Peabody, MA: Hendrickson Publishers, 1993)
- Paul for Today. The Ethel M. Wood Lecture, 10 March 1993영어 (London: University of London, 1993)
- The Justice of God: A Fresh Look at the Old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영어 (Alan M. Suggate 공저) (Grand Rapids, MI: Eerdmans, 1994)
- The Epistles to the Colossians and to Philemon: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영어 (Grand Rapids, MI: Eerdmans, 1996)
- The Acts of the Apostles영어 (Valley Forge, PA: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6)
- The Theology of Paul the Apostle영어 (Grand Rapids, MI: Eerdmans, 1998)
- 한국어 번역본: 『바울 신학』 (박문재 역, 크리스천다이제스트, 2003)
- The Cambridge Companion to St. Paul영어 (편집)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영어 (John W. Rogerson 공편) (Grand Rapids, MI: Eerdmans, 2003)
- Christianity in the Making: Vol. 1, Jesus Remembered영어 (Grand Rapids, MI: Eerdmans, 2003)
- 한국어 번역본: 『예수와 기독교의 기원 상, 하』 (차정식 역, 새물결플러스, 2012)
- A New Perspective On Jesus: What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Jesus Missed영어 (Grand Rapids, MI: Baker Academic, 2005)
- 한국어 번역본: 『예수님에 관한 새 관점』 (신현우 역, CLC, 2010)
- The New Perspective On Paul영어 (Grand Rapids, MI: Eerdmans, 2007)
- 한국어 번역본: 『바울에 관한 새 관점』 (최현만 역, 에클레시아북스, 2012)
- Christianity in the Making: Vol. 2, Beginning from Jerusalem영어 (Grand Rapids, MI: Eerdmans, 2008)
- The Living Word영어 (second edition) (Minneapolis, MN: Fortress Press, 2009)
- Did the First Christians Worship Jesus?영어 (London - Louisville, KY: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2010)
- 한국어 번역본: 『첫 그리스도인들은 예수를 예배했는가?』 (박규태 역, 좋은씨앗, 2016)
- Jesus, Paul, and the Gospels영어 (Grand Rapids, MI: Eerdmans, 2011)
- The Oral Gospel Tradition영어 (Grand Rapids, MI: Eerdmans, 2013)
- Christianity in the Making: Vol. 3, Neither Jew nor Greek: A Contested Identity영어 (Grand Rapids, MI: Eerdmans, 2015)
- Jesus according to the New Testament영어 (Grand Rapids, MI: Eerdmans, 2019)
- Who was Jesus?: A Little Book Of Guidance영어 (London: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2016)
- 한국어 번역본: 『예수 - 그는 누구인가?』 (양지우 역, 비아, 2019)
- Why believe in Jesus' Resurrection?: A Little Book Of Guidance영어 (London: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2016)
- 한국어 번역본: 『부활 - 왜 예수의 부활을 믿는가?』 (김경민 역, 비아, 2018)
4.2. 학술지 논문 및 서적 내 장
던은 다양한 학술지와 편집된 서적에도 중요한 논문과 장(chapter영어)을 기고했다.
- "Paul's Understanding of the Death of Jesus", Robert J. Banks (편집), Reconciliation and Hope. New Testament Essays on Atonement and Eschatology Presented to L.L. Morris on his 60th Birthday영어 (Carlisle, UK: The Paternoster Press, 1974), 125-141쪽.
- "Demythologising - The Problem of Myth in the New Testament", I. Howard Marshall (편집),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Essays on Principles and Methods영어 (Carlisle, UK: The Paternoster Press, 1977), 285-307쪽.
- "'They believed Philip preaching' (Acts 8:12): a Reply", Irish Biblical Studies영어, 1권 3호 (1979년 7월), 177-183쪽.
- "Demythologizing the Ascension - A Reply to Professor Gooding", Irish Biblical Studies영어, 3권 1호 (1981년 1월), 15-27쪽.
5. 평가 및 영향
제임스 던은 20세기 후반에서 21세기 초반 신약학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연구는 특히 바울 신학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에 도전하고 새로운 해석의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5.1. 헌정 논총
던의 학문적 업적과 그의 영향력을 기리기 위해 두 권의 헌정 논총(Festschrift)이 출판되었다.
- 2005년 헌정 논총**: 그레이엄 N. 스탠턴, 브루스 W. 롱네커, 스티븐 바턴이 편집한 The Holy Spirit and Christian origins: essays in honor of James D. G. Dunn영어이 2004년에 출판되었다. 이 논총에는 27명의 신약학자들이 기고했으며, 초기 기독교 공동체와 성령에 대한 그들의 신념을 탐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2009년 헌정 논총**: 던의 7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B. J. 오로페사, C. K. 로버트슨, 더글러스 C. 모어만이 편집한 Jesus and Paul: Global Perspectives in Honour of James D. G. Dunn for His 70th Birthday영어가 2009년에 출판되었다. 이 책에는 N. T. 라이트와 리처드 B. 헤이즈의 서문이 포함되어 있으며, 던의 전 제자들 중 학계와 목회 분야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은 17명의 학자들이 기고한 논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5.2. 신약학에 미친 영향
제임스 던의 연구는 신약학 분야에 여러 면에서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 바울 연구의 전환**: 그의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은 바울을 유대교적 배경 속에서 새롭게 이해하게 함으로써, 전통적인 바울 해석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문적 논의를 풍성하게 만들었다. 이는 단순히 칭의론에 국한되지 않고 바울의 전반적인 신학을 재평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 초기 기독교 기원 연구**: 던의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구전 전통 및 사회 기억 이론에 대한 관심은 예수 운동과 초기 기독교의 형성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제시했다.
- 학제 간 연구 장려**: 그는 신학적 접근과 역사적-사회학적 방법론을 통합하여 신약성경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학제 간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후학 양성**: 더럼 대학교에서의 오랜 교수 생활과 국제 학회 활동을 통해 그는 수많은 신약학자들을 양성했으며, 그의 제자들은 전 세계 학계와 교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그의 학문적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