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이시히메 황녀의 생애는 그녀의 출생과 가족 관계, 그리고 황후 및 황태후로서의 중요한 시기로 구분된다.
1.1. 출생 및 가족 배경
이시히메 황녀는 선화 천황의 딸로 태어났다. 그녀의 어머니는 인현 천황의 황녀이자 웅략 천황의 외손녀인 타치바나노 나카츠히메 황녀이다. 이시히메 황녀는 동복자매인 코이시히메 황녀(小石姫皇女코이시히메 황녀일본어, 『고사기』에만 기록), 쿠라노와카야히메 황녀(倉稚綾姫皇女쿠라노와카야히메 황녀일본어, 『일본서기』에만 기록), 히카게 황녀(日影皇女히카게 황녀일본어, 『일본서기』에만 기록)와 함께 흠명 천황의 비가 되었다. 이 외에도 오빠인 카미츠에하 황자(上殖葉皇子카미츠에하 황자일본어)와 성별 미상의 요절한 자매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1.2. 혼인 및 황후 책봉
이시히메 황녀는 흠명 천황의 비로 입궁한 후, 긴메이 천황 원년 1월 15일인 540년 2월 8일에 긴메이 천황의 황후로 책봉되었다. 그녀는 긴메이 천황 재위 기간인 540년부터 571년까지 황후의 지위를 유지했다.
1.3. 황태후 책봉
이시히메 황녀는 아들 민달 천황이 즉위하면서 황태후로 책봉되었다. 비다츠 천황 원년 4월 3일인 572년 4월 30일, 아들의 즉위와 동시에 황태후의 자리에 올랐다. 그녀는 572년부터 사망 시점까지 황태후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2. 자녀
이시히메 황녀는 흠명 천황과의 사이에서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
- 첫째 아들: 야타노 타마카츠노 오오에 황자(箭田珠勝大兄皇子야타노 타마카츠노 오오에노 미코일본어). 552년에 사망하였다.
- 둘째 아들: 민달 천황(渟中倉太珠敷尊누나쿠라 후토타마시키노 미코토일본어). 훗날 제30대 천황으로 즉위하였다.
- 딸: 카사누이 황녀(笠縫皇女카사누이노 히메미코일본어).
3. 능묘

이시히메 황녀의 능묘는 궁내청에 의해 오사카부 미나미카와치군 다이시정 오아자 타이시(大字太子)에 위치한 이소나가노하라릉(磯長原陵시나가노하라노 미사사기일본어)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능은 아들 민달 천황과의 합장릉이며, 궁내청이 지정한 형식은 전방후원분이다. 고고학적 유적 명칭은 타이시니시야마 고분(太子西山古墳타이시니시야마 고분일본어)으로, 봉분 길이는 약 113 m에 달하는 대형 전방후원분이다.
이시히메 황녀의 정확한 사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숭준 천황 4년 4월(추정 591년)에 민달 천황이 이시히메 황녀의 무덤에 추장(追葬)되었으며, 당시 그 능호는 "이소나가릉"(磯長陵시나가노 미사사기일본어)으로 불렸다고 한다. 또한, 『엔기시키』의 「쇼료시키」(諸陵式)에는 이시히메 황녀의 묘가 원묘(遠墓)인 "이소나가하라묘"(磯長原墓이소나가하라노 하카일본어)로 기재되어 있으며, 카와치국 이시카와군 내의 민달 천황릉 내에 위치하고 매년 3호(守戸3烟)의 수호 가구가 배정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4. 관련 사찰
이시히메 황녀는 오사카부 가시와라시에 위치한 이와 신사(石神社이시 진자일본어)에서 주신(主祭神)으로 모셔지고 있다. 이 신사는 이시히메 황녀를 기리는 중요한 시설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