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education
셰인 비버는 1995년 5월 3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에서 태어났다. 그는 캘리포니아주 라구나 힐스에 위치한 라구나 힐스 고등학교에 다녔다. 고등학교 3학년 때 그의 투구 속도는 시속 129 km/h (80 mph) 중반에 이르렀고, 제구력은 매우 뛰어났다. 그는 UC 산타바바라에서 대학 야구를 하기 위해 워커온으로 스카우트되었으며, 다른 많은 프로그램으로부터 큰 관심을 받지는 못했다. 2013년 고등학교 4학년 때는 8승 4패, 평균자책점 1.40을 기록했다.
2013년 고등학교 졸업 후, 그는 UC 산타바바라에 입학하여 가우초스 야구팀에서 워커온으로 뛰었다. 그는 2학년 때부터 장학금을 받았다. 2014년에는 웨스트 코스트 리그의 카울리 블랙 베어스에서 대학 여름 야구를 했고, 2015년에는 케이프 코드 야구 리그의 야머스-데니스 레드삭스에서 뛰었다. 2016년 주니어 시절에는 18번의 선발 등판에서 12승 4패, 평균자책점 2.74를 기록했다. 그는 2016년 MLB 드래프트 4라운드(전체 122위)에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 지명되었다.
2. Career
셰인 비버는 2016년 드래프트 이후 마이너리그에서 빠르게 성장하여 2018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했으며, 이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및 가디언스 소속으로 리그 최고의 투수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2.1. Minor league career
비버는 계약 후 마호닝 밸리 스크래퍼스에서 프로 데뷔를 했으며, 시즌 내내 팀에 머물며 24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0.38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레이크 카운티 캡틴스, 린치버그 힐캐츠, 애크런 러버덕스에서 뛰었으며, 세 팀을 합쳐 28번의 선발 등판에서 10승 5패, 평균자책점 2.86을 기록했다.
2018년 5월 25일, 비버는 콜럼버스 클리퍼스 소속으로 그위닛 스트라이퍼스를 상대로 7이닝 강우 콜드 게임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2.2. Major league career
2.2.1. Cleveland Indians (2018-2021)

인디언스는 2018년 5월 31일, 비버의 계약을 구매하고 그를 액티브 로스터에 추가했다. 그는 같은 날 저녁 미네소타 트윈스를 상대로 타깃 필드에서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5.2이닝 동안 4실점(모두 자책점) 8피안타 1볼넷 6탈삼진을 기록했으며, 인디언스는 9-8로 승리했다. 비버는 데뷔 시즌을 20경기(19선발)에서 11승 5패, 평균자책점 4.55, 118탈삼진으로 마쳤다.
2019년 시즌 초반 18경기(17선발)에서 7승 3패, 평균자책점 3.54를 기록하며, 클리블랜드의 프로그레시브 필드에서 열린 MLB 올스타전에 처음으로 올스타로 선정되었다. 그는 5회에 19개의 투구로 3자 연속 삼진을 잡아냈고, 아메리칸 리그가 4-3으로 승리했다. 그는 올스타전 최우수 선수상(MVP)을 수상했는데, 이는 산디 알로마 주니어와 페드로 마르티네스에 이어 홈구단 소속 선수로는 역대 세 번째 MVP 수상이었다. 비버는 이 시즌을 34경기(33선발)에서 15승 8패로 마쳤으며, 214.1이닝 동안 259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그는 이 시즌 처음으로 사이 영 상 투표에서 아메리칸 리그 4위를 차지하며 비약적인 발전을 보였다.
2020년 시즌에는 인디언스의 개막전 선발 투수로 나섰다. 2020년 7월 24일, 그는 프로그레시브 필드에서 캔자스시티 로열스를 상대로 6이닝 동안 14탈삼진을 기록하며 2-0 승리를 이끌었는데, 이는 개막전 선발 투수 최다 탈삼진 팀 신기록이었다. 다음 등판인 7월 30일 미네소타 트윈스전에서는 8이닝 동안 13탈삼진을 기록하며 시즌 첫 두 선발 등판에서 최다 탈삼진을 기록한 칼 스푸너와 타이 기록을 세웠다.
8월에 비버는 6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1.63, 57탈삼진을 기록했으며, 이 중 5경기는 두 자릿수 탈삼진을 기록했다. 시즌 50이닝을 넘기자 비버는 84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는데, 엘리아스 스포츠 뷰로에 따르면 이는 해당 이닝 동안 MLB 역사상 선발 투수로는 최다 기록이었다. 8월 말까지 그는 MLB에서 평균자책점(1.20), 탈삼진(84개), 승리(6승), 이닝(52.2이닝) 부문에서 선두를 달렸다. 그는 메이저리그 첫 월간 상인 아메리칸 리그 이달의 투수로 선정되었다. 비버는 미네소타전 62.1이닝 시점에서 100탈삼진에 도달했는데, 이는 2018년 맥스 슈어저의 63이닝을 넘어 MLB 역사상 단일 시즌 이닝 대비 최단 기간 100탈삼진 기록이었다.
2020년 시즌, 비버는 2011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저스틴 벌랜더 이후 처음으로 아메리칸 리그 투수 트리플 크라운 (8승, 평균자책점 1.63, 122탈삼진)을 달성하여 세 부문 모두에서 아메리칸 리그 1위에 올랐다. 그는 또한 WAR(3.2), 승률(.889), 9이닝당 최소 피안타(5.353), 9이닝당 탈삼진(14.198)에서도 아메리칸 리그를 이끌었다.
2020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에서 뉴욕 양키스를 상대로 비버는 4.2이닝 동안 9안타 7실점을 허용했고, 인디언스는 3-12로 패배했다. 2차전에서 9-10으로 패하며 3전 2선승제 시리즈에서 0-2로 탈락했다. 시즌 후, 비버는 AL 사이 영 상을 수상했다.
비버는 2021년 시즌 인디언스의 개막전 선발 투수로 나섰다. 4월 1일 타이거스와의 개막전에서 2년 연속 개막 선발 투수로 등판했다. MLB 역사상 최초로 개막 후 4경기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을 기록했으며, 3경기 시점에서는 역대 6번째였다. 6월 14일, 비버는 어깨 하견갑하근 긴장으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7월 25일 60일 부상자 명단으로 이관되었다. 이 시기에 점착성 물질 사용 금지로 인해 그의 커브볼과 슬라이더의 회전수가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7월 4일 선수 투표로 통산 두 번째 올스타에 선정되었지만, 부상으로 인해 출전을 철회했다. 3개월 이상을 결장한 후, 9월 24일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했다.
2.2.2. Cleveland Guardians (2022-present)
2022년 3월 22일, 비버는 연봉 조정을 피하며 가디언스와 600.00 만 USD 계약을 맺었다. 이 시즌 그는 13승 8패, 200이닝, 평균자책점 2.88을 기록했다. 시즌 후, 비버는 팀 동료인 스티븐 콴, 안드레스 히메네스, 마일즈 스트로와 함께 골드 글러브 상을 수상했다. 이는 한 시즌에 가디언스에서 4명의 골드 글러브 수상자가 나온 구단 최고 기록이었다. 그는 또한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투표에서 7위에 올랐다.
2023년 1월 13일, 비버는 연봉 조정을 피하며 2023년 시즌을 위해 가디언스와 1년, 1001.00 만 USD 계약에 합의했다. 7월 15일 팔꿈치 염증으로 15일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7월 24일 60일 부상자 명단으로 이관되었다. 9월 22일, 비버는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하여 그날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경기에 선발 투수로 나섰다.
2024년 시즌을 2승 0패, 0실점, 12이닝 동안 리그 최다인 20탈삼진으로 시작했다. 하지만 2024년 4월 6일, 비버가 팔꿈치 척골측부인대 재건을 위한 토미 존 수술을 받을 것이라고 발표되며 시즌을 마감하게 되었다. 2024년 12월 11일, 비버는 가디언스와 1년 메이저리그 계약을 다시 맺었으며, 2026년 시즌에 대한 선수 옵션이 포함되었다.
3. Player profile
셰인 비버의 투구 스타일은 주로 포심 패스트볼을 구사한다. 그의 포심 패스트볼은 평균 149 km/h (92.7 mph) (약 149.2 km/h)의 구속을 보이며 전체 투구의 약 60%를 차지한다. 그는 또한 슬라이더와 너클 커브, 그리고 체인지업을 섞어 던진다.
비버의 투구 메커니즘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는 투구 시 공이 몸에 숨겨져 있다가 릴리스 순간에 나타나는 형태로 공을 던진다. 이로 인해 공의 속도보다 타자들이 공을 치기 더 어렵게 느끼는 효과를 가져온다.
4. Personal life

셰인 비버는 오랫동안 교제해 온 여자친구 카라와 2021년 7월에 약혼했다. 두 사람은 2023년 1월 21일 말리부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야구 시즌 동안 비버는 클리블랜드 교외에 위치한 웨스트레이크, 오하이오주에 거주한다.
4.1. "Not Justin" anecdote
캐나다의 유명 가수 저스틴 비버와 성이 같다는 이유로, 클리블랜드의 투수 비버는 2019년 플레이어스 위크엔드에 자신의 별명을 "Not Justin"(저스틴 아님)으로 정했다. 이에 대해 저스틴 비버는 몇 주 뒤 "Not Shane Bieber"(셰인 비버 아님)라고 쓰인 특수 제작된 유니폼을 입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비버는 이후 저스틴에게 인디언스 유니폼을 선물하기도 했다. 같은 해, 톱스 야구 카드에는 실수로 비버의 등번호 뒤에 "Justin"이라는 이름이 인쇄되었고, 두 비버 모두 이 실수에 대해 트위터에서 농담을 주고받았다.
5. Awards and achievements
- 사이 영 상: 1회 (2020년)
- 골드 글러브 상 (투수 부문): 1회 (2022년)
- MLB 올스타전 MVP: 1회 (2019년)
- 홈구단 선수가 올스타전 MVP를 수상한 것은 산디 알로마 주니어, 페드로 마르티네스에 이어 역대 세 번째 기록.
- 아메리칸 리그 이달의 투수: 1회 (2020년 8월)
-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우수 투수: 1회 (2020년)
- 올 MLB 팀 퍼스트 팀 선발 투수: 1회 (2020년)
- 투수 트리플 크라운: 1회 (2020년)
- 최다 승리: 1회 (2020년)
- 최우수 방어율: 1회 (2020년)
- 최다 탈삼진: 1회 (2020년)
- MLB 올스타전 선정: 2회 (2019년, 2021년)
- 개막전 선발 투수: 5회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 단일 시즌 100탈삼진 최단 이닝 달성: 62.1이닝 (2020년, MLB 역사상 최단 기록)
- 개막 후 4경기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 기록 (2021년, MLB 역사상 최초 기록)
6. Career statistics
| 연 도 | 소 속 | 나 이 | 승 리 | 패 전 | 승 률 | 평 자 책 | 출 장 | 선 발 | 완 투 | 완 봉 | 세 이 브 | 홀 드 | 이 닝 | 피 안 타 | 피 홈 런 | 볼 넷 | 고 4 | 탈 삼 진 | 몸 맞 | 보 크 | 폭 투 | 실 점 | 자 책 | 타 자 수 | W H I P |
|---|---|---|---|---|---|---|---|---|---|---|---|---|---|---|---|---|---|---|---|---|---|---|---|---|---|
| 2018 | CLE | 23 | 11 | 5 | .688 | 4.55 | 20 | 19 | 0 | 0 | 0 | 0 | 114.2 | 130 | 13 | 23 | 0 | 118 | 2 | 0 | 5 | 60 | 58 | 485 | 1.33 |
| 2019 | 24 | 15 | 8 | .652 | 3.28 | 34 | 33 | 3 | 2 | 0 | 0 | 214.1 | 186 | 31 | 40 | 1 | 259 | 6 | 1 | 6 | 86 | 78 | 859 | 1.05 | |
| 2020 | 25 | 8 | 1 | .889 | 1.63 | 12 | 12 | 0 | 0 | 0 | 0 | 77.1 | 46 | 7 | 21 | 0 | 122 | 1 | 0 | 5 | 15 | 14 | 297 | 0.87 | |
| 2021 | 26 | 7 | 4 | .636 | 3.17 | 16 | 16 | 0 | 0 | 0 | 0 | 96.2 | 84 | 11 | 33 | 0 | 134 | 4 | 0 | 5 | 36 | 34 | 405 | 1.21 | |
| 2022 | 27 | 13 | 8 | .619 | 2.88 | 31 | 31 | 1 | 0 | 0 | 0 | 200.0 | 172 | 18 | 36 | 0 | 198 | 2 | 1 | 5 | 70 | 64 | 791 | 1.04 | |
| 2023 | 28 | 6 | 6 | .500 | 3.80 | 21 | 21 | 1 | 0 | 0 | 0 | 128.0 | 124 | 14 | 34 | 0 | 107 | 8 | 1 | 3 | 56 | 54 | 533 | 1.23 | |
| 2024 | 29 | 2 | 0 | 1.000 | 0.00 | 2 | 2 | 0 | 0 | 0 | 0 | 12.0 | 10 | 0 | 1 | 0 | 20 | 0 | 0 | 0 | 0 | 0 | 45 | 0.92 | |
| MLB 통산 (7년) | 62 | 32 | .660 | 3.22 | 136 | 134 | 5 | 2 | 0 | 0 | 843.0 | 752 | 94 | 188 | 1 | 958 | 23 | 3 | 29 | 323 | 302 | 3415 | 1.12 | ||
- 2024 시즌 종료 기준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
| 연 도 | 구 단 | 투수 (P) | |||||
|---|---|---|---|---|---|---|---|
| 경 기 | 자 살 | 도 움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
| 2018 | CLE | 20 | 6 | 5 | 0 | 1 | 1.000 |
| 2019 | 34 | 12 | 14 | 0 | 0 | 1.000 | |
| 2020 | 12 | 2 | 8 | 1 | 0 | .909 | |
| 2021 | 16 | 4 | 8 | 0 | 0 | 1.000 | |
| 2022 | 31 | 15 | 16 | 1 | 1 | .969 | |
| 2023 | 21 | 12 | 15 | 1 | 1 | .964 | |
| 2024 | 2 | 1 | 1 | 0 | 0 | 1.000 | |
| MLB 통산 | 136 | 52 | 67 | 3 | 3 | .975 | |
- 2024 시즌 종료 기준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
- 각 연도의 굵은 글씨 연도는 골드 글러브 상 수상 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