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이재원은 1988년 2월 24일 인천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포수이다. 2006년 KBO 리그 SK 와이번스에 1차 지명으로 입단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강력한 타격 능력, 특히 좌완 투수를 상대로 강점을 보였으나, 포수로서의 수비력은 비교적 부족하여 지명타자나 1루수로도 자주 출전했다. 군 복무는 상무 야구단에서 마쳤으며, 복귀 후 SK 와이번스와 후신인 SSG 랜더스의 주장을 역임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과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2018 시즌 후에는 FA 자격을 얻어 당시 SK 와이번스와 4년 총액 69.00 억 KRW에 잔류 계약을 체결했다. 2023년 시즌 종료 후에는 SSG 랜더스에 방출을 요청하여 팀을 떠났고, 2024년 시즌부터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새로운 경력을 이어가고 있다.
2. Early Life and Education
이재원 선수의 유년기와 학창 시절은 그가 야구 선수로서 성장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2.1. Birth and Childhood
이재원 선수는 1988년 2월 24일 대한민국 인천에서 태어났다. 그의 유년 시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많지 않으나, 인천에서 성장하며 자연스럽게 야구를 접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2.2. Education
이재원 선수는 다음과 같은 교육 과정을 거쳤다:
- 인천숭의초등학교
- 상인천중학교
- 인천고등학교
특히 인천고등학교 재학 당시 그는 특급 포수로 평가받으며 프로 구단의 주목을 받았다.
3. Professional Baseball Career
이재원 선수는 2006년 프로 데뷔 이후 다양한 팀과 역할을 거치며 긴 경력을 쌓아왔다.
3.1. SK Wyverns Era (2006-2010)
이재원은 2006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SK 와이번스의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당시 SK 와이번스는 주전 포수 박경완의 노쇠화와 유망주 포수 정상호의 군 복무 및 더딘 성장으로 인해 포수 자원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에 팀은 인천고등학교의 특급 포수였던 이재원을 지명했다.
프로 입단 초 이재원은 뛰어난 타격 재능을 인정받아 주로 좌완 투수 상대 대타로 기용되었다. 당시 SK 와이번스에는 이호준, 김재현, 박정권, 박재홍, 이진영 등 중심 타선에 베테랑 타자들이 버티고 있었기 때문에, 타순 기회를 잡기 어려웠다. 포수로서의 수비력은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박경완, 조인성, 정상호 등 베테랑 포수들에 밀려 포수 출장 기회가 제한적이었다. 타격 재능을 더 활용하기 위해 1루수로도 많이 출전했다.
2006년, 당시 감독이었던 조범현은 이재원을 23경기에 출전시키며 박경완의 백업 포수로 기용했고, 그의 재능을 인정했다. 이 해 그는 48타수 15안타를 기록했다. 2007년 김성근 감독이 부임하면서 수비력이 약한 그보다 군 복무를 마친 정상호가 백업 포수로 중용되었다. 대신 이재원은 주로 대타나 지명타자로 출전하며 3할대 타율을 기록했지만, 규정 타석은 채우지 못했다. 66경기에 출장하여 108타수 36안타를 기록했으며, 이 해 첫 홈런과 도루도 성공했다. 2008년에는 포수로서 어느 정도 출장 기회를 부여받아 82경기에서 146타수 46안타를 기록했다. 시즌 후 11월에 팔꿈치 수술을 받았다. 2009년에는 재활로 인해 개막전에 출장하지 못했으며, 24경기에서 32타수 11안타를 기록했다. 2010년에는 가장 부진한 시즌을 보냈다. 대타로 54경기에 출전하여 70타수 18안타에 그쳤다.
3.2. Military Service (Sangmu Baseball Team)
2010년 시즌 종료 후, 이재원은 당시 감독이었던 김성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택했다. 군 복무 기간 동안 이재원은 이지영에 밀려 주로 1루수로 출장했다. 그러나 군 복무 2년차에는 박동원, 이희근 등 다른 포수들보다 더 많은 포수 출장 기회를 얻었다.
3.3. SK Wyverns & SSG Landers Era (2012-2023)
이재원은 2012년 9월에 군 복무를 마치고 팀에 복귀했다. 2014년 시즌에는 데뷔 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 홈런(12개)을 기록하며 장타력을 선보였다. 특히 전반기에는 타율 0.394를 기록하며 올스타전에 팬 투표로 처음 출전했다. 하지만 후반기에는 타율 0.208로 급격히 하락했다. 이 해 그는 개인 처음으로 100경기 이상(120경기)에 출장했으며, 인천 아시안 게임 야구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결승전에 대타로 출전하며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2018년 시즌부터는 SK 와이번스의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같은 해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야구 국가대표팀에도 선발되어 대한민국의 대회 3연패 달성에 공헌했다. 2018년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취득했으며, 4년 총액 69.00 억 KRW에 SK 와이번스에 잔류했다. 2021년에는 최정의 뒤를 이어 다시 팀의 주장으로 선정되었다. 2023년 11월 23일, 이재원은 구단에 직접 방출을 요청하며 18년간 몸담았던 팀을 떠나 새로운 팀을 모색하게 되었다.
3.4. Hanwha Eagles Era (2024-)
SSG 랜더스에서 방출을 요청한 후, 이재원은 2023년 12월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새로운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4. Playing Style and Characteristics
이재원 선수는 타격과 수비에서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는 특히 좌완 투수를 상대로 매우 강한 타율을 기록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프로 입단 초기부터 좌완 투수 상대 플래툰 요원으로 많이 기용될 정도로 이 강점은 두드러졌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통산 좌완 투수 상대 321타수 103안타, 타율 0.320을 기록했다. 2014년에는 좌완 투수 상대 타율 0.387로 절정을 보였고, 2018년에도 좌완 투수 상대 타율 0.410을 기록하며 이 강점을 다시금 입증했다. 다만 2015년에는 좌완 투수 상대 타율 0.258로 우완 투수 상대 타율 0.297보다 낮기도 했다.
반면, 포수로서의 수비력은 그의 타격 능력에 비해 부족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이 때문에 프로 초기부터 포수보다는 대타, 지명타자, 또는 1루수로 출전하는 경우가 많았다.
5. Trivia and Nicknames
이재원 선수와 관련된 흥미로운 일화와 별명은 다음과 같다.
- 이재원 선수는 프로 입단 초기부터 좌완 투수를 상대로 매우 높은 타율을 기록하여 '좌완 킬러'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실제로 그의 타격 재능은 팀 내에서 좌완 투수를 상대하는 특수 요원으로 활용될 정도로 뛰어났다.
- 2006년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SK 와이번스가 동산고등학교의 투수였던 류현진 대신 그를 1차 지명으로 뽑은 것을 두고 '류거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는 '류현진 거르고 이재원'의 줄임말로, 드래프트 당시 SK의 선택에 대한 야구 팬들의 평가를 담고 있다.
6. Career Statistics
6.1. Batting Statistics by Year
이재원 선수의 연도별 타격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 2006 | SK | 0.313 | 23 | 48 | 2 | 15 | 0 | 0 | 0 | 15 | 4 | 0 | 0 | 1 | 0 | 9 | 2 | 0 |
| 2007 | 0.333 | 66 | 108 | 16 | 36 | 8 | 0 | 3 | 53 | 21 | 1 | 0 | 7 | 3 | 13 | 4 | 3 | |
| 2008 | 0.315 | 82 | 146 | 14 | 46 | 13 | 1 | 3 | 70 | 25 | 2 | 0 | 20 | 2 | 24 | 8 | 3 | |
| 2009 | 0.344 | 24 | 32 | 2 | 11 | 2 | 0 | 0 | 13 | 5 | 0 | 0 | 6 | 1 | 4 | 1 | 1 | |
| 2010 | 0.257 | 54 | 70 | 8 | 18 | 5 | 0 | 1 | 26 | 7 | 0 | 0 | 5 | 2 | 8 | 4 | 1 | |
| 2012 | 0.321 | 16 | 28 | 3 | 9 | 0 | 0 | 2 | 15 | 7 | 0 | 0 | 4 | 1 | 4 | 1 | 0 | |
| 2013 | 0.252 | 69 | 226 | 27 | 57 | 10 | 1 | 8 | 93 | 41 | 2 | 1 | 17 | 4 | 32 | 8 | 0 | |
| 2014 | 0.337 | 120 | 412 | 48 | 139 | 30 | 2 | 12 | 209 | 83 | 3 | 0 | 49 | 12 | 66 | 14 | 7 | |
| 2015 | 0.282 | 140 | 489 | 58 | 138 | 18 | 1 | 17 | 209 | 100 | 1 | 3 | 54 | 11 | 85 | 22 | 3 | |
| 2016 | 0.290 | 130 | 411 | 49 | 119 | 15 | 0 | 15 | 179 | 64 | 1 | 5 | 43 | 9 | 76 | 15 | 8 | |
| 2017 | 0.242 | 114 | 314 | 32 | 76 | 15 | 0 | 9 | 118 | 42 | 0 | 1 | 16 | 8 | 55 | 9 | 3 | |
| 2018 | 0.329 | 130 | 407 | 63 | 134 | 24 | 0 | 17 | 209 | 57 | 0 | 0 | 43 | 12 | 65 | 13 | 11 | |
| 2019 | 0.268 | 139 | 451 | 33 | 121 | 19 | 0 | 12 | 176 | 75 | 1 | 0 | 34 | 9 | 59 | 16 | 6 | |
| 2020 | 0.185 | 80 | 222 | 18 | 41 | 8 | 0 | 2 | 55 | 21 | 0 | 0 | 19 | 6 | 24 | 12 | 3 | |
| 2021 | SSG | 0.280 | 107 | 271 | 29 | 76 | 13 | 0 | 3 | 98 | 30 | 0 | 2 | 29 | 5 | 47 | 14 | 7 |
| 2022 | 0.201 | 105 | 234 | 27 | 47 | 6 | 0 | 4 | 65 | 28 | 1 | 0 | 25 | 8 | 44 | 13 | 4 | |
| 2023 | SSG | 0.091 | 27 | 44 | 3 | 4 | 1 | 0 | 0 | 5 | 2 | 0 | 0 | 2 | 0 | 8 | 4 | 1 |
| 2024 | 한화 | 0.254 | 68 | 126 | 16 | 32 | 4 | 0 | 1 | 16 | 0 | 0 | 7 | 17 | ||||
| 통산 | 17시즌 | 0.278 | 1426 | 3913 | 432 | 1087 | 187 | 5 | 108 | 1608 | 612 | 12 | 12 | 374 | 93 | 623 | 160 | 61 |
6.2. Uniform Numbers
이재원 선수가 프로 경력 동안 사용했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 12 (SK 와이번스): 2006년 ~ 2010년
- 34 (SK 와이번스): 2012년
- 20 (SK 와이번스, SSG 랜더스): 2013년 ~ 2023년, 2025년 ~
- 32 (한화 이글스):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