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올리비우 다 호자(Olivio da Rosa포르투갈어, 1986년 10월 2일~)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 흔히 이보(Ivo이부포르투갈어)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다. 미드필더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특히 공격형 미드필더로서 뛰어난 능력을 선보였다. 브라질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대한민국의 K리그와 중국 슈퍼리그 등 아시아 무대에서 다년간 성공적인 커리어를 이어왔다. 이보는 각 소속팀에서 중요한 공격 자원으로 활약하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고, 그의 꾸준한 기량과 헌신적인 플레이는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의 경력은 축구라는 스포츠를 통해 다양한 문화권에서 개인의 역량을 발휘하고, 국경을 넘어 팀워크와 열정으로 팬들과 소통한 긍정적인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다.
2. 유년기와 선수 경력 시작
올리비우 다 호자 선수의 출생, 어린 시절, 가족 배경 등 초기 생애 정보와 함께 선수 경력의 시작점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2.1. 출생과 유년 시절
올리비우 다 호자는 1986년 10월 2일 브라질 리우그란지두술주 파우미치뉴에서 태어났다. 그의 신체 조건은 키 183 cm, 몸무게 65 kg이다. 왼발을 주로 사용하는 선수로 알려져 있다.
2.2. 유소년 경력
이보는 2005년 주벤투스 지 테우토니아 유소년 팀에서 축구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2006년 EC 주벤투지 유소년 팀으로 옮겨 프로 데뷔를 위한 기량을 연마하며 선수로서의 초기 발전 과정을 거쳤다.
2.3. 브라질에서의 초기 프로 경력
이보는 2007년 EC 주벤투지에서 프로 무대에 데뷔하며 본격적인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2010년 2월 21일에는 SE 파우메이라스로 이적하여 단년 계약을 체결했으며, 5년 연장 옵션이 포함되어 있었다. 같은 해 AA 폰치 프레타로 임대되어 활약하기도 했다. 2011년 1월 5일에는 아소시아상 포르투게자 지 데스포르투스로 완전 이적하며 브라질 리그에서의 경험을 쌓았다. 2013년 1월에는 브라질로 돌아와 크리시우마 EC에 합류하여 30경기 이상 출전하여 6골을 기록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 클럽 경력
이보는 브라질에서의 활약 이후 대한민국과 중국 등 아시아 여러 국가의 클럽에서 활동하며 그의 기량을 선보였다.
3.1. K리그 경력
2012년 1월 5일, 이보는 대한민국의 K리그 소속 인천 유나이티드 FC와 1년 계약을 맺으며 첫 해외 진출에 나섰다. 2012년 K리그에서 27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으며, 특히 2012년 7월 26일 대구 FC와의 리그 경기에서 인상적인 데뷔골을 터뜨렸다. 2012 시즌을 마친 후 브라질로 돌아갔지만, 2014년 1월 인천 유나이티드 FC에 재영입되며 K리그 무대에 다시 복귀했다. 2014년 K리그 클래식에서는 33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기록하며 팀 공격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3.2. 중국 클럽 경력
2015년 2월, 이보는 중국 슈퍼리그의 허난 젠예로 이적하며 중국 무대에 첫발을 내디뎠다. 허난 젠예에서 2015년과 2016년 두 시즌 동안 각각 29경기 출전 7골, 29경기 출전 4골을 기록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2016 시즌 종료 후 허난 젠예와의 계약 연장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2016년 11월 29일에는 중국 갑급리그의 베이징 런허로 이적했다. 베이징 런허에서는 2017년에 25경기 출전 6골을 기록하며 팀의 중국 슈퍼리그 승격에 기여했다. 2018년 6월 15일, 그는 다시 허난 젠예로 복귀하여 2018년부터 2021년까지 활약하며 팀의 중원과 공격을 이끌었다. 2023년 4월 15일에는 중국 갑급리그의 옌볜 룽딩으로 이적하며 중국에서의 선수 경력을 이어갔다.
4. 플레이 스타일과 특징
이보는 주로 미드필더 포지션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공격형 미드필더로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는 왼발을 주로 사용하는 선수로, 정확한 패스와 날카로운 슈팅 능력을 겸비했다. 경기 운영 능력과 공격 전개에서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팀 전술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으며, 득점뿐만 아니라 동료 선수들에게 기회를 창출하는 데에도 능숙했다.
5. 경력 통계
2023년 10월 28일 기준 올리비우 다 호자의 프로 경력 동안의 리그, 컵 대회, 대륙별 대회 등에서의 출장 기록과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
클럽 | 시즌 | 리그 | FA컵 | 대륙 대회 | 기타 | 총합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주벤투지 | 2006 | 세리이 A | 6 | 0 | - | - | 0 | 0 | 6 | 0 | ||
2007 | 13 | 2 | 0 | 0 | - | 0 | 0 | 13 | 2 | |||
2008 | 세리이 B | 0 | 0 | 0 | 0 | - | 0 | 0 | 0 | 0 | ||
2009 | 22 | 0 | 0 | 0 | - | 1 | 0 | 23 | 0 | |||
2010 | 세리이 C | 0 | 0 | - | - | 7 | 2 | 7 | 2 | |||
합계 | 41 | 2 | 0 | 0 | 0 | 0 | 8 | 2 | 49 | 4 | ||
파우메이라스 | 2010 | 세리이 A | 2 | 0 | 3 | 0 | - | 8 | 0 | 13 | 0 | |
폰치 프레타 (임대) | 2010 | 세리이 B | 25 | 3 | - | - | 0 | 0 | 25 | 3 | ||
포르투게자 | 2011 | 26 | 2 | 1 | 0 | - | 15 | 1 | 42 | 3 | ||
인천 유나이티드 | 2012 | K리그1 | 27 | 4 | 0 | 0 | - | - | 27 | 4 | ||
크리시우마 | 2013 | 세리이 A | 16 | 1 | 4 | 1 | - | 16 | 5 | 36 | 7 | |
인천 유나이티드 | 2014 | K리그1 | 33 | 7 | 0 | 0 | - | - | 33 | 7 | ||
허난 젠예 | 2015 | 중국 슈퍼리그 | 29 | 7 | 1 | 0 | - | - | 30 | 7 | ||
2016 | 29 | 4 | 3 | 2 | - | - | 32 | 6 | ||||
합계 | 58 | 11 | 4 | 2 | 0 | 0 | 0 | 0 | 62 | 13 | ||
베이징 런허 | 2017 | 중국 갑급리그 | 25 | 6 | 0 | 0 | - | - | 25 | 6 | ||
2018 | 중국 슈퍼리그 | 8 | 0 | 1 | 0 | - | - | 9 | 0 | |||
합계 | 33 | 6 | 1 | 0 | 0 | 0 | 0 | 0 | 34 | 6 | ||
허난 젠예 | 2018 | 중국 슈퍼리그 | 18 | 1 | 0 | 0 | - | - | 18 | 1 | ||
2019 | 26 | 7 | 0 | 0 | - | - | 26 | 7 | ||||
2020 | 11 | 2 | 0 | 0 | - | - | 11 | 2 | ||||
2021 | 4 | 1 | 3 | 2 | - | - | 7 | 3 | ||||
합계 | 59 | 11 | 3 | 2 | 0 | 0 | 0 | 0 | 62 | 13 | ||
옌볜 룽딩 | 2023 | 중국 갑급리그 | 25 | 6 | 0 | 0 | - | - | 25 | 6 | ||
경력 총합 | 345 | 53 | 16 | 5 | 0 | 0 | 47 | 8 | 408 | 65 |
- 기타 열의 기록은 브라질의 주(州) 리그 경기 출장 기록을 포함한다. (예: 캄페오나투 가우슈,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캄페오나투 카타리넨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