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양신하이(杨新海양신하이중국어, 1968년 7월 17일 ~ 2004년 2월 14일)는 중국의 연쇄살인범이자 대량살인범으로, '괴물 살인마' 또는 '미친 괴물'로 불리며 중국 건국 이래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연쇄살인범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1999년부터 2003년까지 허난, 허베이, 산둥, 안후이 등 네 개 성에서 26차례에 걸쳐 67명을 살해하고 23명을 강간했으며, 10명에게 중상을 입혔다고 자백했다. 주로 농촌 지역의 가정집에 침입하여 도끼, 망치, 삽 등을 이용해 일가족 전체를 살해하는 잔혹한 수법을 사용했다. 2003년 11월 3일 체포되어 2004년 2월 1일 사형을 선고받았고, 같은 해 2월 14일 총살형으로 처형되었다. 그의 범행 동기에 대해서는 사회에 대한 복수심, 범죄 자체에서 오는 쾌감 등 다양한 분석이 제기되었다.
2. 초기 생애 및 배경
양신하이의 초기 생애와 교육 과정은 그의 성장 배경과 이후의 방랑 생활에 영향을 미쳤다.
양신하이는 1968년 7월 17일 허난성 주마뎬시 정양현의 한 마을에서 네 자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마을에서 가장 가난한 축에 속했다.
2.1. 어린 시절과 교육
양신하이는 어린 시절부터 영리했지만 내성적이고 다루기 힘든 성격으로 알려졌다. 그는 17세가 되던 1985년에 학업을 중단하고 집으로 돌아가기를 거부한 채, 중국 전역을 떠돌며 노동자로 일하는 방랑 생활을 시작했다. 그의 이러한 방랑 생활은 이후 그의 범죄 경력과 간접적으로 연결되었다는 분석도 있다.
3. 방랑 생활 및 초기 범죄 활동
양신하이는 학업을 중단하고 집을 떠난 뒤 중국 각지를 떠돌며 노동자로 일했다. 이 시기부터 그는 범죄 활동에 연루되기 시작했다. 1988년과 1991년에는 산시성 시안시와 허베이성 스자좡시에서 절도죄로 노동 교화소에 수감되었다. 특히 1991년에는 두 번째 절도 사건을 저지르기도 했다. 1996년에는 28세의 나이로 허난성 주마뎬에서 강간 미수죄로 5년 형을 선고받았으나, 1999년에 3년 만에 조기 석방되었다. 이처럼 반복된 수감 생활은 그의 이후 연쇄 살인 범죄의 간접적인 원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4. 범죄 경력 및 수법
양신하이의 연쇄 살인 행각은 잔혹한 수법과 광범위한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그가 저지른 주요 범죄의 연대기는 다음과 같다.
양신하이의 연쇄 살인 행각은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약 4년간 안후이성, 허베이성, 허난성, 산둥성 등 중국의 네 개 성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그는 주로 밤에 피해자의 집에 침입하여 거주자들을 살해했으며, 때로는 일가족 전체를 몰살시키기도 했다.
4.1. 범행 수법 및 피해자 유형
양신하이는 주로 농민들을 대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 범행 도구로는 도끼, 망치, 삽 등을 사용했으며, 피해자들이 잠든 틈을 타 공격했다. 남성 피해자의 경우 머리를 가격하여 살해했고, 여성 피해자는 강간한 후 살해했으며, 어린이에 대해서는 더욱 잔혹한 수법을 사용했다. 그는 범행 시 매번 새로운 옷과 큰 신발을 착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2002년 10월에는 삽으로 한 아버지와 6세 소녀를 살해하고 임산부를 강간했는데, 이 임산부는 심각한 머리 부상을 입었지만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
4.2. 연쇄 살인 연대기
양신하이가 저지른 주요 연쇄 살인 사건은 다음과 같다.
날짜 | 장소 | 피해 규모 |
---|---|---|
2000년 9월 19일 | 허난성 저우커우시 촨후이구 베이쟈오 향 궈좡촌 | 살인 2명 |
2000년 10월 1일 | 안후이성 푸양시 잉저우구 왕뎬진 춘수좡 | 살인 3명, 강간 1명 |
2001년 8월 15일 | 허난성 뤄허시 린잉현 줄링 향 팡처류촌 | 살인 3명, 강간 1명 |
2001년 가을 | 허난성 저우커우시 시화현 강러우 향 | 살인 2명 |
2001년 겨울 | 허난성 핑딩산시 예현 남동쪽 마을 | 살인 2명 |
2002년 1월 27일 | 허난성 카이펑시 퉁쉬현 | 살인 3명, 강간 1명 |
2002년 6월 30일 | 허난성 저우커우시 푸거우현 차이강 향 | 살인 4명, 강간 1명 |
2002년 7월 28일 | 허난성 난양시 덩저우시 | 살인 4명, 강간 2명 |
2002년 10월 22일 | 허난성 주마뎬시 시핑현 쑹지 향 자이후촌 | 살인 2명, 강간 1명, 중상 1명 |
2002년 11월 8일 | 허난성 주마뎬시 상차이현 샤오뎬 향 가오리촌 | 살인 4명, 강간 2명, 중상 1명 |
2002년 11월 16일 | 허난성 카이펑시 웨이시현 장스진 류좡촌 | 살인 2명, 강간 1명 |
2002년 11월 19일 | 허난성 뤄허시 린잉현 왕멍 향 스과이촌 | 살인 2명 |
2002년 12월 1일 | 허난성 저우커우시 루이현 왕피류진 옌완촌 | 살인 2명, 강간 1명, 중상 1명 |
2002년 12월 6일 | 허난성 주마뎬시 시핑현 런허 향 류좡촌 | 살인 5명, 강간 1명 |
2002년 12월 13일 | 허난성 쉬창시 옌링현 마란 향 쓰자촌 | 살인 2명 |
2002년 12월 15일 | 안후이성 푸양시 린취안현 먀오차진 샤오리좡 | 살인 3명, 강간 1명 |
2003년 2월 5일 | 허난성 쉬창시 샹청현 쿠좡 향 | 살인 3명, 강간 1명, 중상 1명 |
2003년 2월 18일 | 허난성 저우커우시 시화현 츠잉 향 | 살인 4명, 강간 2명 |
2003년 3월 23일 | 허난성 상추시 민취안현 청관진 | 살인 4명, 강간 1명 |
2003년 4월 2일 | 산둥성 허쩌시 차오현 타오위안진 싼리자이촌 | 살인 2명 |
2003년 8월 5일 | 허베이성 싱타이시 리다오촌 | 살인 3명 |
2003년 8월 8일 |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둥량샹촌 | 살인 5명 |
총 26건의 사건으로 67명이 살해되고 23명이 강간당했으며, 10명이 중상을 입었다.
5. 범행 동기
양신하이는 자신의 범행 동기를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여러 언론 보도와 분석이 제기되었다. 초기 언론 보도에서는 그가 이전에 절도와 강간죄로 수감된 전력 때문에 여자친구에게 버림받은 것에 대한 사회에 대한 복수심이 범행 동기였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이후의 보도에서는 그가 강도, 강간, 살인 자체에서 쾌감을 느꼈다는 주장이 나왔다. 양신하이 본인은 "사람들을 죽일 때 욕망이 생겼고, 이는 나로 하여금 더 많이 죽이도록 부추겼다. 그들이 살 자격이 있는지 없는지는 상관없다. 그것은 내 알 바 아니다. 나는 사회의 일부가 될 욕망이 없다. 사회는 내 관심사가 아니다"라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한국 언론 보도에서는 그가 외모 및 신체적 열등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무시당했을 때 폭발하여 연쇄 살인 행각을 벌였다는 분석도 제기되었다. 한편, 부모를 살해한 살인범에게 복수하기 위해 연쇄 살인을 저질렀다는 소문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6. 체포, 재판 및 처형
양신하이는 2003년 11월 3일, 허베이성 창저우시의 유흥가에서 경찰의 일상적인 검문 중 수상한 행동을 보여 체포되었다. 경찰의 심문 과정에서 그가 네 개 성에 걸쳐 살인 혐의로 수배 중인 인물임이 밝혀졌다.
체포 직후 양신하이는 65건의 살인, 23건의 강간, 5건의 중상해를 저질렀다고 자백했다. 구체적으로는 허난성에서 49건의 살인 및 강간과 17건의 공격, 허베이성에서 8건의 살인과 3건의 강간, 안후이성에서 6건의 살인과 2건의 강간, 산둥성에서 2건의 살인과 1건의 강간을 저질렀다. 경찰은 그의 DNA가 여러 범죄 현장에서 발견된 증거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그는 한 피해자로부터 HIV에 감염된 것으로 밝혀졌다.
2004년 2월 1일, 허난성 뤄허시 중급인민법원에서 양신하이에 대한 재판이 열렸고, 그는 67건의 살인과 23건의 강간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당시 중국 관영 언론은 그의 범행이 중국 역사상 가장 길고 끔찍한 연쇄 살인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사형 선고 후 불과 13일 뒤인 2004년 2월 14일, 양신하이는 총살형으로 처형되었다.
7. 평가 및 영향
양신하이는 언론으로부터 '괴물 살인마'("Monster Killer"영어) 또는 '미친 괴물'("con quái vật điên loạn"베트남어)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래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연쇄살인범으로 기록되며, 중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가장 잔혹한 살인범 중 한 명으로 간주된다. 그의 범죄는 중국 사회에 큰 충격과 공포를 안겨주었으며, 농촌 지역의 치안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