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이토 아키라 (伊藤 彰いとう あきら일본어)는 1972년 9월 19일 사이타마현 니자시에서 태어난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지도자이다. 그는 미드필더와 포워드 포지션에서 활약했으며, 가와사키 프론탈레, 오미야 아르디자, 사간 도스, 도쿠시마 보르티스 등 여러 J리그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현역 은퇴 후에는 지도자의 길을 걸으며 오미야 아르디자 유소년팀 코치를 시작으로 여러 클럽의 감독을 역임했다. 특히 반포레 고후 감독 시절에는 팀을 J2리그 상위권으로 이끌며 두각을 나타냈으며, 현재는 J3리그 소속인 츠바이겐 가나자와의 감독을 맡고 있다. 그의 오랜 선수 및 지도자 경력은 일본 축구 발전에 기여한 중요한 부분으로 평가받는다.
2. 선수 경력
이토 아키라는 유소년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내며 학창 시절을 거쳐 실업 선수로 축구 경력을 시작했고, 이후 프로 선수로 전향하여 여러 클럽에서 활약했다.
2.1. 학창 시절 및 교육
1972년 9월 19일 사이타마현 니자시에서 태어난 이토 아키라는 무난 고등학교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로 뛰었다. 그는 1989년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팀을 준우승으로 이끌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고쿠시칸 대학 축구부에 진학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며, 후카가와 유키와 동기였다.
2.2. 초기 프로 경력 (실업 선수)
대학 졸업 후, 이토 아키라는 1995년 재팬 풋볼 리그 소속의 후지쓰 (이후 가와사키 프론탈레로 전환)에 회사원 선수로 입단했다. 그는 첫 시즌부터 공격형 미드필더와 포워드 포지션에서 많은 경기에 출전했다. 1997년에 출전 기회가 줄었으나, 1998년에는 주전 선수로 발돋움하여 J1리그 승격 결정전 1라운드 아비스파 후쿠오카와의 경기에서 선제골을 기록하는 등 팀의 J1리그 승격에 크게 기여했다. 당시 주장 나카니시 테츠오는 그를 "아마추어지만 축구에 진지하고 프로 의식이 높은 선수"라고 평가했다.
1999년 J2리그에 소속된 가와사키에서 그는 팀의 J1리그 승격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00년 J1리그에서는 팀이 많은 선수를 영입하여 그의 출전 기회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팀은 2000 J리그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리그에서는 부진하여 한 시즌 만에 J2리그로 강등되었다. 2001년에는 다시 주전 선수로 많은 경기에 출전했으나, 2001 시즌 말 팀에서 방출되었다. 하지만 그는 방출 직후 열린 천황배에서 팀의 준결승 진출에 기여하며 "방출된 선수들의 활약"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2.3. 프로 선수 경력
2002년, 이토 아키라는 고향인 사이타마현을 연고로 하는 J2리그 클럽 오미야 아르디자로 이적하며 프로 선수로 전향했다. 그는 오미야에서 두 시즌 동안 주전 선수로 활약했다. 2004년에는 J2리그 클럽 사간 도스로 이적하여 측면 미드필더로 많은 경기에 출전했다. 2005년에는 새로 J2리그로 승격한 도쿠시마 보르티스로 이적하여 두 시즌 동안 측면 미드필더로 활약한 후 2006 시즌을 끝으로 선수 생활을 은퇴했다. 그의 프로 통산 기록은 401경기 76골이다. 그는 가와사키를 포함하여 4개의 클럽에서 7년간 J2리그에서 뛰었으며, 각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지만, 팀의 성적 부진과 세대교체 등의 이유로 여러 차례 이적을 경험했다.
3. 지도자 경력
이토 아키라는 선수 은퇴 후 곧바로 지도자의 길을 걸으며, 여러 클럽의 유소년팀과 성인팀을 이끌었다.
3.1. 오미야 아르디자
이토 아키라는 2007년 선수 생활을 마감한 직후, 친정팀 오미야 아르디자에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2007년 U-12 코치를 시작으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주니어 유소년 코치,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주니어 유소년 감독,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유소년 감독을 역임하며 유소년 선수 육성에 힘썼다. 특히 2015년에는 JFA 공인 S급 코치 라이센스를 취득했는데, 당시 가와사키 프론탈레의 카자마 야히로 감독의 지도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그의 팀 훈련에 참여하기도 했다.
2016년 시즌부터 오미야 아르디자 성인팀의 코치로 활동하던 그는 2017년 5월 28일, 팀의 성적 부진으로 인해 시부야 히로키 감독이 경질되자 후임 감독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그가 지휘봉을 잡은 후에도 팀의 성적은 나아지지 않았고, 결국 팀은 J1리그에서 최하위인 18위를 기록하며 3년 만에 J2리그로 강등되는 수모를 겪었다. 이에 그는 취임 6개월 만인 2017년 11월 5일 경질되었다.
3.2. 반포레 고후
2018년, 이토 아키라는 반포레 고후의 헤드 코치로 부임했다. 같은 해 12월, 그는 시즌 도중 부임 후 계약 만료로 퇴임한 우에노 노부히로 감독의 후임으로 고후의 감독으로 승격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시즌 동안 고후를 지휘하며 그는 팀의 성적을 크게 향상시켰다. 2018년 9위였던 팀을 2019년 5위로 끌어올려 J1리그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시켰으며, 2020년에는 4위, 2021년에는 3위를 기록하며 J2리그 상위권 팀으로 만들었다. 또한 천황배에서 두 차례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2021년 12월 2일, 그는 고후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3.3. 주빌로 이와타
반포레 고후 감독직에서 물러난 이토 아키라는 2021년 12월 25일, 2022년 시즌부터 주빌로 이와타의 감독으로 취임한다고 발표되었다. 그와 함께 고후에서 2019년부터 헤드 코치를 맡았던 시부야 히로키도 주빌로 이와타에 합류했다. 그러나 2022년 8월 13일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의 J1리그 25라운드에서 0-6으로 크게 패배하며 팀이 최하위로 떨어지자, 그는 다음 날인 8월 14일 계약 해지가 발표되며 1년도 채 되지 않아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3.4. 베갈타 센다이
2022년 9월 6일, 이토 아키라는 베갈타 센다이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그는 2022년 9월부터 2023년 7월 13일까지 베갈타 센다이를 지휘했다. 그러나 팀의 성적은 크게 개선되지 못했고, 그는 2023년 시즌 도중 팀을 떠나게 되었다.
3.5. 츠바이겐 가나자와
2023년 12월 11일, 이토 아키라는 2024년 시즌부터 J3리그로 강등된 츠바이겐 가나자와의 감독으로 취임한다고 발표되었다. 그의 지휘 아래 츠바이겐 가나자와는 2024 시즌에 13승 11무 14패를 기록했다.
4. 경력 통계
이토 아키라의 선수 및 지도자 경력에 대한 통계는 다음과 같다.
4.1. 선수 통계
시즌 | 클럽 | 리그 | 컵 | 리그컵 | 총합 | ||||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1994 | 고쿠시칸 대학 | - | - | 1 | 0 | - | - | 1 | 0 |
1995 | 후지쓰 | 26 | 4 | - | - | 0 | 0 | 26 | 4 |
1996 | 후지쓰 | 25 | 9 | - | - | 4 | 3 | 29 | 12 |
1997 | 가와사키 | 8 | 0 | - | - | 0 | 0 | 8 | 0 |
1998 | 가와사키 | 25 | 11 | 3 | 2 | 3 | 0 | 31 | 13 |
1999 | 가와사키 | 31 | 7 | 3 | 4 | 2 | 0 | 36 | 11 |
2000 | 가와사키 | 13 | 2 | 0 | 0 | 5 | 1 | 18 | 3 |
2001 | 가와사키 | 33 | 2 | 4 | 3 | 3 | 0 | 40 | 5 |
2002 | 오미야 아르디자 | 43 | 4 | 4 | 2 | - | - | 47 | 6 |
2003 | 오미야 아르디자 | 38 | 7 | 2 | 1 | - | - | 40 | 8 |
2004 | 사간 도스 | 41 | 4 | 2 | 0 | - | - | 43 | 4 |
2005 | 도쿠시마 보르티스 | 40 | 9 | 0 | 0 | - | - | 40 | 9 |
2006 | 도쿠시마 보르티스 | 42 | 1 | 1 | 0 | - | - | 43 | 1 |
총 통산 | 365 | 60 | 23 | 15 | 13 | 1 | 401 | 76 |
- 기타 공식전: 1998년 J1리그 승격 결정전 1경기 1득점.
- J리그(J1) 첫 출장: 2000년 3월 25일 대 산프레체 히로시마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 J리그(J1) 첫 득점: 2000년 4월 5일 대 감바 오사카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 J리그(J2) 첫 출장: 1999년 3월 14일 대 알비렉스 니가타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 J리그(J2) 첫 득점: 1999년 4월 29일 대 사간 도스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4.2. 지도자 통계
연도 | 소속 | 클럽 | 리그 | 컵 | ||||||
---|---|---|---|---|---|---|---|---|---|---|
순위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J리그컵 | 천황배 | |||
2017 | J1 | 오미야 | 18 | 25 | 23 | 7 | 8 | 8 | ||
8강 | ||||||||||
2019 | J2 | 고후 | 5 | 71 | 42 | 20 | 11 | 11 | ||
8강 | ||||||||||
2020 | 4 | 65 | 42 | 16 | 17 | 9 | ||||
2021 | 3 | 80 | 42 | 23 | 11 | 8 | ||||
2회전 패퇴 | ||||||||||
2022 | J1 | 이와타 | 18 | 22 | 25 | 5 | 7 | 13 | 그룹 스테이지 패퇴 | 16강 |
2022 | J2 | 센다이 | 7 | 8 | 8 | 2 | 2 | 4 | ||
2023 | 13 | 32 | 25 | 8 | 8 | 9 | ||||
3회전 패퇴 | ||||||||||
2024 | J3 | 가나자와 | ||||||||
38 | 13 | 11 | 14 | |||||||
- 2017년 오미야 아르디자의 리그 경기수, 승, 무, 패는 이토 아키라 감독 부임 기간 동안의 기록이다.
- 2022년 이와타의 지휘는 리그 25라운드까지 기록이다.
- 2022년 센다이의 지휘는 리그 35라운드 대 오이타 트리니타전부터 최종전까지이며, 순위는 최종 순위이다.
- 2023년 센다이의 지휘는 리그 25라운드까지 기록이다.
5. 수상 및 업적
이토 아키라가 선수 및 감독으로서 경력 전반에 걸쳐 달성한 주요 수상, 타이틀, 그리고 중요한 업적은 다음과 같다.
5.1. 선수로서의 업적
- 재팬 풋볼 리그
- 준우승: 1998
- 3위: 1997
- J2리그
- 우승: 1999 (가와사키 프론탈레)
- J리그컵
- 준우승: 2000 (가와사키 프론탈레)
- 천황배
- 4강: 2001 (가와사키 프론탈레)
5.2. 지도자로서의 업적
- J2리그 (반포레 고후)
- 3위: 2021
- 4위: 2020
- 천황배 (반포레 고후)
- 8강: 2019, 2020
6. 같이 보기
- 일본 축구
- J리그
- 가와사키 프론탈레
- 오미야 아르디자
- 반포레 고후
- 주빌로 이와타
- 베갈타 센다이
- 츠바이겐 가나자와
- 사간 도스
- 도쿠시마 보르티스
- 고쿠시칸 대학
- 천황배
- J리그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