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浦井 佳奈子우라이 카나코일본어는 WWE에 소속된 일본의 프로레슬러로, 링네임은 아스카 (アスカ아스카일본어 또는 明日華아스카일본어)이다. 그녀는 '미래의 여제'(The Empress of Tomorrow영어)라는 별명처럼 압도적인 실력으로 프로레슬링계에 큰 족적을 남겼다. 2004년 일본의 독립 프로모션에서 '카나' (華名카나일본어)라는 링네임으로 데뷔하여 다양한 타이틀을 획득하며 명성을 쌓았고, 2015년 WWE와 계약하며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WWE의 NXT에 입성한 그녀는 무패 행진을 이어가며 NXT 위민스 챔피언십을 510일간 방어하여 최장수 챔피언 기록을 세웠다.
메인 로스터로 승격한 후에도 그녀의 무패 행진은 계속되었으며, 2018년에는 역사적인 최초의 여성 로얄 럼블 경기에서 우승하며 레슬매니아에서의 타이틀 도전권을 획득했다. 비록 레슬매니아 34에서 샬럿 플레어에게 패배하며 무패 기록이 914일 만에 깨졌지만, 이는 그녀의 커리어에 또 다른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이후 그녀는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WWE 로우 위민스 챔피언십,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을 모두 획득하며 베일리 다음으로 두 번째 그랜드 슬램과 세 번째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여성 레슬러가 되었다. 특히 2023년에는 로얄 럼블, 머니 인 더 뱅크,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매치에서 모두 우승한 유일한 여성 레슬러이자 전체에서 네 번째 인물이 되는 기록을 세웠다.
아스카는 단순한 챔피언을 넘어 여성 프로레슬링의 지위를 '디바' 중심에서 '운동선수' 중심으로 변화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녀의 독특한 인링 스타일, 카리스마 넘치는 페르소나, 그리고 경기력은 여성 레슬러의 스테레오타입을 깨고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내에서의 여성의 역할을 크게 증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 초기 생애 및 경력 시작
아스카는 프로레슬링 활동 이전의 배경과 프로레슬링 경력의 시작을 거쳐 일본 인디 서킷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명성을 쌓았다.
2.1. 배경 및 초기 경력
우라이 카나코는 1981년 9월 26일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에서 태어났다. 오사카 예술대학 단기대학부를 졸업했으며, 프로레슬링 활동 이전에는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했다. 그녀는 무토 케이지, 사야마 사토루, 후지와라 요시아키, 안토니오 이노키, 마에다 아키라, 타카다 노부히코, 후나키 마사카츠, 볼크 한, 스즈키 미노루와 같은 일본 프로레슬링 스타들의 팬으로서 프로레슬러가 되기로 결심했다. 그녀는 유키 이시카와에게 훈련을 받았다.
2004년 6월 16일, 여성 프로레슬링 단체인 메이저 여자 프로레슬링 AtoZ에서 '카나' (華名카나일본어)라는 링네임으로 레오나를 상대로 데뷔했다. 그녀는 AtoZ에서 경력의 첫 부분을 보냈으나, 2006년 3월 19일 만성 신장염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은퇴를 발표했다. 링을 떠나 있는 동안 그녀는 자신의 그래픽 디자인 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1년 반 동안 프로레슬링을 떠나 있다가 2007년 9월 22일 프로레슬링 SUN에서 타카하시 나나에와의 싱글 매치를 통해 복귀했다. 이후 그녀는 프리랜서로 아이스 리본, JWP 조시 푸로레슬링, NEO 재팬 레이디스 프로레슬링, 프로레슬링 웨이브, 레이나 조시 푸로레슬링, 스매쉬, 레슬링 뉴 클래식 등 다양한 일본 프로모션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2008년에는 NEO 재팬 레이디스 프로레슬링에서 타카하시 나나에, 나츠키 타이요와 함께 '패션 레드' 스테이블을 결성했다. 2009년 10월 10일, 카나는 타카하시와 팀을 이루어 히로요 마츠모토와 이노우에 쿄코를 꺾고 NEO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하며 자신의 첫 프로레슬링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그들은 2개월 동안 타이틀을 보유한 후 2009년 12월 31일 쿠리하라 아유미와 타무라 요시코에게 타이틀을 내주었다. 2010년 1월 24일, 카나는 패션 레드에서 탈퇴했다.
2.2. 인디 서킷 활동


카나는 2008년부터 프로레슬링 웨이브에 몇 차례 출연했으나, NEO 재팬 레이디스 프로레슬링이 해체된 2010년 말까지는 정규적으로 활동하지 않았다. 2011년 7월 24일, 카나는 캐치 더 웨이브 2011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쿠리하라 아유미를 꺾고 우승했다. 10월 30일에는 쿠리하라와 함께 듀얼 쇼크 웨이브 2011 토너먼트에서 란 유유와 우에마츠 토시에를 물리치고 초대 WAVE 태그팀 챔피언십에 등극했다. 카나는 쿠리하라와 태그팀 챔피언으로 활동하는 동안에도 시라이 미오와 함께 '트리플 테일즈.S'로 정기적으로 팀을 이루었다. 2012년 2월 1일, 쿠리하라와 미카 이이다, 시부타니 슈는 트리플 테일즈의 정식 멤버가 되었다. 4일 후, 카나와 쿠리하라는 란 유유와 우에마츠 토시에에게 WAVE 태그팀 챔피언십을 내주었다. 3월 6일, 새로운 트리플 테일즈는 웨이브의 최고 악역 동맹인 '블랙 달리아'에 대한 언급으로 '화이트 테일즈'로 명명되었다. 11월 27일, 카나는 유미 오카와의 싱글 매치에서 승리한 후 자신을 웨이브의 새로운 '에이스'로 선언했다. 2013년 2월 17일, 카나는 WAVE 싱글 챔피언십 토너먼트 준결승에서 시라이 미오를 꺾었으나, 3월 17일 결승에서 유미 오카에게 패배했다. 4월 21일, 카나와 시라이 미오는 오하타 미사키와 후지모토 츠카사를 꺾고 WAVE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하며 트리플 테일즈.S에 첫 타이틀을 안겼다. 7월 15일, 카나와 시라이는 히카루 시다와 유미 오카의 '시다레자쿠라' 팀에게 WAVE 태그팀 챔피언십을 내주었다. 2015년 7월, 카나는 캐치 더 웨이브 2015 토너먼트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우승자인 유미 오카에게 패배했다.
2010년 4월 29일, 카나는 첫 번째 자체 흥행인 '카나 프로'를 개최했으며, 메인 이벤트에서 사토무라 메이코에게 패배했다. 6월 19일, 카나는 시라이 자매(시라이 이오, 시라이 미오)와 함께 '트리플 테일즈' 스테이블을 결성하고 일본 전역의 여러 프로모션에서 활동했다. 2011년 10월 29일, 카나는 지난 1년간 활동했던 작은 독립 프로모션인 666의 8대 '사장'으로 선출되었다. 11월 5일, 카나는 배틀아츠 프로모션의 마지막 이벤트에 참가하여 시즈쿠 아키를 싱글 매치에서 물리쳤다.
2012년 3월 11일, 카나는 DDT 프로레슬링에 데뷔하여 아이언맨 헤비메탈급 챔피언십을 놓고 펼쳐진 8인 배틀 로열에 참가했다. 그녀는 경기 5분 만에 마이클 나카자와를 핀폴로 이기고 타이틀을 획득했으나, 50초를 남기고 안토니오 혼다에게 타이틀을 내주었고, 다시 22초를 남기고 서브미션으로 타이틀을 되찾으며 5회 챔피언이 되었다. 4월 30일, 카나는 프로레슬링 웨이브 이벤트에서 쿠리하라 아유미에게 아이언맨 헤비메탈급 챔피언십을 내주었다. 5월 12일, 카나는 멕시코에서 토리유몬 멕시코의 '드래곤마니아 VII' 이벤트에 참가하여 슈리를 싱글 매치에서 물리치며 멕시코 데뷔전을 치렀다.

2011년 8월 3일, 카나는 10월 초에 미국 올-여성 프로모션인 쉬머 위민스 애슬리츠와 치카라에서 데뷔할 것이라고 보도되었다. 10월 1일, 쉬머 데뷔전에서 미아 임을 물리쳤고, 같은 날 사라 델 레이를 서브미션으로 꺾었다. 다음 날에는 쉬머 챔피언십의 #1 컨텐더를 결정하는 경기에서 치어리더 멜리사에게 패배했다. 2012년 3월 17일, 카나는 쉬머 위민스 애슬리츠에 복귀하여 루피스토와 팀을 이루어 헤일리 헤이트리드와 칼라미티에게 패배했다. 이후 4월 6일, 쉬머 53 인터넷 PPV에서 카나와 루피스토는 캐나디안 닌자스에게 쉬머 태그팀 챔피언십 도전에 실패했다. 2014년 10월 18일, 카나는 치어리더 멜리사의 쉬머 챔피언십에 도전했으나 실패했다.
2012년 4월 5일, 타지리는 스매쉬의 후속 프로모션인 레슬링 뉴 클래식 (WNC)의 로스터에 카나를 포함시켰다. 2006년 AtoZ와 제휴한 이후 처음으로 카나는 WNC와 계약하여 프리랜서 활동을 중단했으나, 프로레슬링 웨이브에서의 활동과 자체 독립 이벤트를 계속 진행할 수 있었다. 4월 26일, WNC의 첫 이벤트인 '비포 더 던'에서 카나는 시라이 미오와 팀을 이루어 마코토와 슈리를 물리쳤다. 11월 26일, 카나는 WNC 위민스 챔피언십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1라운드에서 마코토를 꺾었으나, 이틀 후 준결승에서 노자키 나기사에게 패배했다. 이후 카나는 WNC에서 몇 달간 급여를 받지 못하고 프로모션 사장과 연락이 닿지 않아 WNC를 탈퇴하고 다시 프리랜서가 되었다. WNC는 12월 4일 카나와의 계약을 공식적으로 해지했다.
2014년 8월 30일, 카나는 레이나 조시 푸로레슬링에서 스토리라인 컨설턴트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아리야와 마코토로부터 레이나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을 박탈한 후, 11월 20일 카나와 나카지마 아리사는 토너먼트 결승에서 린 바이런과 슈리를 꺾고 새로운 챔피언이 되었다. 12월 26일, 카나는 슈리를 물리치고 레이나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2015년 초, 카나는 자신의 스테이블인 '카나 군' (나중에 '피에로 군'으로 변경)을 창설했다. 이 스테이블에는 마코토, 야마시타 리나, 알렉스 리, 캣 파워, 라 코만단테, 센가 타츠히토, 미야모토 유코 등이 포함되었다. 2월 25일, 카나와 나카지마 아리사는 히카루 시다와 슈리에게 레이나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을 내주었다. 8월 31일, 그녀는 레이나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을 반납했고, 9월 4일 프로모션에서의 마지막 경기를 가졌다.
3. WWE 경력
아스카는 WWE 입단 후 NXT와 메인 로스터를 오가며 수많은 기록을 세우고 타이틀을 획득하는 등 여성 레슬링의 역사를 새로 썼다.
3.1. NXT 위민스 챔피언 시대


2015년 8월 22일, 우라이는 뉴욕 브루클린에서 열린 WWE의 NXT 테이크오버: 브루클린 이벤트에 참석했다. 그녀가 WWE와 계약했다는 소문은 곧 9월 8일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확인되었다. 이로써 그녀는 1994년 불 나카노 이후 20여 년 만에 WWE와 계약한 최초의 일본 여성 레슬러가 되었다. 그녀는 WWE의 NXT에 합류했고, 링네임을 '아스카'로 변경했다. 그녀의 데뷔 경기는 9월 23일에 방영되었으며, 데이나 브룩과 엠마와의 대립으로 끝났다. 10월 7일 NXT 테이크오버: 리스펙트에서 아스카는 데이나 브룩을 물리치며 데뷔전을 승리로 장식했다.
이후 아스카는 메인 로스터 레슬러인 카메론을 포함한 다양한 레슬러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연승을 이어갔고, 데이나 브룩과 엠마와의 대립을 계속했다. NXT 테이크오버: 런던에서 아스카는 엠마를 물리쳤다. 두 레슬러의 경기는 데이브 멜처와 같은 비평가들로부터 "환상적"이라는 극찬을 받았다.
2016년 1월 13일 방영된 NXT 에피소드에서 아스카는 베일리의 NXT 위민스 챔피언십 #1 컨텐더를 결정하는 배틀 로열에 참가했으나, 에바 마리에게 두 번째로 탈락했다. 2월 10일 에피소드에서 배틀 로열 우승자인 카멜라가 베일리의 타이틀 매치에서 패배했다. 아스카는 경기 후 에바 마리와 나이아 잭스의 공격으로부터 카멜라를 구해주었고, 이후 베일리와 대치하며 타이틀 도전을 암시했다. 4월 1일, 아스카는 NXT 테이크오버: 댈러스에서 베일리를 기술적인 서브미션으로 꺾고 NXT 위민스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그녀는 6월 8일 NXT 테이크오버: 디 엔드에서 나이아 잭스를 상대로 성공적으로 타이틀을 방어했다. 2016년 여름, 빈스 맥마흔은 2016년 WWE 드래프트에서 아스카를 메인 로스터로 옮기는 것을 고려했으나, 트리플 H가 아스카를 NXT의 '앵커'이자 '잃을 수 없는 유일한 인물'이라고 설득하여 이를 만류했다.
아스카는 NXT에 남아 베일리와의 대립을 다시 시작했고, 8월 20일 NXT 테이크오버: 브루클린 II에서 다시 베일리를 물리쳤다. 11월 19일 NXT 테이크오버: 토론토에서 미키 제임스를 상대로 성공적인 타이틀 방어를 한 후, 아스카는 경기 후 상대방의 손을 잡는 것을 거부하며 악역으로서의 첫 조짐을 보였다. 2017년 1월 11일 방영된 NXT 에피소드에서 아스카가 빌리 케이와 페이턴 로이스의 '아이코닉 듀오'에게 제압당하자 니키 크로스가 그녀를 구하러 왔지만, 이후 아스카를 공격했다. 아스카는 세 명 모두를 상대로 타이틀을 방어할 것을 요구했고, 1월 28일 NXT 테이크오버: 샌 안토니오에서 열린 페이탈 포 웨이 매치에서 승리했다. 2월 초, 아스카는 남성 또는 여성 챔피언을 통틀어 NXT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싱글 챔피언으로 군림하게 되었다. 3월에는 부상당한 나오미를 대신하여 메디슨 스퀘어 가든에서의 쇼를 포함한 여러 하우스 쇼에서 WWE 메인 로스터와 함께 경기를 펼쳤다. 이 무렵, WWE는 아스카의 "NXT 입성 이후 무패 행진"을 홍보하기 시작했다. 아스카는 핀폴이나 서브미션으로 패배한 적이 없었지만, 2016년 1월 배틀 로열과 2016년 3월과 5월에 열린 NXT 하우스 쇼의 태그팀 매치 및 페이탈 포 웨이 매치에서는 다른 레슬러가 핀폴을 당해 패배하기도 했다.
4월 1일 NXT 테이크오버: 올랜도에서 엠버 문을 상대로 성공적인 타이틀 방어를 하는 동안, 아스카는 다시 악역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녀는 엠버 문의 피니셔를 피하기 위해 심판을 상대에게 밀어붙여 경기에서 승리했다. 아스카는 또한 엠버 문, 니키 크로스, 루비 라이엇을 공격하며 공식적으로 악역이 되었다. 이후 아스카는 NXT 테이크오버: 시카고에서 니키 크로스와 루비 라이엇을 상대로 트리플 쓰렛 매치(엠버 문은 어깨 부상으로 불참)에서 타이틀을 방어했다. 6월에는 라스트 우먼 스탠딩 매치에서 니키 크로스를 물리치고 챔피언십을 유지했다. 이 기간 동안 그녀는 골드버그의 연승 기록과 로킹 로빈의 502일간의 WWF 위민스 챔피언십 최장수 기록을 넘어섰다.
8월 19일 NXT 테이크오버: 브루클린 III에서 아스카는 복귀한 엠버 문을 물리치고 타이틀을 방어했다. 이 경기 중 그녀는 오른쪽 쇄골이 부러져 6~8주 동안 활동을 중단해야 했고, 결국 8월 24일 NXT 녹화에서 NXT 위민스 챔피언십을 반납했다. 이로써 그녀의 통치는 510일 만에 끝났다. 그녀의 고별 세그먼트에서 NXT 단장 윌리엄 리갈은 그녀를 "WWE 역사상 가장 위대한 챔피언 중 한 명"이라고 칭하며 메인 로스터로의 이동 협상도 언급했다.
3.2. 메인 로스터 데뷔 및 무패 행진

2017년 9월 11일 방영된 Raw 에피소드에서 아스카는 Raw 브랜드에 배정되었다. 한 달 후인 10월 22일 TLC: 테이블스, 래더스 & 체어스에서 아스카는 옛 라이벌인 엠마를 물리치며 링 데뷔전을 승리로 장식했다. 11월 19일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아스카는 팀 Raw를 대표하여 팀 스맥다운과의 서바이버 시리즈 매치에 참가했으며, 타미나 스누카와 나탈리아를 마지막으로 제거하며 유일한 생존자가 되었다.
이후 몇 달 동안 아스카는 데이나 브룩 (여성 경기에서 최단 시간 서브미션 승리 기록 갱신), 앨리샤 폭스, 알렉사 블리스와 같은 선수들을 물리치며 연승을 이어갔다.
2018년 1월 28일 로얄 럼블에서 아스카는 최초의 여성 로얄 럼블 매치에서 25번으로 참가하여 전 라이벌인 엠버 문과 니키 벨라를 마지막으로 제거하며 우승했고, 레슬매니아 34에서 여성 챔피언십 매치 출전권을 획득했다. 1월과 2월 내내 아스카는 나이아 잭스와의 대립을 시작했다. 나이아 잭스는 경기 중과 경기 전에 아스카를 공격했으며, 레슬매니아에서 아스카의 타이틀 기회를 원했다. 아스카는 2월 25일 일리미네이션 체임버에서 나이아 잭스를 물리쳤고, 3월 5일 방영된 Raw 에피소드에서도 다시 나이아 잭스를 꺾었다. 동시에 그녀는 더 미즈와 함께 자선 단체를 지원하기 위해 믹스드 매치 챌린지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그들은 카멜라와 빅 E, 사샤 뱅크스와 핀 벨러, 알렉사 블리스와 브라운 스트로우먼, 그리고 마지막으로 샬럿 플레어와 바비 루드를 상대로 승리하며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 샬럿 플레어가 3월 11일 패스트 레인에서 루비 라이엇을 상대로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을 방어한 후, 아스카는 레슬매니아 34에서 샬럿에게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에 도전했다. 4월 8일 이벤트에서 아스카는 샬럿에게 서브미션 패배를 당하며 914일간의 WWE 무패 행진을 끝냈다. 이는 약 2년 반 동안의 기록이었다.
3.3.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획득

2018년 4월 17일, 아스카는 WWE 슈퍼스타 셰이크업 2018의 일환으로 스맥다운으로 드래프트되었다. 그녀는 샬럿 플레어와 베키 린치를 빌리 케이와 페이턴 로이스의 '아이코닉스' 그리고 당시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인 카멜라의 공격으로부터 구해주며 첫 등장을 했다. 5월 15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서 페이지 스맥다운 단장이 카멜라의 말을 끊고 머니 인 더 뱅크에서 아스카를 상대로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을 방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6월 17일 이벤트에서 아스카는 복귀한 제임스 엘스워스의 방해로 카멜라에게 패배하며 WWE에서 첫 공식적인 핀폴 패배를 겪었다. 페이지는 7월 15일 익스트림 룰스에서 아스카에게 재경기를 허락했는데, 아스카는 다시 엘스워스의 방해로 패배했다.
9월에 아스카는 페이턴 로이스를 물리친 후 '아이코닉스'에게 공격당한 나오미를 도왔다. 이는 10월 6일 WWE 슈퍼 쇼다운에서 두 팀 간의 태그팀 매치로 이어졌고, 아스카와 나오미는 패배했다. 또한 이 시기에 아스카와 더 미즈가 믹스드 매치 챌린지 시즌 2에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그들은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최종 우승자인 R-트루스와 카멜라에게 탈락했다. 11월 18일, 아스카는 서바이버 시리즈에 팀 스맥다운의 일원으로 참가했으며, 팀 스맥다운에서 마지막으로 탈락한 여성 레슬러였다.
11월 말, 아스카는 최초의 여성 테이블, 래더, 체어 매치에 참가하기 위해 배틀 로열에서 우승했으며, 베키 린치와 샬럿 플레어를 상대로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을 놓고 대결하게 되었다. 12월 16일 TLC 이벤트에서, 양 브랜드 공동 이벤트에서 메인 이벤트를 장식한 최초의 여성 챔피언십 매치에서, 아스카는 론다 로우지가 난입하여 린치와 플레어를 사다리에서 밀어 떨어뜨린 후 처음으로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그녀의 통치 기간 동안 아스카는 TLC 이후 스맥다운에서 나오미, 로얄 럼블에서 베키 린치, 패스트 레인에서 맨디 로즈와 같은 다양한 도전자들을 물리쳤다. 3월 26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서 아스카는 샬럿 플레어에게 갑작스러운 경기에서 타이틀을 내주며 100일간의 통치를 마감했다. 데이브 멜처는 아스카가 레슬매니아 35에서 카멜라, 맨디 로즈, 나오미, 소냐 드빌 사이의 페이탈 포 웨이 매치 우승자를 상대로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을 방어할 예정이었으나, 이 경기가 막판에 취소되었다고 언급했다.
3.4. 가부키 워리어즈 결성

2019년 4월 16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서 페이지는 아스카와 NXT에서 데뷔하는 카이리 세인으로 구성된 새로운 여성 태그팀을 매니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가부키 워리어즈'라고 불리는 아스카와 카이리 세인의 팀은 곧바로 '아이코닉스'(빌리 케이와 페이턴 로이스)와의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을 놓고 대립하기 시작했다. 몇 주간의 회피 끝에 '아이코닉스'는 WWE 도쿄 투어에서 '가부키 워리어즈'에게 패배했고, 이는 '가부키 워리어즈'에게 타이틀 매치 기회를 제공했다. 타이틀 매치는 7월 16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서 열렸는데, '아이코닉스'는 카운트아웃으로 승리하여 타이틀을 유지했다. 8월에 '가부키 워리어즈'는 알렉사 블리스와 니키 크로스 챔피언에게 패배하며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짧은 공백기 후, '가부키 워리어즈'는 9월에 복귀하여 파이어 & 디자이어(맨디 로즈와 소냐 드빌)를 물리쳤다. 10월 6일 헬 인 어 셀 페이퍼뷰에서 '가부키 워리어즈'는 아스카가 니키 크로스에게 그린 미스트를 사용한 후 마침내 알렉사 블리스와 니키 크로스로부터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다음 날 Raw에서 '가부키 워리어즈'는 베키 린치와 샬럿 플레어에게 힐 턴(악역 전환)을 하며 프로모를 했고, 다시 그린 미스트를 사용하여 타이틀이 아닌 매치에서 그들을 물리쳤다. 10월 중순 WWE 드래프트 2019의 일환으로 아스카와 세인은 모두 Raw 브랜드로 드래프트되었다. 두 사람은 아스카가 매니저인 페이지에게 그린 미스트를 뿜으며 공식적으로 힐 턴을 굳혔고, 페이지와의 관계를 끝냈다. 그녀는 베키 린치가 전년도 이벤트의 재경기에서 WWE 로우 위민스 챔피언십 매치를 제안한 후 베키 린치와의 라이벌 관계를 재개했다. 로얄 럼블에서 아스카는 린치로부터 타이틀을 획득하는 데 실패했다. 2020년 2월 3일 Raw 에피소드에서 아스카는 타이틀 재경기를 요구했고, 린치는 이를 수락했으나, 일주일 후 Raw에서 아스카는 다시 타이틀을 획득하는 데 실패했다.
레슬매니아 36의 첫 번째 밤에 '가부키 워리어즈'는 알렉사 블리스와 니키 크로스에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을 내주며 181일간의 통치를 마감했는데, 이는 당시까지 해당 타이틀의 최장수 기록이었다. 4월 13일 Raw 에피소드에서 아스카는 루비 라이엇을 물리치고 머니 인 더 뱅크 래더 매치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머니 인 더 뱅크 이벤트에서 아스카는 여성 머니 인 더 뱅크 매치에서 우승했다.
3.5. 그랜드 슬램 달성 및 후속 타이틀 획득
썸머슬램에서 아스카는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을 놓고 베일리와, 그리고 나중에 로우 위민스 챔피언십을 놓고 사샤 뱅크스와 대결했다. 그녀는 첫 경기에서 패배했으나, 나중에 사샤 뱅크스를 물리치고 로우 위민스 챔피언십을 다시 획득하며 WWE 타이틀을 여러 번 획득한 첫 번째 선수가 되었다. 클래쉬 오브 챔피언스에서 아스카는 젤리나 베가를 물리치고 타이틀을 유지했으며, 밤늦게 베일리의 오픈 챌린지에 응답하여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에 도전했으나, 실격으로 승리했다. 다음 날 Raw에서 아스카는 젤리나 베가를 상대로 로우 위민스 챔피언십을 놓고 다시 대결하여 성공적으로 타이틀을 유지했다. 10월 5일 Raw 에피소드에서 아스카는 데이나 브룩과 맨디 로즈와 팀을 이루어 젤리나 베가, 나탈리아, 라나를 물리쳤다. 10월 19일 Raw 에피소드에서 아스카는 라나를 상대로 성공적으로 타이틀을 유지했다. 아스카는 이후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사샤 뱅크스에게 패배했다. TLC: 테이블스, 래더스 & 체어스에서 아스카는 복귀한 샬럿 플레어와 팀을 이루어 나이아 잭스와 셰이나 베이즐러를 물리치고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하여 두 개의 타이틀을 보유한 더블 챔피언이 되었다. 그들은 로얄 럼블에서 다시 나이아 잭스와 셰이나 베이즐러에게 타이틀을 내주었다. 아스카는 또한 레슬매니아 37의 두 번째 밤에 리아 리플리에게 로우 위민스 챔피언십을 내주며 231일간의 두 번째 통치를 마감했다. 레슬매니아 이후 Raw에서 아스카는 리플리와 타이틀을 놓고 재경기를 가졌으나, 샬럿 플레어가 둘 다 공격하여 무효 처리되었다. 5월 3일 Raw 에피소드에서 리플리와 아스카의 로우 위민스 챔피언십 재경기가 레슬매니아 백래쉬에서 예정되었다. 그날 밤, WWE 관계자 소냐 드빌은 샬럿 플레어를 챔피언십 매치에 추가하여 트리플 쓰렛 매치로 만들었다. 이벤트에서 아스카는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고 리플리에게 핀폴 패배를 당했다.
6월 21일 Raw 에피소드에서 아스카와 나오미는 에바 마리와 파이퍼 니븐의 팀을 물리치고 여성 머니 인 더 뱅크 래더 매치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머니 인 더 뱅크에서 그녀는 경기에서 승리하는 데 실패했다. 이는 2021년 그녀의 마지막 경기였으며, 이후 부상으로 활동을 중단했다. WWE 드래프트 2021 기간 동안 아스카는 드래프트되지 않았고 프리 에이전트로 선언되었다. 부상 회복으로 인해 9개월간 활동이 없다가 2022년 4월 25일 Raw 에피소드에서 복귀하여 베키 린치와 대치했다. 5월 9일 Raw 에피소드에서 WWE 관계자 애덤 피어스는 아스카에게 로우 위민스 챔피언인 비앙카 벨레어를 상대로 챔피언십 도전자 경기를 주었다. 린치는 화를 내며 경기 중 둘 다 공격했다. 다음 주, 아스카는 그린 미스트를 사용하여 린치를 물리치고 헬 인 어 셀에서 로우 위민스 챔피언십 매치 출전권을 획득했다. 린치는 다음 Raw 에피소드에서 재경기에서 아스카를 물리치고 타이틀 매치에 추가되었다. 이벤트에서 벨레어는 타이틀을 유지했다. 6월 20일 Raw 에피소드에서 아스카는 린치를 물리치고 여성 머니 인 더 뱅크 래더 매치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머니 인 더 뱅크에서 그녀는 경기에서 승리하는 데 실패했다. 10월 31일 Raw 에피소드에서 아스카와 알렉사 블리스는 여성 태그팀 챔피언인 다코타 카이와 이요 스카이를 타이틀 매치에서 물리치고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크라운 주얼에서 아스카와 알렉사 블리스는 니키 크로스의 방해로 인해 타이틀을 다시 다코타 카이와 이요 스카이에게 내주었다. 서바이버 시리즈: 워게임즈에서 아스카, 비앙카 벨레어, 알렉사 블리스, 베키 린치, 미아 임 팀은 데미지 컨트롤(베일리, 다코타 카이, 이요 스카이), 니키 크로스, 리아 리플리 팀을 워게임즈 매치에서 물리쳤다.
2023년 1월, 아스카는 짧은 공백기 후 복귀하여 '카나' 캐릭터를 연상시키는 새로운 모습으로 여성 로얄 럼블 매치에 참가했다. 그녀는 세 번째로 탈락되었으며, 최종 우승자인 리아 리플리에게 제거되었다. 다음 달 일리미네이션 체임버에서 아스카는 카멜라, 리브 모건, 나탈리아, 니키 크로스, 라켈 로드리게스를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매치에서 물리치고 레슬매니아 39에서 비앙카 벨레어를 상대로 로우 위민스 챔피언십 매치 출전권을 획득했다. 이는 또한 그녀를 로얄 럼블, 머니 인 더 뱅크,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매치에서 모두 우승한 최초이자 유일한 여성 레슬러이자 전체적으로 네 번째 인물로 만들었다. 아스카는 레슬매니아 39의 두 번째 밤에 벨레어로부터 타이틀을 획득하는 데 실패했다.
WWE 드래프트 2023의 일환으로 아스카는 스맥다운 브랜드로 드래프트되었다. 그녀는 5월 12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 출연하여 그린 미스트를 사용하여 벨레어를 공격했다. 그들의 대립은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에서의 타이틀 재경기로 이어졌고, 아스카는 벨레어를 물리치고 세 번째로 로우 위민스 챔피언십을 획득하며 벨레어의 420일간의 최장수 타이틀 통치를 끝냈다. 6월 9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서 타이틀은 WWE 위민스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아스카는 새로운 챔피언십 디자인을 받았다. 이후 샬럿 플레어가 아스카에게 타이틀 매치를 제안했고, 아스카는 이를 수락했으나 벨레어가 공격하여 실격으로 승리했다. 썸머슬램에서 아스카는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벨레어에게 타이틀을 내주며 70일간의 세 번째 통치를 마감했다. 이후 그녀는 패스트 레인에서 이요 스카이와 샬럿 플레어와의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타이틀을 되찾는 데 실패했다.
3.6. 데미지 컨트롤 연합
2023년 11월 10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서 아스카는 비앙카 벨레어와 샬럿 플레어와 팀을 이루어 데미지 컨트롤의 베일리, 이요 스카이, 그리고 크라운 주얼에서 복귀하여 스테이블에 합류한 카이리 세인을 상대로 6인 태그팀 매치에 참가했다. 이 경기에서 아스카는 팀 동료들을 배신하고 카이리 세인과 재회하며 동시에 데미지 컨트롤에 합류했다. 서바이버 시리즈 워게임즈에서 데미지 컨트롤은 비앙카 벨레어, 샬럿 플레어, 베키 린치, 쇼치에게 워게임즈 매치에서 패배했다.

2024년 1월 26일 스맥다운 에피소드에서 아스카와 세인은 다시 '가부키 워리어즈'로 출전하여 카타나 챈스와 케이든 카터를 물리치고 두 번째로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이는 아스카의 개인적으로는 기록적인 네 번째 통치였다. 아스카와 세인은 2월 5일 Raw 에피소드에서 챈스와 카터를 상대로, 그리고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퍼스 킥오프 쇼에서 캔디스 르레이와 인디 하트웰을 상대로 타이틀을 유지했다. 3월 5일 NXT 로드블록에서 아스카와 세인은 테이텀 팩슬리와 NXT 위민스 챔피언 라이라 발키리아를 물리치고 타이틀을 유지했다. 레슬매니아 XL의 첫 번째 밤에 데미지 컨트롤 (아스카, 세인, 카이)은 비앙카 벨레어, 나오미, 제이드 카길에게 6인 태그팀 매치에서 패배했다. 2024년 WWE 드래프트에서 아스카는 데미지 컨트롤의 일원으로 Raw 브랜드로 드래프트되었다. 5월 4일 백래쉬 프랑스에서 아스카와 세인은 비앙카 벨레어와 제이드 카길에게 타이틀을 내주며 99일간의 두 번째 통치를 마감했다. 이틀 후 Raw에서 아스카는 몇 달 동안 무릎 부상으로 고통받았으며 성공적으로 수술을 받았다고 밝혔다.
4. 레슬링 스타일 및 페르소나
아스카의 독특한 인링 스타일과 개성 넘치는 페르소나는 그녀를 WWE 여성 디비전의 독보적인 존재로 만들었다.
4.1. 인링 스타일
아스카의 인링 스타일은 타격기, 서브미션, 그리고 기술적인 레슬링이 조화된 독특한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격렬한 타격과 날카로운 킥 공격을 자주 사용하여 상대를 압박하며, 뛰어난 서브미션 기술로 상대를 제압하는 데 능숙하다. 또한 기술적인 그래플링과 카운터 공격을 통해 경기를 유리하게 이끌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녀의 경기 스타일은 일본 여성 프로레슬링(조시 푸로레슬링)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이는 서구 레슬링과는 다른 독특한 매력을 선사한다.
4.2. 시그니처 무브 및 피니셔
아스카는 여러 상징적인 기술과 피니셔를 사용하여 경기를 마무리한다.
- 아스카 락 (Asuka Lock, 구 명칭: 카나 락)
- 상대의 등 뒤에서 한 팔을 치킨윙으로 잡고 몸통을 조여 슬리퍼 홀드로 마무리하는 변형 서브미션 기술이다. 일본에서는 '카나 락'으로 불렸으며, WWE 입단 후 '아스카 락'으로 개명되었다.
- 스핀 킥 (Spin Kick)
- NXT에서 피니셔로 사용된 강력한 회전 발차기이다.
- 점핑 힙 어택 (Jumping Hip Attack)
- 상대에게 달려들어 엉덩이로 공격하는 기술로, 과거에는 '빌리켄'이라고 불렸다.
- 힙 바트 (Hip Butt)
- 앉은 자세로 다운되거나 무릎을 꿇은 상대의 머리를 향해 엉덩이를 강하게 치는 기술이다.
- 그린 미스트 (Green Mist)
- 상대의 얼굴에 초록색 독무를 뿜어 시야를 가리는 반칙성 기술로, 특히 악역 전환 후 자주 사용되었다.
그 외에 주요 타격기로는 엘보우, 백핸드 찹, 장타, 백핸드 블로우, 러시안 훅, 드롭킥, 저공 드롭킥, 엔즈이 기리, 버즈소우 킥, 팝업 니 스트라이크 등이 있다. 관절기 및 조르기 기술로는 암바, 겨드랑이 굳히기, 크로스 암바, 니 바, 앵클 락, 크로스 힐 홀드, 오모플라타, 슬리퍼 홀드, 삼각 조르기, 스피닝 초크, 변형 좀비 굳히기, 카나분 등이 있다. 던지기 기술로는 수플렉스, 스냅 수플렉스, 슈퍼플렉스, 더블 암 수플렉스, 리버스 DDT, DDT, 저먼 수플렉스 등이 있다.
4.3. 페르소나 및 캐치프레이즈

아스카는 '미래의 여제'(The Empress of Tomorrow영어)라는 캐릭터를 가지고 있으며, 경기에서는 종종 광대 분장을 하고 등장한다. 그녀의 가장 유명한 캐치프레이즈는 "아스카를 상대할 준비된 자는 아무도 없다!" (No One Is Ready for ASUKA!노 원 이즈 레디 포 아스카!영어)이다. 또한 그녀는 마이크 어필 시 거친 오사카 사투리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며, 이는 그녀의 개성적인 페르소나를 더욱 돋보이게 한다.
5. 유산 및 영향
아스카는 여성 프로레슬링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수많은 업적과 수상 경력을 통해 그녀의 중요성을 입증했다.
5.1. 업적 및 수상
2015년 12월,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의 데이브 멜처는 우라이를 "WWE에서 남녀 통틀어 최고의 레슬러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2017년, 우라이는 프로레슬링 일러스트레이티드의 연간 PWI 여성 50인 목록에서 일본인 레슬러 최초로 1위를 차지했다. 그녀는 WWE 역사상 NXT 위민스 챔피언십, 로우 위민스 챔피언십,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로얄 럼블 매치, 머니 인 더 뱅크 매치,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매치를 모두 우승한 유일한 인물이다. 2020년에는 다른 어떤 슈퍼스타보다도 더 많은 WWE 경기에 출전했다. 2021년, WWE는 그녀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성 슈퍼스타 5인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
아스카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업적을 달성했다:
- WWE**:
- WWE 위민스 챔피언십 (3회)
-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1회)
- NXT 위민스 챔피언십 (1회)
-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4회) - 카이리 세인 (2회), 샬럿 플레어 (1회), 알렉사 블리스 (1회)
- 여성 머니 인 더 뱅크 (2020년)
- 여성 로얄 럼블 (2018년)
- 세 번째 WWE 위민스 트리플 크라운 챔피언
- 두 번째 WWE 위민스 그랜드 슬램 챔피언
- 믹스드 매치 챌린지 시즌 1 - 더 미즈와 함께
- NXT 올해의 시상식 (3회)
- 올해의 여성 경쟁자 (2016년, 2017년)
- 올해의 전체 경쟁자 (2017년)
- WWE 올해의 시상식 (1회)
- 올해의 여성 태그팀 (2019년) - 카이리 세인과 함께
- 독립 단체**:
- DDT 프로레슬링: 아이언맨 헤비메탈급 챔피언십 (5회)
- JWP 조시 푸로레슬링: JWP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1회)
- 쿠즈 프로: 쿠즈 프로 디바 챔피언십 (1회)
- NEO 재팬 레이디스 프로레슬링: NEO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타카하시 나나에와 함께
- 오사카 조시 프로레슬링: 원 데이 태그 토너먼트 (2011년) - 시라이 미오와 함께
- 프로레슬링 웨이브: WAVE 태그팀 챔피언십 (2회) - 쿠리하라 아유미 (1회) 및 시라이 미오 (1회)와 함께; 캐치 더 웨이브 (2011년); 듀얼 쇼크 웨이브 (2011년) - 쿠리하라 아유미와 함께
- 레이나 조시 푸로레슬링: 레이나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 (1회); 레이나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나카지마 아리사와 함께; 레이나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토너먼트 (2014년) - 나카지마 아리사와 함께
- 스매쉬: 스매쉬 디바 챔피언십 (2회); 스매쉬 디바 챔피언십 토너먼트 (2011년)
- 기타 수상**:
- CBS 스포츠: 올해의 WWE 경기 (2018년) - TLC에서 베키 린치 및 샬럿 플레어와 함께
- 롤링 스톤: 올해의 가장 으스스한 입장 (2017년)
-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2018년 여성 레슬러 상위 10인 중 5위
5.2. 여성 레슬링에 미친 영향
아스카는 WWE에서 여성 레슬링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스테레오타입을 깨며, '디바' 중심에서 '운동선수' 중심으로 여성 레슬러의 위상을 높이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그녀의 압도적인 무패 행진과 다양한 타이틀 획득은 여성 경기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팬들이 여성 레슬링에 더욱 몰입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녀는 경기력과 캐릭터 모두에서 깊은 인상을 남기며, 남성 경기와 동등한 수준의 경쟁과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특히 그녀의 기술적인 인링 스타일과 강력한 서브미션 기술은 여성 레슬링이 단순한 쇼가 아닌 진정한 스포츠임을 보여주는 데 기여했다. 아스카는 베키 린치, 샬럿 플레어, 베일리와 함께 여성 디비전의 '4 기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WWE의 '여성 혁명'을 주도한 핵심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6. 기타 활동 및 개인 생활
아스카는 레슬링 외에도 다양한 미디어 및 사업 활동을 펼쳤으며, 개인적인 삶의 면모도 공개되었다.
6.1. 미디어 및 사업 활동
우라이는 세 편의 그라비아 DVD를 발매했는데, 각각 マニュフェスト매니페스토일본어 (2011년), 매니페스토 II (2012년), 매니페스토 파이널 (2015년)이다. 그녀는 또한 시라이 미오와 함께 '새디스틱 테일즈' (2012년)라는 그라비아 DVD를 함께 발매했다. 2019년 9월, 우라이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인 'KanaChanTV'를 개설하여 게임과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선보였다. 그녀는 공식적으로 채널을 발표하기 전에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여러 게시물로 채널을 홍보했다. 'KanaChanTV'는 영어/일본어 이중 언어 해설이 포함된 플레이 영상과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제공한다.
그녀는 엑스박스 매거진에 기고하고 닌텐도 DS와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을 디자인했으며, 요코하마에 '어나더 헤븐(Another Heaven)'이라는 헤어 살롱을 소유하기도 했다. 2023년 7월부터는 일본에 자신만의 아케이드 게임장을 짓기 시작했다.
6.2. 개인적 측면
베키 린치와 나오미에 따르면, 우라이는 어머니이다. 2021년 ET 캐나다와의 인터뷰에서 우라이는 자신이 겪은 인종차별 경험을 상세히 설명하고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반아시아인 정서가 증가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공유했다.
7. 입장 테마곡
아스카가 프로레슬링 경력 동안 사용했던 주요 입장 테마곡들은 다음과 같다.
- You Can't Hide (현재 사용 중)
- Warriors
- The Future
- 華ノ路하나노 미치일본어 (トリプル・テイルズ.S트리플 테일즈.S일본어의 'Sadism'에 수록된 오리지널 곡)
- 太陽は昇る태양은 떠오른다일본어 (게임 '오오카미'의 OST)
- 情熱浪漫乙女정열 낭만 소녀일본어 (오리지널 곡, 복귀 후 테마곡으로 사용)
- 檄!帝国華撃団격!제국화격단일본어 (게임 '사쿠라 대전'의 OST)
8. 수상 경력
아스카가 프로레슬링 경력 동안 획득한 모든 타이틀과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구분 | 타이틀/수상 내역 | 횟수 | 비고 |
---|---|---|---|
일본 독립 단체 | |||
DDT 프로레슬링 | 아이언맨 헤비메탈급 챔피언십 | 5회 | |
JWP 조시 푸로레슬링 | JWP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 1회 | |
JWP 조시 푸로레슬링 | JWP 올해의 시상식: 베스트 바우트 어워드 | 1회 | 2013년 12월 15일 나카지마 아리사와의 경기 |
JWP 조시 푸로레슬링 | JWP 올해의 시상식: 에너미 어워드 | 1회 | 2013년 |
쿠즈 프로 | 쿠즈 프로 디바 챔피언십 | 1회 | |
NEO 재팬 레이디스 프로레슬링 | NEO 태그팀 챔피언십 | 1회 | 타카하시 나나에와 함께 |
오사카 조시 프로레슬링 | 원 데이 태그 토너먼트 | 1회 | 2011년 시라이 미오와 함께 |
프로레슬링 웨이브 | WAVE 태그팀 챔피언십 | 2회 | 쿠리하라 아유미 (1회), 시라이 미오 (1회)와 함께 |
프로레슬링 웨이브 | 캐치 더 웨이브 | 1회 | 2011년 |
프로레슬링 웨이브 | 듀얼 쇼크 웨이브 | 1회 | 2011년 쿠리하라 아유미와 함께 |
레이나 조시 푸로레슬링 | 레이나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 | 1회 | |
레이나 조시 푸로레슬링 | 레이나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 1회 | 나카지마 아리사와 함께 |
레이나 조시 푸로레슬링 | 레이나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토너먼트 | 1회 | 2014년 나카지마 아리사와 함께 |
스매쉬 | 스매쉬 디바 챔피언십 | 2회 | |
스매쉬 | 스매쉬 디바 챔피언십 토너먼트 | 1회 | 2011년 |
WWE | |||
WWE | WWE 위민스 챔피언십 | 3회 | |
WWE |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 1회 | |
WWE | NXT 위민스 챔피언십 | 1회 | |
WWE |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 4회 | 카이리 세인 (2회), 샬럿 플레어 (1회), 알렉사 블리스 (1회)와 함께 |
WWE | 머니 인 더 뱅크 | 1회 | 2020년 (여성) |
WWE | 로얄 럼블 | 1회 | 2018년 (여성) |
WWE | WWE 위민스 트리플 크라운 챔피언 | 1회 | 세 번째 달성자 |
WWE | WWE 위민스 그랜드 슬램 챔피언 | 1회 | 두 번째 달성자 |
WWE | WWE 믹스드 매치 챌린지 | 1회 | 시즌 1, 더 미즈와 함께 |
WWE | NXT 올해의 시상식: 올해의 여성 경쟁자 | 2회 | 2016년, 2017년 |
WWE | NXT 올해의 시상식: 올해의 전체 경쟁자 | 1회 | 2017년 |
WWE | WWE 올해의 시상식: 올해의 여성 태그팀 | 1회 | 2019년 카이리 세인과 함께 |
기타 | |||
CBS 스포츠 | 올해의 WWE 경기 | 1회 | 2018년 TLC에서 베키 린치 및 샬럿 플레어와 함께 |
프로레슬링 일러스트레이티드 | PWI 여성 50인 1위 | 1회 | 2017년 |
프로레슬링 일러스트레이티드 | PWI 태그팀 50인 9위 | 1회 | 2020년 카이리 세인과 함께 |
롤링 스톤 | 올해의 가장 으스스한 입장 | 1회 | 2017년 |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 올해의 여성 레슬러 상위 10인 중 5위 | 1회 | 2018년 |
9. 같이 보기
- WWE
- WWE 로우
- WWE 스맥다운
- NXT (WWE 브랜드)
- NXT 위민스 챔피언십
- WWE 로우 위민스 챔피언십
-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 로얄 럼블
- 머니 인 더 뱅크
-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 카이리 세인
- 샬럿 플레어
- 알렉사 블리스
- 베키 린치
- 베일리 (프로레슬링 선수)
- 더 미즈
- 데미지 컨트롤
- 무패 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