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베티 마틸데 헤닝스(Betty Mathilde Hennings덴마크어, 결혼 이전의 성: 슈넬(Schnell덴마크어))은 1850년부터 1939년까지 활동했던 덴마크의 저명한 배우였다. 원래 덴마크 왕립극장의 발레 무용수로 경력을 시작했으나, 1870년에 연극 배우로 전향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녀는 특히 헨리크 입센의 희곡들에서 보여준 인상적인 연기로 명성을 얻었으며, 대표적으로 《인형의 집》의 노라 역할로 잘 알려져 있다. 1908년에 은퇴할 당시에는 '왕립극장의 첫 번째 여인'으로 찬사받으며 덴마크 연극계에 깊은 족적을 남겼다.

2. 초기 생애 및 배경
베티 헤닝스는 어린 시절부터 예술적 재능을 보이며 덴마크 왕립극장에서 발레 훈련을 받았다. 이러한 초기 교육은 그녀가 훗날 연극 배우로서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이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2.1. 출생 및 가족
베티 마틸데 슈넬은 1850년 10월 26일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재단사 스티 예르겐 슈넬(Stig Jørgen Schnell, 1816년~1870년)이었고, 어머니는 레기네 소피 도로테아 슈미트(Regine Sophie Dorothea Schmidt, 1819년~1881년)였다. 1877년 7월 25일, 그녀는 음악 출판인이자 작곡가인 헨리크 헤닝스와 결혼하여 베티 헤닝스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2.2. 교육 및 초기 훈련
그녀는 덴마크 왕립극장에서 발레 무용수로 훈련을 받았다. 특히 저명한 발레 마스터 오귀스트 부르노빌(August Bournonville프랑스어)의 지도를 받으며 그의 재능을 인정받았다. 부르노빌은 그녀에게 《민담》의 힐데 역과 같은 주요 역할을 맡겼고, 1869년에는 그녀를 솔로 무용수로 승격시키기도 했다.
3. 경력
베티 헤닝스는 발레 무용수로서의 재능을 인정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연극 무대로의 전환을 선택하며 덴마크 연극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그녀의 연기 경력은 다채로운 역할과 수많은 공연으로 채워져 있다.
3.1. 연기 활동으로의 전환
발레 무용수로서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받던 베티 헤닝스는 극작가 프레데리크 회트의 제안을 받아 연극 배우가 되었다. 그녀는 발레 무용수로서의 경력보다 무대 위에서 좀 더 여유로운 연기를 선호했기에 그의 제안을 받아들이기로 결심했다. 1870년, 그녀는 몰리에르의 희곡 《아내들의 학교》에서 아녜스 역을 맡으며 연극 무대에 데뷔했다.
3.2. 주요 연극 역할
연기 경력이 무르익으면서 베티 헤닝스는 여러 헨리크 입센의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그녀는 특히 《인형의 집》의 노라, 《들오리》의 헤드비그, 《헤다 가블레르》의 타이틀 롤인 헤다 테스만, 그리고 《바다의 여인》의 엘리다 역을 통해 깊이 있는 연기를 선보였다. 또한 그녀는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 홀게르 드라흐만, 군나르 헤이베르그와 같은 다른 북유럽 작가들의 작품에도 출연했다. 이 외에도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비극 《햄릿》에서는 오필리아 역을 맡았고, 이후에는 거트루드 왕비 역을 연기하기도 했다. 프리드리히 실러의 《마리아 슈투아르트》에서도 타이틀 롤을 맡는 등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말년에는 입센의 희곡에서 더욱 원숙한 역할을 맡았으며, 구스타프 비드의 《스케름위슬러(Skærmydsler덴마크어)》에서는 클라라 역을 연기했다.
3.3. 공연 이력
베티 헤닝스는 1870년부터 1908년 은퇴할 때까지 덴마크 왕립극장과 오덴세 극장에서 총 170개 역할로 약 3,000회에 달하는 공연을 소화했다. 그녀의 주요 공연 이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공연명 | 역할 | 극장 |
---|---|---|---|
1861 | Julestuen | Anne | 덴마크 왕립극장 |
1861 | Ludlams hule | Betty | 덴마크 왕립극장 |
1865 | Julestuen | Marie | 덴마크 왕립극장 |
1867 | Købmanden i Venedig | Jessica, Shylocks datter | 덴마크 왕립극장 |
1870 | Fruentimmerskolen | Agnete | 덴마크 왕립극장 |
1871 | Fejltagelserne | Frøken Trine | 덴마크 왕립극장 |
1873 | Pernilles korte frøkenstand | Leonora | 덴마크 왕립극장 |
1874 | Det lykkelige skibbrud | Pige | 덴마크 왕립극장 |
1875 | Henrik og Pernille | Leonore | 덴마크 왕립극장 |
1876 | Maskerade | Leonora | 덴마크 왕립극장 |
1877 | 야콥 폰 티보 | Lucilia | 덴마크 왕립극장 |
1878 | Fruentimmerskolen | Agnete | 덴마크 왕립극장 |
1878 | Henrik og Pernille | Leonore | 덴마크 왕립극장 |
1879 | Et dukkehjem | Nora, Helmers hustru | 덴마크 왕립극장 |
1879 | Pernilles korte frøkenstand | Leonora | 덴마크 왕립극장 |
1880 | 변덕쟁이 여인 | Leonora | 덴마크 왕립극장 |
1880 | Stor staahej for ingenting | Hero | 덴마크 왕립극장 |
1882 | Den forvandlede brudgom | Leonora | 덴마크 왕립극장 |
1884 | 정치적인 주석공 | Raadsherreinde | 덴마크 왕립극장 |
1884 | 불안한 사람 | Leonore | 덴마크 왕립극장 |
1884 | 햄릿 | Ophelia | 덴마크 왕립극장 |
1884 | Maskerade | Leonora | 덴마크 왕립극장 |
1884 | Ulysses von Ithacia | Iris | 덴마크 왕립극장 |
1885 | Den politiske kandestøber | Raadsherreinde | 덴마크 왕립극장 |
1885 | 들오리 | Hedvig | 덴마크 왕립극장 |
1888 | Barselstuen | Barselskone | 덴마크 왕립극장 |
1888 | Den politiske kandestøber | Raadsherreinde | 덴마크 왕립극장 |
1889 | Pernilles korte frøkenstand | Leonora | 덴마크 왕립극장 |
1891 | 헤다 가블레르 | Hedda Tesman | 덴마크 왕립극장 |
1893 | Bygmester Solness | Hilde Wangel | 덴마크 왕립극장 |
1893 | Et vintereventyr | Hermione | 덴마크 왕립극장 |
1895 | Lille Eyolf | Asta Allmers | 덴마크 왕립극장 |
1897 | John Gabriel Borkman | Ella Rentheim | 덴마크 왕립극장 |
1900 | Naar vi døde vaagner | Irene | 덴마크 왕립극장 |
1900 | Richard III | Elisabeth | 덴마크 왕립극장 |
1901 | Kong Lear | 덴마크 왕립극장 | |
1901 | Skærmydsler | Clara | 덴마크 왕립극장 |
1903 | Et vintereventyr | Hermione | 덴마크 왕립극장 |
1905 | Gengangere | Fru Helene Alving | 덴마크 왕립극장 |
1908 | Tunge veje | Fra Wedekind | 덴마크 왕립극장 |
1910 | 햄릿 | Dronning Gertrud | 덴마크 왕립극장 |
1918 | Det gamle hjem | Urania, Rabes datter | 오덴세 극장 |
1918 | Gengangere | Fru Helene Alving | 오덴세 극장 |
1918 | Hvor man keder sig | Hertuginden af Reville | 오덴세 극장 |
1921 | Moderen | Moderen | 덴마크 왕립극장 |
1922 | Det gamle hjem | Urania, Rabes datter | 덴마크 왕립극장 |
4. 은퇴 및 활동 마무리
베티 헤닝스는 1908년에 연극계에서 은퇴했다. 그녀는 은퇴 당시 덴마크 왕립극장의 '첫 번째 여인'으로 널리 찬사받았다. 이는 그녀가 발레 무용수에서 성공적인 연극 배우로 전향하며 쌓아 올린 독보적인 경력과 예술적 기여를 인정하는 의미였다. 그녀의 은퇴는 덴마크 연극계에 큰 아쉬움을 남겼다.
5. 사망
베티 헤닝스는 1939년 10월 27일 겐토프테 시에서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녀의 사망은 덴마크 연극계의 한 시대를 마감하는 것이었다.
6. 평가 및 유산
베티 헤닝스는 덴마크 연극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헨리크 입센의 작품에서 복잡하고 심리적인 역할을 완벽하게 소화해내며, 덴마크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명성을 얻었다. 그녀는 발레 무용수로서의 엄격한 훈련을 바탕으로 섬세하고 깊이 있는 연기를 선보였으며, 이는 덴마크 연극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총 170개 역할로 거의 3,000회에 달하는 공연을 펼친 그녀의 활발한 활동은 후대 배우들에게도 큰 영감을 주었으며, 그녀는 덴마크 연극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배우로 기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