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오히노데 다카아키(大日ノ出 崇揚오히노데 타카아키일본어, 1970년 1월 19일 출생, 본명: 니시다 다카아키(西田 崇晃니시다 타카아키일본어))는 일본 효고현 시소시 출신의 전 스모 선수입니다. 그는 어린 시절 야구에 몰두했으나, 중학교 3학년 때 우연히 참가한 지역 스모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스모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일본대학에서 아마추어 스모 챔피언으로 활약한 후, 1992년 1월 다쓰나미베야에 입문하며 프로 스모 선수로 데뷔했습니다.
오히노데는 아마추어 경력이 뛰어난 선수에게 주어지는 '막하 츠케다시' 자격으로 프로에 입문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상과 경기 운의 영향으로 다른 츠케다시 출신 선수들에 비해 승진이 매우 느린 특징을 보였습니다. 그는 데뷔 후 30개 바쇼 만에 주료 디비전에, 그리고 43개 바쇼 만에 최상위 마쿠우치 디비전에 승격했는데, 이는 당시 막하 츠케다시 출신 리키시 중 가장 느린 마쿠우치 승격 기록이었습니다. 마쿠우치 최고 랭크는 마에가시라 9로, 주특기인 요츠-스모를 활용하여 힘과 기술을 겸비한 경기를 펼쳤습니다. 그러나 2000년 내장 질환으로 인해 30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은퇴 후에는 사업가로 변신하여 새로운 삶을 살고 있습니다.
2. 생애
오히노데 다카아키는 야구 선수에서 스모 선수로 전환하게 된 특별한 계기를 가지고 있으며, 일본대학 재학 시절 뛰어난 아마추어 스모 실력을 보여주며 프로 스모에 입문했습니다.
2.1. 유년기 및 교육
오히노데 다카아키는 1970년 1월 19일 효고현 시소군 지쿠사정(현재의 시소시)에서 세무사로 근무하는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한신 타이거스의 2루수였던 친척의 영향을 받아 야구에 깊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지쿠사정립 지쿠사 미나미 초등학교 3학년 때 리틀 야구팀에 입단하여 투수 겸 4번 타자로 활약했으며, 지쿠사정립 지쿠사 중학교에서는 경식 야구부에 소속되어 활동했습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오직 야구에만 전념하여 스모 경험은 전혀 없었습니다. 그러나 중학교 3학년 때, 학교 측의 권유로 시소군 스모 대회에 시험 삼아 출전하게 되었고, 이 대회에서 순조롭게 승리하며 효고현 대회, 나아가 긴키 대회까지 진출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습니다.
2.2. 스모 입문 및 초기 활동
중학교 시절 야구에서 실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경기에도 출전하지 못했던 경험이 있었던 오히노데는 스모에서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자 큰 기쁨을 느꼈습니다. 이로 인해 이치카와 고등학교에서 스모부 입단 제안을 받게 되자 야구를 그만두고 본격적으로 스모를 시작했습니다. 고등학교 재학 중 그는 국민체육대회와 전국고등학교스모선수권대회에 출전하여 단체 우승에 기여하는 등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고등학교 3학년 때 참가한 국민체육대회에서는 일본대학 스모부로부터 입단 제안을 받고 일본대학에 진학했습니다. 일본대학에서는 전일본스모선수권대회에서 활약하며 대학 스모계의 유망주로 성장했습니다. 당시 일본대학 스모부의 동기 중에는 후에 프로 스모에서 활약하는 히고노우미 나오야, 하마노시마 게이지 등이 있었습니다.
대학 졸업 후에는 와카야마현청에 취직이 내정되어 있었으나, 대학 4학년 때 스모에서 큰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던 아쉬움 때문에 스모에 대한 미련을 떨쳐버릴 수 없었습니다. 결국 대학 시절 2년 선배였던 다이쇼호 마사미의 소개로 다쓰나미베야에 입문하여 프로 스모 선수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습니다. 1992년 1월 바쇼에서 막하 츠케다시 60번째 랭크로 하츠도효(첫 출전)를 밟았습니다. 처음 사용한 시코나는 본명에서 따온 '니시다야마'였으며, 1994년 3월 바쇼부터 현재의 '오히노데'로 개명했습니다.
3. 스모 선수 경력
오히노데 다카아키는 프로 스모 선수로서 여러 디비전을 거치며 활동했으며, 부상과 질병으로 인해 경력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습니다.
3.1. 프로 데뷔 및 초기 성적
오히노데는 고등학교와 대학 시절의 뛰어난 아마추어 스모 실력을 바탕으로 막하 츠케다시 자격을 얻어 프로에 입문했기에 빠른 승진이 예상되었습니다. 그러나 프로 데뷔 초반, 무릎 부상에 시달리면서 막하 중위권에서 고전하는 시기가 길어졌습니다. 1996년 7월 바쇼에서는 6전 전승을 기록하며 호조를 이어갔으나, 7번째 경기에서 같은 6전 전승이었던 후토(후일 토치노와카 야스이치)에게 패배하며 우승 결정전에서도 탈락, 우승을 놓치기도 했습니다. 1998년 1월 바쇼에서는 막하 서열 1위인 '막하 히츠토메'까지 올라섰으며, 이 바쇼에서 7번의 경기 중 5번을 주료 랭크의 선수와 대결하는 이례적인 기록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3.2. 주료 및 마쿠우치 승격
지속적인 노력 끝에 오른쪽 무릎 상태가 호전되면서 그는 막하 상위권으로 번즈케를 끌어올릴 수 있었습니다. 주특기인 히다리요츠 자세에서 나오는 우와테나게 기술로 승리를 거듭하며 1997년 1월 바쇼에서 마침내 주료 디비전에 승격했습니다. 그의 주료 승격은 첫 도효를 밟은 후 30개 바쇼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당시에는 막하 츠케다시 출신 리키시 중 가장 느린 기록이었습니다.
주료 디비전에서도 그는 아쉽게 패배하여 마케코시(패월)하는 경우가 많았고, 약 2년 동안 주료 하위권과 상위권을 오가는 생활을 이어갔습니다. 하지만 1999년 1월 바쇼에서 드디어 자신의 최고 랭크인 동쪽 주료 첫 번째 랭크까지 올라섰고, 이 바쇼에서 8승 7패를 기록하며 간신히 카치코시(승월)하여 신입마쿠를 확정 지었습니다. 이로써 그는 첫 도효에서부터 43개 바쇼 만에 신입마쿠를 달성하는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당시 막하 츠케다시 출신 리키시 중 가장 느린 신입마쿠 기록이었습니다. 오히노데가 마쿠우치에 승격할 무렵, 그의 소속였던 다쓰나미베야의 오야카타(스승)였던 전 세키와케 안넨야마가 은퇴하고 전 고무스비 아사히유타카가 새로운 다쓰나미 오야카타로 취임하는 변화가 있었습니다.
3.3. 마쿠우치 활동 및 은퇴
오히노데는 1999년 3월 바쇼에 마쿠우치에 입성하여, 1999년 5월 바쇼에는 자신의 최고 랭크인 서쪽 마에가시라 9까지 올라섰습니다. 그는 한때 마쿠우치 디비전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듯 보였습니다. 그러나 2000년에 접어들면서 내장 질환을 앓게 되었고, 이로 인해 2000년 1월 바쇼를 마지막으로 주료 디비전으로 강등되었습니다. 내장 질환의 병세가 악화되면서 2000년 7월 바쇼를 휴장했고, 같은 해 9월 바쇼에서는 다시 막하 디비전으로 강등되었습니다. 일상생활에는 지장이 없을 정도로 회복되었으나, 9월 바쇼를 전부 휴장하면서 더 이상 스모를 계속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어 해당 바쇼를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습니다.
은퇴 후 2000년 12월 15일, 도쿄 시내의 한 호텔에서 오히노데의 단발식이 거행되었습니다. 이 단발식에는 일본대학 시절 그의 은사였던 다나카 히데히사가 마지막으로 머리카락을 자르는 '도메바사미'를 행했습니다.
4. 스모 기술 및 전술
오히노데는 요츠-스모(四つ相撲요츠-스모일본어) 전문가였습니다. 이는 상대 마와시를 잡고 힘으로 겨루는 스모 스타일을 의미합니다. 그는 상대의 마와시에 히다리요츠(오른손은 상대 마와시 겉을 잡고 왼손은 상대 마와시 안을 잡는 자세) 그립을 선호하며 주로 우와테나게(上手投げ우와테나게일본어)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우와테나게는 상대방의 마와시 겉을 잡고 던지는 기술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승리 기마리테는 요리키리(寄り切り요리키리일본어)였습니다. 요리키리는 붙잡고 밀어내어 상대를 밖으로 내보내는 기술입니다.
5. 주요 기록 및 성과
오히노데 다카아키의 스모 선수 경력 전반에 걸친 통계적 기록과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5.1. 통산 성적
- 총 승패 기록: 262승 243패 27휴
- 통산 승률: 0.519
- 마쿠우치 승패 기록: 42승 48패
- 마쿠우치 승률: 0.467
- 총 재임 기간: 53바쇼
- 마쿠우치 재임 기간: 6바쇼
5.2. 바쇼별 성적
연도 | 바쇼 | 랭크 | 승패 | 비고 |
---|---|---|---|---|
1992 | 1월 | 幕下60枚目格付出 | 4승3패 | |
3월 | 東幕下51枚目 | 4승3패 | ||
5월 | 西幕下39枚目 | 4승3패 | ||
7월 | 東幕下28枚目 | 5승2패 | ||
9월 | 東幕下17枚目 | 4승3패 | ||
11월 | 東幕下12枚目 | 3승4패 | ||
1993 | 1월 | 西幕下19枚目 | 4승3패 | |
3월 | 西幕下14枚目 | 2승5패 | ||
5월 | 西幕下32枚目 | 3승4패 | ||
7월 | 東幕下40枚目 | 4승3패 | ||
9월 | 西幕下31枚目 | 4승3패 | ||
11월 | 西幕下23枚目 | 5승2패 | ||
1994 | 1월 | 東幕下13枚目 | 6승1패 | |
3월 | 東幕下4枚目 | 3승4패 | ||
5월 | 東幕下10枚目 | 4승3패 | ||
7월 | 西幕下6枚目 | 3승4패 | ||
9월 | 東幕下11枚目 | 4승3패 | ||
11월 | 西幕下6枚目 | 4승3패 | ||
1995 | 1월 | 西幕下2枚目 | 2승5패 | |
3월 | 東幕下16枚目 | 4승3패 | ||
5월 | 東幕下12枚目 | 3승4패 | ||
7월 | 東幕下19枚目 | 3승4패 | ||
9월 | 東幕下27枚目 | 6승1패 | ||
11월 | 東幕下11枚目 | 4승3패 | ||
1996 | 1월 | 東幕下6枚目 | 0승2패5휴 | |
3월 | 東幕下41枚目 | 휴장 | 부상으로 인한 휴장 | |
5월 | 東幕下41枚目 | 4승3패 | ||
7월 | 東幕下32枚目 | 6승1패 | 우승 결정전 참여 | |
9월 | 西幕下13枚目 | 5승2패 | ||
11월 | 東幕下6枚目 | 6승1패 | ||
1997 | 1월 | 西十両12枚目 | 8승7패 | 신주료 승격 |
3월 | 東十両10枚目 | 8승7패 | ||
5월 | 東十両7枚目 | 7승8패 | ||
7월 | 西十両9枚目 | 9승6패 | ||
9월 | 東十両4枚目 | 5승10패 | ||
11월 | 東十両9枚目 | 5승10패 | ||
1998 | 1월 | 東幕下1枚目 | 4승3패 | |
3월 | 西十両12枚目 | 9승6패 | 주료 재승격 | |
5월 | 西十両7枚目 | 7승8패 | ||
7월 | 東十両11枚目 | 9승6패 | ||
9월 | 西十両6枚目 | 8승7패 | ||
11월 | 東十両3枚目 | 8승7패 | ||
1999 | 1월 | 東十両1枚目 | 8승7패 | 신마쿠우치 승격 |
3월 | 西前頭13枚目 | 9승6패 | ||
5월 | 西前頭9枚目 | 6승9패 | 최고 랭크 | |
7월 | 東前頭14枚目 | 7승8패 | ||
9월 | 東前頭15枚目 | 8승7패 | ||
11월 | 東前頭13枚目 | 8승7패 | ||
2000 | 1월 | 西前頭12枚目 | 4승11패 | |
3월 | 東十両4枚目 | 6승9패 | ||
5월 | 東十両7枚目 | 6승9패 | ||
7월 | 東十両10枚目 | 휴장 | 내장 질환으로 인한 휴장 | |
9월 | 西幕下11枚目 | 0승7패 | 은퇴 (7전 전패 처리) |
5.3. 마쿠우치 대전 성적
오히노데의 마쿠우치 디비전에서 각 리키시와의 대전 기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괄호 안의 숫자는 불전승(부전승) 또는 불전패(부전패)를 의미합니다.
상대 리키시 | 승수 | 패수 | 상대 리키시 | 승수 | 패수 | 상대 리키시 | 승수 | 패수 | 상대 리키시 | 승수 | 패수 |
---|---|---|---|---|---|---|---|---|---|---|---|
아오키야마 히데키 | 2 | 3 | 아사노쇼 고시 | 1 | 3 | 아사노와카 다케히코 | 3 | 0 | 오지야마 노부히데 | 2 | 1 |
오이와 쓰요시 | 0 | 1 | 오기니시키 야스토시 | 1 | 0 | 가이호 료지 | 3 | 2 | 간오 겐지 | 1 | 3 |
아사세키야마 아키라 | 1 | 1 | 아사텐호 사토루 | 2 | 3 | 긴카이야마 류 | 0 | 2 | 고조로 카츠히로 | 1 | 0 |
코토리 미치히로 | 3 | 1 | 시키시마 카츠모리 | 1 | 1 | 다이젠 손타 | 2 | 1 | 타카노와카 유키 | 1 | 0 |
타마카스가 료지 | 0 | 2 | 치요텐잔 다이하치로 | 1 | 2 | 테라오 츠네후미 | 2 | 0 | 토키츠우미 마사히로 | 2 | 3 |
토치노와카 키요타카 | 1 | 0 | 토치노요 아키카츠 | 1 | 1 | 하마노시마 게이지 | 5 | 0 | 히고노우미 나오야 | 0 | 2 |
미나토후지 타카유키 | 0 | 2 | 미야비야마 테츠시 | 0 | 1 | 예시 | 2 (불전승 1) | 0 | 와카노사토 시노부 | 0 | 1 |
와카노시로 무네히코 | 0 | 3 | 와카노야마 히로시 | 0 | 3 |
6. 특징 및 에피소드
오히노데의 스모 경력 중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막하 츠케다시' 자격으로 프로에 입문한 리키시들 중에서 가장 느린 속도로 마쿠우치 디비전에 승격했다는 점입니다. 그는 1992년 1월 첫 도효를 밟은 후 43개 바쇼 만에 마쿠우치에 진입했는데, 이는 당시까지의 막하 츠케다시 출신 리키시 중 최장 기록이었습니다.
흥미로운 에피소드는 오히노데가 신입마쿠를 달성한 1999년 3월 바쇼에 미야비야마 테츠시도 동시에 신입마쿠를 달성했다는 것입니다. 미야비야마는 1998년 7월 막하 츠케다시로 데뷔하여 단 4개 바쇼 만에 마쿠우치에 승격한, 당시 막하 츠케다시 출신 중 가장 빠른 승격 기록을 세운 선수였습니다. 이처럼 가장 느린 승격 기록을 세운 오히노데와 가장 빠른 승격 기록을 세운 미야비야마가 동시에 신입마쿠를 달성했다는 사실은 당시 스모계에서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두 선수는 이 바쇼에서 실제로 맞붙었으며, 접전 끝에 미야비야마가 승리했습니다.
또한 1998년 1월 바쇼에서 막하 서열 1위인 막하 히츠토메 랭크에 있었을 때, 그는 7번의 경기 중 5번을 주료 랭크의 선수들과 대결했는데, 이는 당시까지의 기록 중 가장 많은 주료 선수와의 대결이었습니다.
7. 은퇴 이후의 삶
스모 선수 생활을 마친 오히노데 다카아키는 일본스모협회에 오야카타(스승)로 남아있지 않고, 사업가로 새로운 진로를 선택했습니다. 그의 폐 질환은 스모를 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었지만, 일상생활에는 지장이 없을 정도로 회복되었기에 은퇴 후에도 활발히 사회 활동을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8. 시코나 변경 역사
오히노데 다카아키가 스모 선수 생활 동안 사용했던 시코나와 그 사용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코나 | 사용 기간 |
---|---|
니시다야마 다카아키 (西田山 崇晃) | 1992년 1월 바쇼 ~ 1994년 1월 바쇼 |
오히노데 다카아키 (大日ノ出 崇揚) | 1994년 3월 바쇼 ~ 2000년 9월 바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