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스튜어트 어니스트 싱크(Stewart Ernest Cink영어)는 1973년 5월 21일 출생한 미국의 프로 골프 선수로, 현재 PGA 투어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는 2009년 디 오픈 챔피언십에서 톰 왓슨을 연장전에서 꺾고 우승하며 첫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공식 세계 골프 랭킹 상위 10위에 40주 이상 머물렀으며, 2008년에는 경력 최고 5위의 랭킹을 기록했다. 또한, 그는 월드 골프 챔피언십 대회인 2004년 WGC-NEC 인비테이셔널에서도 우승한 바 있으며, 미국을 대표하는 프로 골퍼 중 한 명으로 꾸준히 활동해 왔다.
2. 어린 시절과 교육
스튜어트 싱크는 1973년 5월 21일 미국 앨라배마주 헌츠빌에서 태어났다. 그는 인근의 플로렌스에서 성장했으며, 브래드쇼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싱크는 부모님 두 분 모두 싱글 플레이어(핸디캡 한 자릿수) 골퍼였던 가정에서 자라면서 어린 시절부터 골프와 친숙하게 지냈다. 1991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95년 조지아 공과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 조지아 공과대학교 골프팀에서 '옐로우 재킷츠' 선수로 활동했으며, 그의 1년 선배로는 데이비드 듀발이 있었다. 그는 대학 졸업 직후인 1995년에 프로로 전향했다.
3. 프로 경력
스튜어트 싱크는 1995년 프로 전향 이후 꾸준히 경력을 쌓으며 여러 투어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1996년에는 나이키 투어(현 콘페리 투어)에서 3승을 기록하고 멕시칸 오픈에서도 우승하며 잠재력을 입증했다. 1997년에는 PGA 투어에 진출하여 첫 우승을 차지하는 등 일찍이 두각을 나타냈다.
3.1. 초기 경력과 비약
스튜어트 싱크는 1995년 프로로 전향한 후, 1996년 멕시칸 오픈에서 우승했고, 같은 해 나이키 투어에서 세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이러한 성공을 발판 삼아 1997년 PGA 투어에 합류했으며, 루키 시즌에 캐논 그레이터 하트포드 오픈에서 우승하며 PGA 투어 첫 승을 거두었다. 이 우승으로 그는 1997년 PGA 투어 '올해의 신인상'을 수상했다.
이후에도 꾸준히 투어에서 활동하며 2000년 MCI 클래식에서 두 번째 PGA 투어 우승을 기록했다. 1999년 PGA 챔피언십에서는 타이거 우즈와 세르히오 가르시아에 이어 3위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메이저 대회 우승 경쟁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2001년 US 오픈은 싱크의 경력에서 아쉬운 패배로 기록되었다. 최종 라운드 마지막 홀에서 더블 보기를 범하며 5언더파에서 4언더파로 내려앉았고, 결국 레티프 구센과 마크 브룩스의 플레이오프 진출에 1타 차이로 실패하며 3위에 머물렀다. 이 충격으로 인해 그는 잠시 부진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2004년에는 MCI 헤리티지(MCI 클래식에서 대회명 변경)에서 다시 우승하며 4년 만에 PGA 투어 3승을 달성했다. 이 해 8월에는 월드 골프 챔피언십 시리즈 중 하나인 WGC-NEC 인비테이셔널에서도 우승하며 개인 통산 처음으로 한 시즌 2승을 기록했고, 상금 랭킹 5위로 시즌을 마쳤다.
3.2. 주요 토너먼트 성공
2008년 2월, 스튜어트 싱크는 월드 골프 챔피언십 시리즈 첫 대회인 액센츄어 매치 플레이 챔피언십 결승에 진출했으나,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타이거 우즈에게 8홀 차 7홀 남기고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그러나 같은 해 마스터스 토너먼트에서 개인 최고 성적인 3위를 기록했고, 6월 트래블러스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4년 만에 PGA 투어 5승을 달성했다. 이 우승으로 그는 공식 세계 골프 랭킹에서 경력 최고인 6위(2008년 6월)에 올랐다.
2009년 7월 19일, 싱크는 스코틀랜드 턴베리의 에일사 코스에서 열린 제138회 디 오픈 챔피언십에서 마침내 숙원이었던 메이저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4라운드 합계 2언더파 (278 스트로크)를 기록하며 26년 만에 통산 6번째 우승을 노리던 59세의 톰 왓슨과 플레이오프에 돌입했다. 디 오픈 챔피언십의 플레이오프는 4개 홀 합계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싱크는 플레이오프에서 왓슨의 실수를 틈타 승리하며 메이저 챔피언으로 등극했다. 특히 그는 72번째 홀에서 버디를 잡아내며 왓슨이 보기를 범하면서 연장전으로 이끌었다.
3.3. 후기 경력과 최근 우승

2009년 디 오픈 챔피언십 우승 이후 한동안 우승 소식이 없던 스튜어트 싱크는 2020년 9월 13일 세이프웨이 오픈에서 우승하며 11년 만에 PGA 투어에서 다시 승리를 기록했다. 이 우승은 2009년 디 오픈 챔피언십 이후 그의 첫 승리였다.
이어서 2021년 4월 18일에는 RBC 헤리티지에서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싱크는 47세 이후 동일한 PGA 투어 시즌에 두 번 우승한 네 번째 선수로 기록되었다. 그 이전에는 샘 스니드, 줄리어스 보로스, 그리고 케니 페리만이 이러한 기록을 달성했다. 또한 이 대회에서 그는 36홀 최저 타수 및 54홀 최저 타수 기록을 경신했다.
3.4. 미국 국가대표팀 출전
스튜어트 싱크는 미국을 대표하여 여러 주요 국제 팀 대회에 참가했다.
- 프레지던츠컵: 2000년, 2005년, 2007년, 2009년 (모두 우승팀 소속)
- 라이더컵: 2002년, 2004년, 2006년, 2008년 (우승팀 소속), 2010년
- WGC-월드컵: 2005년, 2006년
- 웬디스 3-투어 챌린지 (PGA 투어 대표): 2006년 (우승팀 소속), 2008년, 2009년
4. 프로 우승
스튜어트 싱크는 프로 경력 동안 총 17회의 우승을 달성했다.
4.1. PGA 투어 우승

PGA 투어에서 스튜어트 싱크는 총 8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이 중 1회는 메이저 대회, 1회는 월드 골프 챔피언십 대회이다.
| No. | 날짜 | 대회 | 우승 스코어 | 우승 마진 | 준우승자 |
|---|---|---|---|---|---|
| 1 | 1997년 7월 27일 | 캐논 그레이터 하트포드 오픈 | -13 (69-67-65-66=267) | 1 스트로크 | 톰 바이럼, 브랜델 챔블리, 제프 매거트 |
| 2 | 2000년 4월 16일 | MCI 클래식 | -14 (71-68-66-65=270) | 2 스트로크 | 톰 레만 |
| 3 | 2004년 4월 18일 | MCI 헤리티지 (2) | -10 (72-69-69-64=274) | 플레이오프 | 테드 퍼디 |
| 4 | 2004년 8월 22일 | WGC-NEC 인비테이셔널 | -11 (63-68-68-70=269) | 4 스트로크 | 로리 사바티니, 타이거 우즈 |
| 5 | 2008년 6월 22일 | 트래블러스 챔피언십 (2) | -18 (66-64-65-67=262) | 1 스트로크 | 토미 아머 3세, 헌터 메이한 |
| 6 | 2009년 7월 19일 | 디 오픈 챔피언십 | -2 (66-72-71-69=278) | 플레이오프 | 톰 왓슨 |
| 7 | 2020년 9월 13일 | 세이프웨이 오픈 | -21 (67-70-65-65=267) | 2 스트로크 | 해리 힉스 |
| 8 | 2021년 4월 18일 | RBC 헤리티지 (3) | -19 (63-63-69-70=265) | 4 스트로크 | 에밀리아노 그리요, 해럴드 바너 3세 |
PGA 투어 플레이오프 전적 (2승 2패)
| No. | 연도 | 대회 | 상대 선수 | 결과 |
|---|---|---|---|---|
| 1 | 1998년 | 캐논 그레이터 하트포드 오픈 | 올린 브라운, 래리 마이즈 | 브라운이 첫 번째 연장 홀에서 버디로 우승 |
| 2 | 2004년 | MCI 헤리티지 | 테드 퍼디 | 다섯 번째 연장 홀에서 버디로 우승 |
| 3 | 2006년 | WGC-브리지스톤 인비테이셔널 | 타이거 우즈 | 네 번째 연장 홀에서 버디에 패배 |
| 4 | 2009년 | 디 오픈 챔피언십 | 톰 왓슨 | 4개 홀 합계 플레이오프 승리; 싱크: -2 (4-3-4-3=14), 왓슨: +4 (5-3-7-5=20) |
4.2. 유러피언 투어 우승
유러피언 투어에서 스튜어트 싱크는 총 2회 우승을 기록했다. 이는 월드 골프 챔피언십 대회 및 메이저 대회의 공동 주관 우승 기록이다.
| No. | 날짜 | 대회 | 우승 스코어 | 우승 마진 | 준우승자 |
|---|---|---|---|---|---|
| 1 | 2004년 8월 22일 | WGC-NEC 인비테이셔널 | -11 (63-68-68-70=269) | 4 스트로크 | 로리 사바티니, 타이거 우즈 |
| 2 | 2009년 7월 19일 | 디 오픈 챔피언십 | -2 (66-72-71-69=278) | 플레이오프 | 톰 왓슨 |
유러피언 투어 플레이오프 전적 (1승 1패)
| No. | 연도 | 대회 | 상대 선수 | 결과 |
|---|---|---|---|---|
| 1 | 2006년 | WGC-브리지스톤 인비테이셔널 | 타이거 우즈 | 네 번째 연장 홀에서 버디에 패배 |
| 2 | 2009년 | 디 오픈 챔피언십 | 톰 왓슨 | 4개 홀 합계 플레이오프 승리; 싱크: -2 (4-3-4-3=14), 왓슨: +4 (5-3-7-5=20) |
4.3. 나이키 투어 우승
스튜어트 싱크는 나이키 투어(현 콘페리 투어)에서 총 3회 우승을 기록했다.
| No. | 날짜 | 대회 | 우승 스코어 | 우승 마진 | 준우승자 |
|---|---|---|---|---|---|
| 1 | 1996년 6월 23일 | 나이키 오작스 오픈 | -16 (68-67-69-68=272) | 플레이오프 | R. W. 익스 |
| 2 | 1996년 9월 8일 | 나이키 콜로라도 클래식 | -16 (67-68-67-66=268) | 1 스트로크 | 데이비드 버가니오 주니어, 마이클 크리스티 |
| 3 | 1996년 10월 20일 | 나이키 투어 챔피언십 | -7 (66-71-71-73=281) | 4 스트로크 | 데이비드 버가니오 주니어 |
나이키 투어 플레이오프 전적 (1승 1패)
| No. | 연도 | 대회 | 상대 선수 | 결과 |
|---|---|---|---|---|
| 1 | 1996년 | 나이키 산호세 오픈 | 바비 엘리엇, 래리 실베이라 | 실베이라가 첫 번째 연장 홀에서 버디로 우승 |
| 2 | 1996년 | 나이키 오작스 오픈 | R. W. 익스 | 세 번째 연장 홀에서 버디로 우승 |
4.4. 후터스 투어 우승
스튜어트 싱크는 후터스 투어에서 총 1회 우승을 기록했다.
| No. | 날짜 | 대회 | 우승 스코어 | 우승 마진 | 준우승자 |
|---|---|---|---|---|---|
| 1 | 1995년 10월 29일 | 내추럴리 프레시 컵 | -13 (69-68-68-70=275) | 6 스트로크 | 딘 파파스, 마이크 스와츠 |
4.5. 라틴 아메리카 우승
스튜어트 싱크는 라틴 아메리카 지역 대회에서 총 2회 우승을 기록했다.
- 1996년 멕시칸 오픈
- 1999년 멕시칸 오픈
4.6. 기타 우승
스튜어트 싱크는 PGA 투어 및 기타 정규 투어 외 대회에서 총 5회 우승을 기록했다.
| No. | 날짜 | 대회 | 우승 스코어 | 우승 마진 | 준우승자 |
|---|---|---|---|---|---|
| 1 | 2006년 | 웬디스 3-투어 챌린지 (PGA 투어 팀) | - | - | - |
| 2 | 2007년 6월 19일 | CVS 케어마크 채리티 클래식 (with J. J. 헨리) | -20 (60-62=122) | 1 스트로크 | 브래드 팩슨 및 잭 존슨 |
| 3 | 2013년 12월 15일 | PNC 파더-선 챌린지 (with 아들 코너 싱크) | -22 (61-61=122) | 3 스트로크 | 스티브 엘킹턴 및 아들 샘 엘킹턴, 비제이 싱 및 아들 콰스 싱 |
기타 플레이오프 전적 (0승 1패)
| No. | 연도 | 대회 | 상대 선수 | 결과 |
|---|---|---|---|---|
| 1 | 2002년 | CVS 채리티 클래식 (with 데이비드 톰스) | 크리스 디마르코 및 더들리 하트 | 세 번째 연장 홀에서 버디에 패배 |
4.7. PGA 투어 챔피언스 우승
스튜어트 싱크는 PGA 투어 챔피언스에서 총 1회 우승을 기록했다.
| No. | 날짜 | 대회 | 우승 스코어 | 우승 마진 | 준우승자 |
|---|---|---|---|---|---|
| 1 | 2024년 8월 25일 | 디 앨리 챌린지 | -17 (67-66-66=199) | 4 스트로크 | 최경주 |
5. 메이저 챔피언십 결과
스튜어트 싱크는 메이저 챔피언십 대회에서 여러 차례 인상적인 성적을 기록했다.
5.1. 메이저 챔피언십 우승
스튜어트 싱크는 메이저 챔피언십에서 1회 우승을 기록했다.
| 연도 | 챔피언십 | 54홀 성적 | 우승 스코어 | 우승 마진 | 준우승자 |
|---|---|---|---|---|---|
| 2009년 | 디 오픈 챔피언십 | 3타 차 열세 | -2 (66-72-71-69=278) | 플레이오프 | 톰 왓슨 |
5.2. 메이저 챔피언십 성적 연대기
다음은 스튜어트 싱크의 연도별 메이저 챔피언십 성적이다. (2020년 결과는 연대순이 아님.)
| 대회 | 1996 | 1997 | 1998 | 1999 |
|---|---|---|---|---|
| 마스터스 토너먼트 | CUT | T23 | T27 | |
| US 오픈 | T16 | T13 | T10 | T32 |
| 디 오픈 챔피언십 | T66 | CUT | ||
| PGA 챔피언십 | CUT | CUT | T3 |
| 대회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 마스터스 토너먼트 | T28 | CUT | T24 | T17 | T20 | 10 | T17 | T3 | CUT | |
| US 오픈 | T8 | 3 | CUT | T28 | CUT | T15 | T37 | CUT | T14 | T27 |
| 디 오픈 챔피언십 | T41 | T30 | T59 | T34 | T14 | CUT | CUT | T6 | CUT | 1 |
| PGA 챔피언십 | T15 | T59 | T10 | CUT | T17 | T28 | T24 | T32 | CUT | T67 |
| 대회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 마스터스 토너먼트 | CUT | CUT | T50 | T25 | T14 | ||||
| US 오픈 | T40 | CUT | CUT | CUT | T54 | T46 | |||
| 디 오픈 챔피언십 | T48 | T30 | CUT | T26 | T47 | T20 | CUT | T24 | |
| PGA 챔피언십 | T18 | CUT | CUT | CUT | CUT | T4 |
| 대회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마스터스 토너먼트 | CUT | T12 | CUT | |||
| PGA 챔피언십 | T30 | T23 | ||||
| US 오픈 | T57 | CUT | CUT | |||
| 디 오픈 챔피언십 | T20 | NT | CUT | CUT | T23 | CUT |
CUT = 중간 컷 탈락
"T" = 공동 순위
NT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대회 취소
5.3. 메이저 챔피언십 요약
| 대회 | 우승 | 2위 | 3위 | Top-5 | Top-10 | Top-25 | 출전 횟수 | 컷 통과 횟수 |
|---|---|---|---|---|---|---|---|---|
| 마스터스 토너먼트 | 0 | 0 | 1 | 1 | 2 | 10 | 20 | 13 |
| PGA 챔피언십 | 0 | 0 | 1 | 2 | 3 | 7 | 21 | 13 |
| US 오픈 | 0 | 0 | 1 | 1 | 3 | 7 | 23 | 15 |
| 디 오픈 챔피언십 | 1 | 0 | 0 | 1 | 2 | 7 | 25 | 16 |
| 합계 | 1 | 0 | 3 | 5 | 10 | 31 | 89 | 57 |
- 최장 연속 컷 통과 - 7회 (1999년 마스터스 - 2000년 PGA 챔피언십)
- 최장 연속 Top-10 진입 - 1회 (10번)
6. 기타 주요 토너먼트 결과
스튜어트 싱크는 메이저 대회 외에 플레이어스 챔피언십과 월드 골프 챔피언십 등 주요 대회에서도 활약했다.
6.1.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결과
다음은 스튜어트 싱크의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연도별 성적이다.
| 대회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 T42 | CUT | T33 | CUT | CUT | T39 | T22 | T32 | CUT | T3 | T21 | T76 |
| 대회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 CUT | T19 | T64 | CUT | T38 | CUT | CUT | CUT |
| 대회 | 2020 | 2021 | 2022 | 2023 |
|---|---|---|---|---|
|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 C | CUT | CUT | CUT |
CUT = 중간 컷 탈락
"T" = 공동 순위
C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첫 라운드 후 취소
6.2. 월드 골프 챔피언십 결과
스튜어트 싱크는 월드 골프 챔피언십(WGC)에서 1회 우승을 기록했다.
| 연도 | 챔피언십 | 54홀 성적 | 우승 스코어 | 우승 마진 | 준우승자 |
|---|---|---|---|---|---|
| 2004년 | WGC-NEC 인비테이셔널 | 5타 차 선두 | -11 (63-68-68-70=269) | 4 스트로크 | 로리 사바티니, 타이거 우즈 |
다음은 스튜어트 싱크의 월드 골프 챔피언십 연도별 성적이다. (2015년 이전 결과는 연대순이 아님.)
| 대회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챔피언십 | T4 | NT1 | T23 | T46 | T13 | T45 | T20 | T59 | T37 | ||||||||||||
| 매치 플레이 | R16 | R64 | R64 | R64 | R32 | QF | R64 | R16 | 2 | 3 | QF | R32 | |||||||||
| 인비테이셔널 | 7 | T13 | T47 | T61 | 1 | T41 | 2 | T56 | T43 | T6 | T19 | T45 | |||||||||
| HSBC 챔피언스 | T51 | ||||||||||||||||||||
| 대회 | 2020 | 2021 |
|---|---|---|
| 챔피언십 | ||
| 매치 플레이 | NT2 | |
| 인비테이셔널 | T43 | |
| HSBC 챔피언스 | NT2 | NT2 |
1 9·11 테러로 인해 취소
2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
QF, R16, R32, R64 = 매치 플레이에서 패배한 라운드
"T" = 공동 순위
NT = 대회 없음
참고: HSBC 챔피언스는 2009년부터 WGC 대회가 되었다.
7. 개인 생활
스튜어트 싱크는 아내 리사 싱크와 결혼하여 코너와 레이건이라는 두 아들을 두고 있다. 그는 기독교인이다.
8. 수상 및 영예
스튜어트 싱크는 그의 골프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주요 상과 영예로운 기록들을 받았다.
- 해스킨스 어워드: 1995년
- 나이키 투어 상금 순위 1위: 1996년
- 나이키 투어 올해의 선수: 1996년
- PGA 투어 올해의 신인상: 1997년
- 페인 스튜어트 어워드: 201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