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사라 엘리자베스 휴스(Sarah Elizabeth Hughes사라 엘리자베스 휴스영어, 1985년 5월 2일~)는 미국의 전 피겨스케이팅 선수이다. 그녀는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여자 싱글 피겨스케이팅 금메달을 획득하며 큰 돌풍을 일으켰으며,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 피겨스케이팅 선수 경력 외에도 예일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로스쿨,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고등 교육을 이수하며 학업을 이어갔다. 또한 유방암 인식 개선 활동과 할렘 지역의 피겨스케이팅 지원 등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에 참여하며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2023년에는 미국 연방 하원 선거 출마를 시도하는 등 짧은 정치 경력도 가지고 있다.
2. Early life and education
사라 휴스는 1985년 5월 2일 뉴욕주 롱아일랜드의 교외 지역인 그레이트 넥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6남매 중 넷째이다. 아버지는 아일랜드계 캐나다인인 존 휴스로, 1969-70 시즌 무패를 기록한 코넬 대학교 아이스하키팀의 주장이었다. 어머니는 유대계 미국인인 에이미 파스터나크로, 유방암 생존자이다. 어머니의 경험은 사라 휴스가 유방암 인식 개선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녀는 제너럴 일렉트릭의 유방암 인식 개선 및 연구 캠페인 광고에 출연하여 "단 한 사람이라도 맘모그램을 받도록 설득할 수 있다면, 그것으로 무언가를 이룬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휴스는 또한 뉴욕시 할렘 지역의 소녀들에게 무료 아이스 스케이팅 강습과 학업 지도를 제공하는 '할렘 피겨스케이팅' 프로그램을 10년 이상 지원해 왔다.
사라 휴스는 3세에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그녀의 여동생 중 한 명인 에밀리 휴스 또한 피겨스케이팅 선수로,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7위를 기록했다. 그녀는 오피 앤 앤서니 라디오 쇼의 그레그 휴스의 사촌이기도 하다.
휴스는 그레이트 넥 노스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2003년에는 예일 대학교에 입학하여 티모시 드와이트 칼리지에서 공부했다. 2009년 5월 25일 예일 대학교를 졸업하며 미국 정치와 커뮤니티를 집중적으로 연구한 미국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8년 5월 15일에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했다. 2023년 5월 기준으로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위를 취득 중이었다. 2011년에는 전 뉴욕시 시장 루디 줄리아니의 아들인 앤드루 줄리아니와 교제하기도 했다.
3. Skating career
사라 휴스는 주니어 시절부터 시니어 선수 시절까지 피겨스케이팅 경력을 쌓았다. 로빈 와그너는 1994년부터 그녀의 안무를 맡았고, 1998년 1월부터는 그녀의 헤드 코치가 되었다. 2001년 9월 7일, 휴스는 16세의 나이로 당시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이었던 콘돌리자 라이스를 만났다. 2002년 올림픽 개막 일주일 전, 그녀는 타임지 표지 모델로 등장하기도 했다.
3.1. Junior career
사라 휴스는 1997-1998 시즌에 1998년 미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이듬해 시즌에는 ISU 주니어 그랑프리에 출전하여 1998-1999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1998년 11월에 개최된 1999년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도 은메달을 차지했다.
3.2. Senior career
1999년 미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시니어 데뷔를 하여 4위를 기록했다. 당시 국제빙상연맹 규정상 4위는 1999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출전할 수 있는 세 자리 중 하나를 받을 수 없었으나, 2위였던 나오미 나리 남이 연령 제한으로 출전 자격이 없었고,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선수에 대한 예외 규정이 있어 휴스는 시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할 수 있었다. 그녀는 시니어 데뷔전에서 7위를 기록했다.
1999-2000 시즌에는 ISU 그랑프리 시리즈에 데뷔하여 1999년 트로피 라리크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 미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차지했으며, 당시 트리플 살코-트리플 루프 콤비네이션 점프를 성공시킨 것으로 인정받았다. 2000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에 올랐다.
2000-2001 시즌에는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세 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2000-2001 ISU 피겨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1년 미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차지했고, 2001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1-2002 시즌에도 그랑프리 시리즈에 참가하여 2001년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우승했고, 다른 두 대회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그녀는 ISU 피겨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두 시즌 연속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02년 미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2002년 동계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 그녀는 2002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2002-2003 시즌에는 2003년 미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3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6위에 올랐다.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아마추어 대회에는 더 이상 출전하지 않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3.3. 2002 Winter Olympics

사라 휴스는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는데, 이는 피겨스케이팅 역사상 가장 큰 이변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당시 그녀는 대회에서 가장 어린 스케이터였으며, 팀 동료 미셸 콴과 러시아의 이리나 슬루츠카야와 같은 유력 우승 후보들을 진지하게 위협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았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4위에 그쳐 자력 우승은 불가능해 보였다.
하지만 프리 스케이팅에서 휴스는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4분 프리 스케이팅에서 두 번의 트리플 점프-트리플 점프 콤비네이션(트리플 살코-트리플 루프, 트리플 토루프-트리플 루프)을 성공시킨 여자 선수로 기록되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휴스보다 앞서 있었던 미셸 콴, 이리나 슬루츠카야, 사샤 코헨 세 선수 모두 프리 스케이팅에서 결정적인 실수를 범하면서 휴스가 금메달을 차지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그녀의 러츠 점프에 일부 결함이 있었지만, 난이도 높은 점프 콤비네이션의 성공과 함께 예술성, 평균 이상의 엣지 퀄리티, 그리고 넓은 얼음 커버리지가 결합되어 그녀를 "강력한 올라운드 스케이터"로 자리매김하게 했고, 이는 그녀의 금메달 획득을 확실히 했다.
4. Skating technique
사라 휴스는 트리플 루프-트리플 루프, 트리플 살코-트리플 루프, 트리플 토루프-트리플 루프 등 다양한 트리플-트리플 점프 콤비네이션을 구사했다. 그녀는 또한 백 스파이럴에서 시작하여 연결하는 트리플 루프 점프를 자주 선보였다. 그녀는 엣지 변경이 있는 카멜 스핀과 스파이럴 자세로도 잘 알려져 있었다. 대부분의 스케이터와 달리, 그녀는 점프와 스핀을 시계 방향으로 실행했다.
5. Post-skating career and later life
선수 은퇴 후 사라 휴스는 다양한 학업 활동과 사회 공헌 활동을 이어갔다. 2004-2005년에는 대학을 휴학하고 스머커스 스타즈 온 아이스 투어에 참여하여 프로 스케이터로 활동했다.
5.1. Hig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life
피겨스케이팅 은퇴 후, 휴스는 학업에 전념했다. 2003년 예일 대학교에 입학하여 2009년 5월 25일에 미국 정치와 커뮤니티를 전공한 미국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며 졸업했다. 이후 2018년 5월 15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했다. 2023년 5월 기준으로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위를 취득 중이었다.
5.2. Advocacy and public activities
사라 휴스는 유방암 생존자인 어머니의 경험을 바탕으로 유방암 인식 개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녀는 제너럴 일렉트릭의 유방암 인식 및 연구 캠페인 광고에 출연하여 대중에게 유방암 검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뉴욕시 할렘 지역의 소녀들에게 무료 아이스 스케이팅 강습과 학업 지도를 제공하는 '할렘 피겨스케이팅' 프로그램을 10년 이상 꾸준히 지원해 왔다.
5.3. Political activities
2023년 5월 15일, 사라 휴스는 미국 민주당 소속으로 뉴욕주 제4선거구 연방 하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한 서류를 제출했다. 그러나 그녀는 같은 해 9월 9일에 선거 출마를 철회했다.
6. Awards and honors
사라 휴스는 2002년 올림픽 우승 후 고향인 그레이트 넥에서 대대적인 환영 퍼레이드를 받았다. 이 행사에는 미국 상원의원 힐러리 클린턴과 척 슈머, 그리고 뉴욕주 주지사 조지 파타키 등 저명한 인사들이 참석했다. 힐러리 클린턴은 행사에서 연설하며 이날을 '사라 휴스의 날'로 선포했다.
그녀는 미국의 최고 아마추어 선수에게 수여되는 제임스 E. 설리번상을 수상했다. 이로써 그녀는 딕 버튼(1949년)과 미셸 콴(2001년)에 이어 세 번째로 이 상을 수상한 피겨스케이팅 선수가 되었다. 2005년에는 국제 유대인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리처드 크라비엑은 그녀의 전기인 "돌연한 챔피언: 사라 휴스 이야기 (Sudden Champion: The Sarah Hughes Story)"를 2002년에 집필했다.
7. Programs
시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갈라 | ||||||||||||||||||||||||||||||||||||||||||||||||||||||||||||||||||||||||||||||||||||||||||||||||||||||||||||||||||||||||||||
---|---|---|---|---|---|---|---|---|---|---|---|---|---|---|---|---|---|---|---|---|---|---|---|---|---|---|---|---|---|---|---|---|---|---|---|---|---|---|---|---|---|---|---|---|---|---|---|---|---|---|---|---|---|---|---|---|---|---|---|---|---|---|---|---|---|---|---|---|---|---|---|---|---|---|---|---|---|---|---|---|---|---|---|---|---|---|---|---|---|---|---|---|---|---|---|---|---|---|---|---|---|---|---|---|---|---|---|---|---|---|---|---|---|---|---|---|---|---|---|---|---|---|---|---|---|---|---|
2002-2003 |
>
| | ||||||||||||||||||||||||||||||||||||||||||||||||||||||||||||||||||||||||||||||||||||||||||||||||||||||||||||||||||||||||||||||
2001-2002 |
>
| | ||||||||||||||||||||||||||||||||||||||||||||||||||||||||||||||||||||||||||||||||||||||||||||||||||||||||||||||||||||||||||||||
2000-2001 |
>
| | ||||||||||||||||||||||||||||||||||||||||||||||||||||||||||||||||||||||||||||||||||||||||||||||||||||||||||||||||||||||||||||||
1999-2000 |
>
| 비틀즈 메들리:
|} |
국제 대회 | ||||||
---|---|---|---|---|---|---|
대회 | 1997-98 | 1998-99 | 1999-00 | 2000-01 | 2001-02 | 2002-03 |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 1위 | |||||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7위 | 5위 | 3위 | 불참 | 6위 | |
그랑프리 파이널 | 3위 | 3위 | ||||
컵 오브 러시아 | 3위 | |||||
스케이트 아메리카 | 4위 | 2위 | 2위 | |||
스케이트 캐나다 | 1위 | |||||
스파르카센 컵 | 2위 | |||||
트로피 라리크 | 3위 | 2위 | ||||
카를 셰퍼 메모리얼 | 1위 | |||||
국제 주니어 대회 | ||||||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위 | |||||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2위 | |||||
주니어 그랑프리 헝가리 | 2위 | |||||
주니어 그랑프리 멕시코 | 2위 | |||||
국내 대회 | ||||||
미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위 J | 4위 | 3위 | 2위 | 3위 | 2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