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배우 유태오는 1981년 독일 쾰른에서 파독 광부 아버지와 간호사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한국인 배우이다. 뉴욕 리 스트라스버그 연기학교와 영국 왕립연극학교에서 연기를 전공하며 배우의 꿈을 키웠다. 2003년 연기 활동을 시작하여 2008년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데뷔한 이래, 영화와 드라마를 넘나들며 다양한 작품에서 인상 깊은 연기를 선보였다. 특히 러시아 영화 《레토》(2018)에서 빅토르 최 역을 맡아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2021년 청룡영화상 신인남우상을 수상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2023년에는 미국 영화 《패스트 라이브즈》에서 '해성' 역으로 주연을 맡아 전 세계적인 호평을 받았고,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남우주연상 후보에 오르는 등 국제적인 인지도를 크게 높였다. 또한 2024년 6월에는 미국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초청되며 세계 영화계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연기 활동 외에도 영화 연출 및 음악 활동 등 다방면에서 재능을 발휘하고 있으며, 2007년 사진작가 니키 리와 결혼하여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

2. 생애
2.1. 출생, 어린 시절 및 학력
배우 유태오는 1981년 4월 11일 서독의 쾰른Köln쾰른독일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1970년대 독일에 파견된 파독 광부 출신이며, 어머니는 파독 간호사 출신이다. 유태오는 독일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성장했지만, 독일로 귀화하지 않고 출생 시부터 단독 대한민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다.
고등학교 재학 시절에는 농구 선수를 지망했으나, 무릎 부상으로 인해 꿈을 접어야 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의 리 스트라스버그 연기학교Lee Strasberg Theatre and Film Institute리 스트라스버그 연기학교영어에서 연기를 공부했으며, 이후 영국으로 유학하여 왕립연극학교Royal Academy of Dramatic Art왕립연극학교영어의 집중 과정을 수료하며 연기 교육을 심화했다. 그는 독일어, 영어, 한국어 3개 국어에 능통하다.
2.2. 초기 활동
유태오는 2003년 단편 영화 《Kim Bab》으로 연기 활동을 시작했다. 이 작품은 독일에서 제작된 단편 영화이다. 이후 2004년 《브루클린 바운드》, 2006년 《데이 나잇 데이 나잇》 등 여러 독립 영화에 출연하며 경력을 쌓았다. 2008년부터는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배우 활동을 시작하며 국내 영화 및 드라마계에 발을 들였다.
3. 주요 활동 및 작품
유태오는 영화, 드라마, 방송, 음악, 연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활동을 펼쳐왔다.
3.1. 영화
유태오는 여러 국가의 영화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2003 | 《Kim Bab》 | 김 | 단편 영화, 독일 |
2004 | 《브루클린 바운드》 | 토미 우 | |
2006 | 《데이 나잇 데이 나잇》 | 운전사 | |
2009 | 《여배우들》 | 에밀 | |
2010 | 《Innocent When You Dream》 | 구스타프 제르가 | 단편 영화 |
2012 | 《상하이 스트레인저스》 | 연인 | 단편 영화 |
2012 | 《러브픽션》 | 독일 출판사 비서 | |
2012 | 《자칼이 온다》 | 콧수염 | |
2014 | 《일대일》 | 그림자 3 | |
2015 | 《서울 서칭》 | 클라우스 김 | |
2015 | 《이퀄스》 | 피터 | |
2015 | 《열정같은소리하고있네》 | 제이 | |
2016 | 《비트코인 하이스트》 | 토머스 | |
2017 | 《더 모먼트》 | 미스터 김 | 태국 영화 |
2017 | 《TV 첼로》 | 백남준 | 단편 영화 |
2018 | 《림》 | 테오 | 단편 영화 |
2018 | 《레토》 | 빅토르 최 | |
2019 | 《버티고》 | 이진수 | |
2019 | 《블랙머니》 | 스티브 정 | 특별 출연 |
2020 | 《담보》 | 유덕화 | |
2021 | 《새해전야》 | 래환 | |
2021 | 《로그 인 벨지움》 | 감독, 각본, 편집 | |
2022 | 《헤어질 결심》 | 이 감독 | 특별 출연 |
2023 | 《패스트 라이브즈》 | 해성 | 미국 영화 |
2024 | 《더러운 돈에 손대지 마라》 | 장지양 |
3.2. 드라마
유태오는 TV 드라마와 웹 드라마를 통해 다양한 캐릭터를 소화하며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2016 | 《출출한 여자 시즌 2》 | 테오 | 웹드라마 |
2019 | 《아스달 연대기》 | 라가즈 | 카메오 |
2019 | 《배가본드》 | 제롬 | |
2019 | 《초콜릿》 | 권민성 | |
2020 | 《머니게임》 | 유진한 | |
2020 | 《보건교사 안은영》 | 매켄지 | 넷플릭스 웹드라마 |
2021 | 《드라마 스테이지 - 대리인간》 | 윤재호 | 시즌 4; 단막극 |
2021 | 《더 윈도우》 | 조재연 | 일본-독일 합작 드라마 |
2021 | 《Dr. 브레인》 | 윤 비서 | 애플 TV+ 웹드라마 |
2023 | 《연애대전》 | 남강호 | 넷플릭스 웹드라마 |
2025 | 《더 리크루트 시즌2》 | 장균 | 넷플릭스 미국 시리즈, 미정 |
미정 | 《세상에서 가장 나쁜 소년》 | 디즈니+ 웹드라마, 미정 |
3.3. 방송 활동
유태오는 드라마와 영화 외에도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대중에게 친근한 모습을 선보였다.
- 《버저비터》 (2017년, tvN): 출연진으로 참여하여 에피소드 1회부터 8회까지 활약했다.
- 《런닝맨》 (2020년 12월 27일, SBS): 535회에 유연석, 이연희, 최수영 등과 함께 게스트로 출연했다.
- 《우도주막》 (2021년, tvN): 출연진으로 에피소드 1회부터 9회까지 참여하여 신혼여행객들을 위한 주막을 운영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놀라운 토요일》 (2023년, tvN)
- 《전지적 참견 시점》 (2023년, MBC)
- 《유 퀴즈 온 더 블럭》 (2024년, tvN)
- 《태어난 김에 음악일주》 (2024년, MBC): 리얼리티 부문 MBC 방송연예대상 인기상을 수상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여러 음악 비디오에도 출연했다.
- "Courting" (2017년) - 박정현
- "우리들의 마지막 날" (2018년) - 노을
- "Tender Love" (2020년) - 김재중
광고 활동으로는 다음과 같다.
- 《소셜 네트워크 인터랙션 뮤비[Episode X3]》 (2011년, BMW 코리아)
- 《증류수 술 [화요]》 (2013년)
- 《SK 텔레콤 가능성의 릴레이, Tech 리더십편》 (2014년)
- 《갤럭시 S10 5G 광고》 (2019년)
- 《삼성 냉장고 셰프컬렉션》 (2020년)
3.4. 음악 및 연출 활동
유태오는 배우 활동 외에도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여주었다. 2021년에는 자신의 첫 싱글 앨범 'Overwhelming'을 발매하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이 곡은 그가 직접 감독, 각본, 편집을 맡은 영화 《로그 인 벨지움》의 OST이기도 하다. 영화 《로그 인 벨지움》을 통해 연출가 및 작가로서의 역량을 선보이며 영화 제작 전반에 걸친 참여를 이어갔다.
4. 개인 생활
유태오는 2007년 사진작가 니키 리Nikki S. Lee니키 리영어와 결혼했다. 두 사람은 미국 뉴욕에서 처음 만났으며, 현재는 대한민국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

5. 수상 경력
유태오는 국내외 유수의 영화제 및 시상식에서 여러 차례 수상하거나 후보에 오르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결과 |
---|---|---|---|---|
2017 | Starpics 태국 영화상 | 남우조연상 | 《더 모먼트》 | 후보 |
2018 |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 영화 부문 신인상 | 《레토》 | 수상 |
2020 | 춘사영화제 | 신인남우상 | 《버티고》 | 후보 |
2021 | 청룡영화상 | 신인남우상 | 《버티고》 | 수상 |
2021 | 대한민국 예술문화인 대상 | 영화배우 부문 | 수상 | |
2023 | 마리끌레르 영화제 | 마리끌레르상 | 《로그 인 벨지움》 | 수상 |
2023 |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 남우주연상 | 《패스트 라이브즈》 | 후보 |
2023 |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 가장 유망한 연기상 | 《패스트 라이브즈》 | 후보 |
2023 | 마리끌레르 아시아 스타 어워즈 | 아시아 스타상 | 《패스트 라이브즈》 | 수상 |
2024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남우주연상 | 《패스트 라이브즈》 | 후보 |
2024 |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 최우수 주연상 | 《패스트 라이브즈》 | 후보 |
2024 | MBC 방송연예대상 | 리얼리티 부문 남자 인기상 | 《태어난 김에 음악일주》 | 수상 |
6. 대중적 인정 및 평가
유태오는 《레토》와 《패스트 라이브즈》를 통해 국내외에서 배우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졌다. 그는 2021년 GQ 코리아GQ KoreaGQ 코리아영어에서 선정한 '올해의 인물'에 이름을 올리며 대중적인 영향력을 인정받았다. 특히 2023년 개봉한 미국 영화 《패스트 라이브즈》에서 섬세하고 깊이 있는 연기로 평단의 극찬을 받으며, 한국을 넘어 세계 영화계의 주목을 받는 배우로 성장했다. 이 작품을 통해 그는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남우주연상 후보에 오르고,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및 가장 유망한 연기상 후보,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최우수 주연상 후보에 오르는 등 권위 있는 시상식에서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7. 영향
유태오는 영화 《패스트 라이브즈》를 통해 국제적인 인지도를 크게 높였다. 이 작품은 그에게 단순한 출연작을 넘어 세계적인 배우로 발돋움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그의 연기는 한국 영화계뿐만 아니라 전 세계 영화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한국 배우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특히 2024년 6월, 그는 미국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초청되는 영예를 안으며, 세계 영화계에서 그의 영향력과 중요성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그가 단순한 배우를 넘어 한국과 세계 영화를 잇는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