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알 다우닝(Alphonso Erwin Downing영어, 1941년 6월 28일 출생)은 미국의 전 메이저리그 투수이다. 그는 1961년부터 1977년까지 뉴욕 양키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밀워키 브루어스, 그리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서 활약했다. 다우닝은 1967년에 올스타로 선정되었고, 1971년에는 내셔널리그 '올해의 컴백 선수'로 뽑혔다. 특히 그는 1974년 4월 8일 행크 애런에게 베이브 루스의 기록을 깨는 통산 715호 홈런을 허용한 투수로 잘 알려져 있다.
2. 유년기
알 다우닝의 유년기 배경과 야구 이전의 활동은 그의 선수 경력에 영향을 미쳤다.
2.1. 어린 시절과 교육
다우닝은 뉴저지주 트렌턴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 경찰체육연맹 활동에 참여했으며, 트렌턴 센트럴 고등학교와 펜실베이니아주 앨런타운의 물렌버그 칼리지, 그리고 뉴저지주 로렌스빌의 라이더 대학교를 다녔다.
2.2. 세미프로 경력
정식 프로 입문 전에 알 다우닝은 세미프로 야구 선수로도 활동하며 실력을 쌓았다.
3. 프로 야구 경력
알 다우닝은 메이저리그에서 다양한 팀을 거치며 인상적인 투구와 중요한 순간들을 경험했다.
3.1. 뉴욕 양키스 (1961-1969)
다우닝은 1961년 아마추어 자유 계약 선수로 뉴욕 양키스와 계약했으며, 같은 해 7월에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합류했다. 1963년, 그의 첫 풀 메이저리그 시즌에서 다우닝은 104승 57패를 기록한 양키스 팀에서 13승 5패, 방어율 2.56의 성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양키스는 1963년 월드 시리즈에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게 4전 전패를 당했다. 1964년에는 13승 8패, 방어율 3.47을 기록했으며, 탈삼진 217개로 아메리칸리그 전체 1위를 차지했다.
3.1.1. 양키스 시절 주요 성과
1967년에는 9승 5패, 방어율 2.66을 기록하며 그의 유일한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그는 올스타전에서 2이닝 동안 무실점 2탈삼진을 기록했다. 1967년 8월 11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의 경기 2회에서 단 9개의 공으로 세 타자를 모두 삼진 처리하는 이매큘레이트 이닝을 달성했다. 이는 1964년 이후 메이저리그에서 처음 나온 기록이었다.
1968년에는 어깨 부상으로 인해 단 12번의 선발 등판에 그쳤다. 1969년에는 양키스의 감독 랄프 호크가 다우닝을 불펜으로 더 자주 기용하기 시작하여, 그는 15번의 선발 등판과 15번의 구원 등판을 기록했다. 1970년 시즌을 앞두고 다우닝은 포수 프랭크 페르난데스와 함께 대니 케이터와 오시 차바리아를 상대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트레이드되었다.
3.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밀워키 브루어스 (1970)
오클랜드는 1970년 6월 11일 다우닝과 티토 프랑코나를 밀워키 브루어스로 트레이드하고 스티브 호블리를 영입했다. 브루어스에서 다우닝은 3.34의 준수한 방어율에도 불구하고 2승 10패를 기록했다. 그 시즌 동안 다우닝은 두 팀에서 총 27경기(22선발)에 출전하여 5승 13패, 방어율 3.52, 79탈삼진을 기록했다.
3.3.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71-1977)
1971년 시즌 시작 전에 브루어스는 다우닝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트레이드하고 앤디 코스코를 영입했다.
3.3.1. 내셔널리그 컴백상 및 20승 시즌
다우닝은 내셔널리그에서의 첫 시즌인 1971년에 20승을 달성하고, 리그 최다인 5개의 완봉승을 기록하며 화려하게 부활했다. 이 공로로 그는 '올해의 컴백상'을 수상했으며, 사이 영 상 투표에서는 퍼거슨 젠킨스와 톰 시버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1971년 시즌의 그의 성적은 20승 9패, 방어율 2.68이었다.
3.3.2. 행크 애런의 715호 홈런
1974년 4월 8일, 다우닝은 애틀랜타의 풀턴 카운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경기에 선발 등판했다. 4일 전 베이브 루스의 통산 홈런 기록(714개)과 동률을 이룬 브레이브스의 4번 타자 행크 애런과 맞붙게 되었다. 2회말 첫 타석에서 다우닝은 애런을 볼넷으로 출루시켰고, 53,775명의 대관중으로부터 야유를 받았다. 그러나 무사 1루에서 맞이한 4회말 두 번째 타석에서 애런에게 메이저리그 신기록인 통산 715호 홈런을 허용했다.
이 사건 이후 다우닝은 715호 홈런을 허용한 투수로 유명해졌지만, 애런은 다음 날 다우닝에게 직접 "당신은 훌륭한 경력을 가진 선수이니 715호 홈런을 맞은 것에 대해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다"는 말을 전하며 그를 격려했다. 2021년 애런이 사망했을 때, 다우닝은 전화 인터뷰를 통해 애런의 죽음을 슬퍼하며 715호 홈런을 맞았을 때 관중들이 박수를 보냈던 일과 애런의 격려를 회상하기도 했다.
3.4. 경력 요약 및 은퇴
다우닝은 1974년 시즌에 5승을 추가하고 월드 시리즈에 다시 출전했지만,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게 1승 4패로 패했다. 1975년에는 2승, 1976년에는 1승에 그쳤으며, 1977년 7월 21일 0승 1패, 방어율 6.75의 기록으로 다저스에서 방출되어 은퇴했다.
1968년 초 속구를 던지다 어깨 부상을 당한 후, 그는 마이너리그로 강등되는 경험을 했다. 부상 이후에는 이전의 강력한 속구를 잃고 슬로우 커브나 스크루볼과 같은 변화구를 주무기로 하는 투구 스타일로 변화를 주었다. 그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밀워키 브루어스로 이적했지만, 이전만큼의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다우닝의 통산 성적은 405경기 등판, 123승 107패, 1639탈삼진, 방어율 3.22이다.
시즌 | 구단 | 경기 | 선발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방어율 | WHIP |
---|---|---|---|---|---|---|---|---|---|---|---|---|---|---|---|---|---|---|---|---|---|---|---|---|
1961 | NYY | 5 | 1 | 0 | 0 | 0 | 0 | 1 | 0 | .000 | 47 | 9.0 | 7 | 0 | 12 | 0 | 1 | 12 | 1 | 1 | 8 | 8 | 8.00 | 2.11 |
1962 | NYY | 1 | 0 | 0 | 0 | 0 | 0 | 0 | 0 | .000 | 3 | 1.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00 | 0.00 |
1963 | NYY | 24 | 22 | 10 | 4 | 13 | 5 | 0 | 0 | .722 | 707 | 175.2 | 114 | 7 | 80 | 1 | 0 | 171 | 5 | 1 | 52 | 50 | 2.56 | 1.10 |
1964 | NYY | 37 | 35 | 11 | 1 | 13 | 8 | 2 | 0 | .619 | 1041 | 244.0 | 201 | 18 | 120 | 5 | 0 | 217 | 14 | 3 | 104 | 94 | 3.47 | 1.32 |
1965 | NYY | 35 | 32 | 8 | 2 | 12 | 14 | 0 | 1 | .462 | 902 | 212.0 | 185 | 16 | 105 | 2 | 2 | 179 | 5 | 1 | 92 | 80 | 3.40 | 1.37 |
1966 | NYY | 30 | 30 | 1 | 0 | 10 | 11 | 0 | 0 | .476 | 845 | 200.0 | 178 | 23 | 79 | 3 | 1 | 152 | 4 | 0 | 90 | 79 | 3.56 | 1.29 |
1967 | NYY | 31 | 28 | 10 | 4 | 14 | 10 | 0 | 0 | .583 | 807 | 201.2 | 158 | 13 | 61 | 1 | 6 | 171 | 5 | 0 | 65 | 59 | 2.63 | 1.09 |
1968 | NYY | 15 | 12 | 1 | 0 | 3 | 3 | 0 | 0 | .500 | 256 | 61.1 | 54 | 7 | 20 | 2 | 1 | 40 | 1 | 1 | 24 | 24 | 3.52 | 1.21 |
1969 | NYY | 30 | 15 | 5 | 1 | 7 | 5 | 0 | 0 | .583 | 550 | 130.2 | 117 | 12 | 49 | 6 | 0 | 85 | 5 | 0 | 57 | 49 | 3.38 | 1.27 |
1970 | OAK | 10 | 6 | 1 | 0 | 3 | 3 | 0 | 0 | .500 | 180 | 41.0 | 39 | 5 | 22 | 0 | 1 | 26 | 0 | 0 | 19 | 18 | 3.95 | 1.49 |
1970 | MIL | 17 | 16 | 1 | 0 | 2 | 10 | 0 | 0 | .167 | 415 | 94.1 | 79 | 8 | 59 | 2 | 3 | 53 | 8 | 0 | 47 | 35 | 3.34 | 1.46 |
1970 합계 | 27 | 22 | 2 | 0 | 5 | 13 | 0 | 0 | .278 | 595 | 135.1 | 118 | 13 | 81 | 2 | 4 | 79 | 8 | 0 | 66 | 53 | 3.52 | 1.47 | |
1971 | LAD | 37 | 36 | 12 | 5 | 20 | 9 | 0 | 0 | .690 | 1095 | 262.1 | 245 | 16 | 84 | 3 | 3 | 136 | 12 | 1 | 93 | 78 | 2.68 | 1.25 |
1972 | LAD | 31 | 30 | 7 | 4 | 9 | 9 | 0 | 0 | .500 | 868 | 202.2 | 196 | 13 | 67 | 2 | 7 | 117 | 2 | 1 | 81 | 67 | 2.98 | 1.30 |
1973 | LAD | 30 | 28 | 5 | 2 | 9 | 9 | 0 | 0 | .500 | 790 | 193.0 | 155 | 19 | 68 | 3 | 1 | 124 | 7 | 1 | 87 | 71 | 3.31 | 1.16 |
1974 | LAD | 21 | 16 | 1 | 1 | 5 | 6 | 0 | 0 | .455 | 427 | 98.1 | 94 | 7 | 45 | 0 | 3 | 63 | 3 | 0 | 52 | 40 | 3.66 | 1.41 |
1975 | LAD | 22 | 6 | 0 | 0 | 2 | 1 | 1 | 0 | .667 | 311 | 74.2 | 59 | 6 | 28 | 1 | 2 | 39 | 2 | 1 | 31 | 24 | 2.89 | 1.17 |
1976 | LAD | 17 | 3 | 0 | 0 | 1 | 2 | 0 | 0 | .333 | 196 | 46.2 | 43 | 3 | 18 | 1 | 0 | 30 | 2 | 0 | 21 | 20 | 3.86 | 1.31 |
1977 | LAD | 12 | 1 | 0 | 0 | 0 | 1 | 0 | 0 | .000 | 99 | 20.0 | 22 | 4 | 16 | 0 | 0 | 23 | 1 | 0 | 15 | 15 | 6.75 | 1.90 |
MLB: 17년 | 405 | 317 | 73 | 24 | 123 | 107 | 3 | 1 | .535 | 9539 | 2268.1 | 1946 | 177 | 933 | 32 | 31 | 1639 | 77 | 11 | 938 | 811 | 3.22 | 1.27 |
- 올스타 1회 출전 (1967년)
- 탈삼진 1회 1위 (1964년)
- 컴백상 (1971년)
4. 은퇴 후 경력
알 다우닝은 선수 은퇴 후에도 야구계와 깊은 인연을 이어갔다.
4.1. 방송 해설가 경력
다우닝은 1980년부터 1987년까지 다저스 케이블 TV 방송의 컬러 코멘테이터로 활동했다. 2005년에는 다저스 라디오 방송에서도 해설을 맡았고, 1990년대에는 CBS 라디오에서 메이저리그 경기를 중계했으며, 2000년에는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의 경기도 방송했다. 2006년 기준으로 그는 다저스 구단의 연사단에 남아 있었다.
4.2. 만년과 대중 활동
은퇴 후 다우닝은 강연 활동을 펼치며 대중과 소통하고 야구계와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했다.
5. 유산과 평가
알 다우닝은 그의 선수 경력과 특정 역사적 사건을 통해 야구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5.1. 역사적 의의
다우닝의 경력에서 가장 상징적인 사건은 1974년 행크 애런에게 메이저리그 통산 715호 홈런을 허용한 순간이다. 이 사건은 야구 역사상 가장 중요한 기록 경신 중 하나로 평가되며, 다우닝은 이 역사적인 순간의 일부가 되었다.
5.2. 영향력과 인정
다우닝은 1967년 올스타 선정, 1964년 아메리칸리그 탈삼진 1위, 1971년 내셔널리그 올해의 컴백상 수상 등 여러 면에서 그의 기량을 인정받았다. 특히 1971년 20승을 달성하며 흑인 투수 중 20승 이상을 기록한 선수들의 명단인 '블랙 에이스'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이는 그의 업적이 단순히 개인적인 기록을 넘어, 흑인 선수들의 성과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