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amateur career
오선진은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야구 선수로서의 재능을 키웠다. 그는 학창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내며 프로 선수의 꿈을 키워나갔다.
1.1. Childhood and education
오선진은 1989년 7월 7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성남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야구 선수로 활동하며 학업과 운동을 병행했다.
1.2. Amateur baseball career
오선진은 성남고등학교 재학 시절 내야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당시 한화 이글스의 전 감독이었던 이희수가 2006년까지 성남고등학교에서 그를 지도했으며, 이희수 감독의 지도는 오선진이 고교 유망주로 성장하고 이후 프로에 입단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2. Professional career
오선진은 프로 경력 동안 여러 팀을 거치며 꾸준히 활약했다. 한화 이글스에서 데뷔하여 군 복무를 마친 후에도 다시 한화 이글스로 돌아왔으며, 이후 삼성 라이온즈, 롯데 자이언츠를 거쳐 키움 히어로즈에 새 둥지를 틀었다.
2.1. Hanwha Eagles (first stint)
오선진은 2008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4라운드 지명을 받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2008년 시즌에는 주로 수비 전문 선수로 43경기에 출장했으나, 타격에서는 어려움을 겪었다. 2009년에도 수비 위주의 선수로 활약했지만, 4월 10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송승준을 상대로 프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하며 타격에서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이어 4월 22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도 김수경을 상대로 개인 통산 2호 홈런을 기록했다. 이 시즌에는 타율이 전년 대비 약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2012년 시즌에는 송광민의 공익 대체 복무와 이여상의 부진으로 사실상 주전 3루수로 도약했다. 6월 17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정근우의 타구를 다이빙 캐치하여 3루수 앞 병살타로 연결하는 호수비를 선보였고, 상대 선발 마리오를 상대로 솔로 홈런과 2타점 적시타를 쳐내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이 경기는 한화 이글스가 SK 와이번스 상대 시즌 5연패, 그리고 2011년부터 이어진 SK 와이번스전 9연패를 끊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7월 중순부터는 1번 타자로 기용되어 한화 이글스의 후반기 상승세를 이끌었다. 이 시즌 110경기에 출장하여 2할대 타율, 세 자릿수 안타, 3홈런, 41타점, 14도루를 기록하며 KBO 리그에서 처음으로 규정 타석에 도달했다. 시즌 후에는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김용의, 나성범, 정형식 등과 함께 참가했다.
2013년 시즌에는 성적 부진에 시달렸고, 시즌 중 군 복무를 마친 송광민이 유격수를, 이대수가 3루수를 맡게 되면서 완전히 백업으로 밀려났다. 6월 22일과 23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개릿 올슨, 노경은을 상대로 2경기 연속 홈런을 기록했지만, 이 두 홈런이 해당 시즌 그의 유일한 홈런이었다.
2.2. Military service
2013년 시즌을 마친 후, 오선진은 상무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이행했다. 그는 2015년에 군 복무를 마치고 전역했으나, 한화 이글스로 복귀하여 경기에 출장하기 시작한 것은 2016년 시즌부터이다.
2.3. Hanwha Eagles (return)
군 복무를 마치고 2016년 시즌부터 한화 이글스에 복귀했다.
2016년 시즌에는 0.163의 타율을 기록했다. 2017년 시즌에는 0.310의 타율을 기록하며 준수한 활약을 펼쳤고, 2018년 시즌에는 0.226의 타율을 기록했다. 2019년 시즌에는 하주석의 부상으로 출장 기회가 늘어나며 개인 최다인 122경기에 출장했다. 이 시즌 그의 타율은 0.224였다. 2020년 시즌에는 0.234의 타율을 기록했다.
2.4. Samsung Lions
2021년 6월 25일, 오선진은 이성곤 선수와의 1대1 트레이드를 통해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다.
삼성 라이온즈에서의 2021년 시즌 타율은 0.214였다. 2022년 시즌에는 0.276의 타율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얻었으나, 이를 행사하지 않고 삼성 라이온즈에 잔류했다.
2.5. Hanwha Eagles (second return)
2022년 11월 29일, 오선진은 FA 자격을 통해 친정팀인 한화 이글스와 계약 기간 1+1년, 계약금 1.50 억 KRW, 연봉 1.00 억 KRW, 인센티브 2500.00 만 KRW 등 총액 최대 4.00 억 KRW에 계약하며 두 번째로 한화 이글스에 복귀했다.
2023년 시즌에는 0.230의 타율을 기록했다. 특히, 하주석이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출장 정지 처분을 받자 그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유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2.6. Lotte Giants
오선진은 2024년 KBO 리그 2차 드래프트를 통해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했다.
2024년 시즌에는 26경기에 출장하여 0.200의 타율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자유계약선수 신분이 되었다.
2.7. Kiwoom Heroes
오선진은 2025년 시즌부터 키움 히어로즈와 계약하여 활동할 예정이다.
3. Controversies and incidents
2017년 4월 21일 경기 후, 다음 날인 4월 22일 새벽 3시에 양성우와 함께 나이트클럽을 방문하여 음주와 흡연을 하는 모습이 발각되었다. 경기가 있는 날 늦은 시간까지 이러한 행동을 보인 것은 프로 야구 선수로서 부적절한 태도로 간주되었고, 많은 팬들의 질타를 받았다. 이 사건으로 인해 오선진과 양성우는 모두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
4. Career statistics
오선진의 프로 경력 동안의 시즌별 주요 타격 성적과 사용했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4.1. Batting statistics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08 | 한화 | 0.133 | 46 | 30 | 3 | 4 | 1 | 0 | 0 | 5 | 1 | 0 | 0 | 1 | 0 | 7 | 0 | 1 |
2009 | 0.263 | 79 | 175 | 20 | 46 | 9 | 1 | 2 | 63 | 14 | 3 | 2 | 8 | 1 | 43 | 7 | 10 | |
2010 | 0.199 | 108 | 221 | 24 | 44 | 5 | 0 | 0 | 49 | 14 | 7 | 2 | 12 | 2 | 57 | 7 | 2 | |
2011 | 0.206 | 68 | 107 | 15 | 22 | 3 | 0 | 0 | 25 | 7 | 3 | 3 | 5 | 4 | 21 | 3 | 5 | |
2012 | 0.263 | 110 | 399 | 33 | 105 | 18 | 3 | 3 | 138 | 41 | 14 | 9 | 25 | 7 | 65 | 7 | 6 | |
2013 | 0.230 | 92 | 256 | 31 | 59 | 8 | 2 | 2 | 77 | 26 | 5 | 2 | 23 | 10 | 49 | 12 | 4 | |
2016 | 0.163 | 57 | 43 | 6 | 7 | 0 | 0 | 0 | 7 | 3 | 0 | 0 | 5 | 2 | 8 | 0 | 0 | |
2017 | 0.310 | 65 | 184 | 23 | 57 | 11 | 0 | 2 | 74 | 21 | 3 | 5 | 15 | 4 | 22 | 5 | 4 | |
2018 | 0.226 | 56 | 133 | 14 | 30 | 4 | 0 | 1 | 37 | 9 | 3 | 0 | 7 | 5 | 33 | 2 | 5 | |
2019 | 0.224 | 122 | 392 | 37 | 88 | 16 | 0 | 3 | 113 | 36 | 7 | 2 | 38 | 10 | 72 | 8 | 12 | |
2020 | 0.234 | 93 | 197 | 17 | 46 | 4 | 0 | 2 | 56 | 17 | 0 | 1 | 16 | 3 | 39 | 10 | 4 | |
2021 | 삼성 | 0.214 | 23 | 42 | 5 | 9 | 0 | 0 | 0 | 9 | 2 | 0 | 0 | 3 | 1 | 8 | 2 | 2 |
2022 | 0.276 | 100 | 268 | 30 | 74 | 8 | 0 | 3 | 91 | 24 | 2 | 2 | 18 | 3 | 51 | 5 | 10 | |
2023 | 한화 | 0.230 | 90 | 165 | 17 | 38 | 6 | 0 | 0 | 44 | 14 | 2 | 0 | 24 | 5 | 34 | 7 | 4 |
2024 | 롯데 | 0.200 | 26 | 20 | 0 | 4 | 1 | 0 | 0 | 5 | 0 | 0 | 0 | 2 | 2 | 8 | 0 | 0 |
통산 | 15시즌 | 0.241 | 1135 | 2632 | 275 | 633 | 94 | 6 | 18 | 793 | 229 | 49 | 28 | 202 | 59 | 517 | 75 | 69 |
4.2. Uniform numbers
- 56 (2008년 ~ 2010년) - 한화 이글스
- 6 (2011년 ~ 2013년, 2018년 ~ 2021년 도중, 2023년 ~ 2024년) - 한화 이글스, 롯데 자이언츠
- 4 (2016년 ~ 2017년) - 한화 이글스
- 31 (2021년 도중 ~ 2021년 종료) - 삼성 라이온즈
- 3 (2022년) - 삼성 라이온즈
- 60 (2025년 ~ ) - 키움 히어로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