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Amateur Career
로버트 앤드루 위트 시니어는 1964년 5월 11일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태어났다. 그는 매사추세츠주 캔턴에서 성장했으며 캔턴 고등학교(Canton High School)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오클라호마 대학교에 진학하여 대학 야구 선수로 활동했다. 1983년에는 케이프 코드 베이스볼 리그의 Chatham A's영어 팀에서 서머 리그 야구를 경험하기도 했다.
위트 시니어는 1982년 메이저리그 드래프트에서 신시내티 레즈에 7라운드 지명을 받았으나 계약하지 않고 대학에 진학했다. 이후 1985년 메이저리그 드래프트에서 텍사스 레인저스의 1라운드 전체 3순위 지명을 받아 프로에 입단했다.
2. Professional Career
위트 시니어는 1985년 텍사스 레인저스에 입단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마이너 리그에서는 단 한 경기도 승리하지 못했지만, 1986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하자마자 첫 승리를 거두는 등 독특한 시작을 보였다. 그의 투구 스타일은 빠른 공을 바탕으로 했지만, 제구력에 약점을 보여 경력 내내 볼넷과 폭투가 많았다. 이로 인해 텍사스주 알링턴의 워터파크 "웻 앤 와일드(Wet 'n Wild영어)"를 빗대어 "위트 앤 와일드(Witt 'n Wild영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그는 경력 동안 세 차례 리그 최다 볼넷을 기록했고, 두 차례 최다 폭투를 기록했다.
2.1. Texas Rangers (First Stint)

위트 시니어는 1986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하여 텍사스 레인저스의 선발 투수로 31경기에 등판해 11승 9패를 기록했다. 데뷔 시즌에 157과 2/3이닝 동안 리그 최다인 143개의 볼넷을 허용하며 제구력 문제를 노출했다. 이듬해인 1987년에도 143이닝 동안 140개의 볼넷으로 리그 최다를 기록했다.
1987년 8월 2일, 그는 한 이닝에 4명의 타자를 삼진 처리하는 진기록을 달성했다. 또한 메이저리그 데뷔 후 첫 완투를 기록하기까지 55경기 연속으로 선발 등판했으나 완투를 기록하지 못하며 메이저리그 최악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1988년 시즌 초반에는 부진으로 마이너 리그로 강등되는 아픔을 겪었으나, 재승격 후 급성장하여 9경기 연속 완투를 기록하며 당시 팀 기록에 근접했다.
1990년은 위트 시니어의 경력 중 최고의 시즌으로, 17승 10패와 3.36의 평균자책점(ERA)을 기록했다. 이는 그의 경력 중 가장 낮은 ERA였다. 또한 222이닝 동안 221개의 삼진을 잡아내며 뛰어난 탈삼진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는 1990년 7월 이달의 투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1990년에는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 투수로는 구단 기록인 원정 경기 7연승을 달성했는데, 이 기록은 2009년 스콧 펠드먼이 달성하기 전까지 깨지지 않았다. 그는 1992년 시즌 중반까지 레인저스에서 활약했으며, 이후 호세 칸세코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제프 러셀, 루벤 시에라와 함께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이적했다.
2.2. Oakland Athletics
1992년 시즌 중반부터 1994년까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소속으로 23승 24패를 기록했다. 1994년에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개막전 선발 투수로 등판하기도 했다.
1994년 6월 23일, 캔자스시티 로열스를 상대로 노히트 노런에 근접한 경기를 펼쳤다. 그는 6회 그레그 가니에의 번트 플레이에서 1루심 게리 시더스트롬의 오심으로 인해 출루를 허용하며 퍼펙트 게임이 무산되었다. 리플레이에서는 가니에가 아웃이었음이 드러났다. 위트 시니어는 이 경기에서 단 1안타만을 허용하고 볼넷 없이 14개의 삼진을 잡아내며 완봉승을 거두었다. 1994년 메이저리그 파업으로 시즌이 중단되면서 그는 시즌 후 자유계약선수가 되어 플로리다 말린스와 계약했다.
2.3. Florida Marlins
1995년 위트 시니어는 플로리다 말린스와 1년 계약을 맺고 시즌을 시작했다. 그는 플로리다에서 시즌의 절반을 소화했으며, 2승 7패를 기록했다. 비록 승수는 적었지만, 3.90의 평균자책점과 1.40 미만의 WHIP를 기록하며 준수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1995년 8월 8일, 와일드카드 경쟁 중이던 옛 소속팀 텍사스 레인저스로 다시 트레이드되었다. 이 트레이드에는 두 명의 추후 지명 선수(그중 한 명은 스캇 포드세드닉)가 포함되어 있었다.
2.4. Texas Rangers (Second Stint)
1995년 시즌 중반 텍사스 레인저스로 돌아온 위트 시니어는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레인저스 소속으로 36승 32패를 기록했다. 1996년은 이 기간 중 그의 최고의 시즌으로, 5.41의 높은 평균자책점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타선의 지원을 받아 16승 12패를 기록하며 레인저스의 구단 최초 지구 우승에 기여했다. 그러나 팀은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 뉴욕 양키스에 패배했다.
1997년 6월 30일, 그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상대로 한 인터리그 경기에서 이시마엘 발데스를 상대로 홈런을 터뜨렸다. 이 홈런은 1972년 10월 3일 로릭 해리슨 이후 처음으로 아메리칸 리그 투수가 기록한 홈런이었으며, 동시에 정규 시즌 인터리그 경기에서 홈런을 친 최초의 아메리칸 리그 투수로 기록되었다. 그가 이 홈런을 쳤던 야구 방망이는 현재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소장되어 있다.
2.5. Final Years and World Series Championship
1998년 시즌 중반, 위트 시니어는 텍사스 레인저스에서의 부진으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로 트레이드되었다. 그는 카디널스에서 17경기에 출전했으며, 그중 5경기만 선발 등판했다.
1999년에는 탬파베이 데블레이스에서 7승 15패와 5.82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그의 경력 중 가장 좋지 않은 시즌을 보냈다. 2000년에는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소속으로 부상 때문에 7경기 등판(15이닝)에 그쳤다.
2001년은 위트 시니어의 마지막 메이저리그 시즌이었다. 그는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소속으로 14경기에 출전(7경기 선발 등판)하여 4승 1패를 기록했다. 그는 2001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2차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경기에 8회 등판하여 0.1이닝 동안 3안타 1실점을 기록했다. 그의 다음 등판은 생애 첫 월드 시리즈 경기이자 그의 마지막 메이저리그 경기가 되었다. 2001년 월드 시리즈 6차전, 다이아몬드백스가 뉴욕 양키스에 15대 2로 크게 앞서던 8회에 랜디 존슨의 뒤를 이어 등판했다. 그는 볼넷 하나를 허용한 뒤 셰인 스펜서를 삼진 처리하며 이닝을 마쳤고, 이후 트로이 브로혼이 9회에 등판했다.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는 다음 경기에서 승리하며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월드 시리즈 우승 직후 위트 시니어는 현역에서 은퇴했다.
3. Playing Style and Characteristics
보비 위트 시니어는 경력 내내 빠른 강속구로 알려진 우완 투수였다. 그의 강점은 1990년에 221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보여준 뛰어난 탈삼진 능력에 있었다. 그러나 그의 투구 스타일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제구력 문제였다. 그는 메이저리그 경력 동안 세 차례 리그 최다 볼넷을 기록했으며, 두 차례 최다 폭투를 기록하는 등 불안정한 제구력을 보였다. 이로 인해 텍사스 레인저스 시절에는 "위트 앤 와일드(Witt 'n Wild영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이러한 제구력 문제는 그의 통산 평균자책점이 4.83, WHIP가 1.57에 달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4. Achievements and Records
-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야구 은메달 (미국 국가대표팀)
- 이달의 투수: 1회 (1990년 7월)
- 1이닝 4탈삼진 (1987년 8월 2일)
- 아메리칸 리그 투수 최초 인터리그 홈런 (1997년 6월 30일)
- 월드 시리즈 우승 (2001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텍사스 레인저스 구단 기록: 원정 경기 7연승 (1990년, 2009년 스콧 펠드먼과 타이기록)
- 메이저리그 기록: 데뷔 후 55경기 연속 선발 등판 완투 없음 (당시 메이저리그 최악 기록)
5. 상세 기록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을 나타냄.
5.1.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팀 | 경기 | 선발 | 완투 | 완봉 | 세이브 | 승 | 패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 사구 | 폭투 | 삼진 | 병살타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1986 | TEX | 31 | 31 | 0 | 0 | 0 | 11 | 9 | 0 | .550 | 741 | 157.2 | 130 | 18 | 143 | 2 | 3 | 174 | 22 | 3 | 104 | 96 | 5.48 | 1.73 | |
1987 | TEX | 26 | 25 | 1 | 0 | 0 | 8 | 10 | 0 | .444 | 673 | 143.0 | 114 | 10 | 140 | 1 | 3 | 160 | 7 | 2 | 82 | 78 | 4.91 | 1.78 | |
1988 | TEX | 22 | 22 | 13 | 2 | 0 | 8 | 10 | 0 | .444 | 736 | 174.1 | 134 | 13 | 101 | 2 | 1 | 148 | 16 | 8 | 83 | 76 | 3.92 | 1.35 | |
1989 | TEX | 31 | 31 | 5 | 1 | 0 | 12 | 13 | 0 | .480 | 869 | 194.1 | 182 | 14 | 114 | 3 | 2 | 166 | 7 | 4 | 123 | 111 | 5.14 | 1.52 | |
1990 | TEX | 33 | 32 | 7 | 1 | 0 | 17 | 10 | 0 | .630 | 954 | 222.0 | 197 | 12 | 110 | 3 | 4 | 221 | 11 | 2 | 98 | 83 | 3.36 | 1.38 | |
1991 | TEX | 17 | 16 | 1 | 1 | 0 | 3 | 7 | 0 | .300 | 413 | 88.2 | 84 | 4 | 74 | 1 | 1 | 82 | 8 | 0 | 66 | 60 | 6.09 | 1.78 | |
1992 | TEX | 25 | 25 | 0 | 0 | 0 | 9 | 13 | 0 | .409 | 708 | 161.1 | 152 | 14 | 95 | 1 | 2 | 100 | 6 | 1 | 87 | 80 | 4.46 | 1.53 | |
1992 | OAK | 6 | 6 | 0 | 0 | 0 | 1 | 1 | 0 | .500 | 140 | 31.2 | 31 | 2 | 19 | 1 | 0 | 25 | 3 | 0 | 12 | 12 | 3.41 | 1.58 | |
1992 합계 | 31 | 31 | 0 | 0 | 0 | 10 | 14 | 0 | .417 | 848 | 193.0 | 183 | 16 | 114 | 2 | 2 | 125 | 9 | 1 | 99 | 92 | 4.29 | 1.54 | ||
1993 | OAK | 35 | 33 | 5 | 1 | 0 | 14 | 13 | 0 | .519 | 950 | 220.0 | 226 | 16 | 91 | 5 | 3 | 131 | 8 | 1 | 112 | 103 | 4.21 | 1.44 | |
1994 | OAK | 24 | 24 | 5 | 3 | 1 | 8 | 10 | 0 | .444 | 618 | 135.2 | 151 | 22 | 70 | 4 | 5 | 111 | 6 | 1 | 88 | 76 | 5.04 | 1.63 | |
1995 | FLA | 19 | 19 | 1 | 0 | 0 | 2 | 7 | 0 | .222 | 472 | 110.2 | 104 | 8 | 47 | 1 | 2 | 95 | 2 | 0 | 52 | 48 | 3.90 | 1.36 | |
1995 | TEX | 10 | 10 | 1 | 0 | 0 | 3 | 4 | 0 | .429 | 276 | 61.1 | 81 | 4 | 21 | 1 | 1 | 46 | 5 | 0 | 35 | 31 | 4.55 | 1.66 | |
1995 합계 | 29 | 29 | 2 | 0 | 0 | 5 | 11 | 0 | .313 | 748 | 172.0 | 185 | 12 | 68 | 2 | 3 | 141 | 7 | 0 | 87 | 79 | 4.13 | 1.47 | ||
1996 | TEX | 33 | 32 | 2 | 0 | 0 | 16 | 12 | 0 | .571 | 903 | 199.2 | 235 | 28 | 96 | 3 | 2 | 157 | 4 | 1 | 129 | 120 | 5.41 | 1.66 | |
1997 | TEX | 34 | 32 | 3 | 0 | 0 | 12 | 12 | 0 | .500 | 919 | 209.0 | 245 | 33 | 74 | 4 | 2 | 121 | 7 | 0 | 118 | 112 | 4.82 | 1.53 | |
1998 | TEX | 14 | 13 | 0 | 0 | 0 | 5 | 4 | 0 | .556 | 329 | 69.1 | 95 | 14 | 33 | 1 | 0 | 30 | 2 | 1 | 62 | 59 | 7.66 | 1.85 | |
1998 | STL | 17 | 5 | 0 | 0 | 0 | 2 | 5 | 0 | .286 | 217 | 47.1 | 55 | 7 | 20 | 1 | 2 | 28 | 1 | 1 | 32 | 26 | 4.94 | 1.59 | |
1998 합계 | 31 | 18 | 0 | 0 | 0 | 7 | 9 | 0 | .438 | 546 | 116.2 | 150 | 21 | 53 | 2 | 2 | 58 | 3 | 2 | 94 | 85 | 6.56 | 1.74 | ||
1999 | TB | 32 | 32 | 3 | 2 | 0 | 7 | 15 | 0 | 0 | .318 | 815 | 180.1 | 213 | 23 | 96 | 1 | 3 | 123 | 9 | 1 | 130 | 117 | 5.84 | 1.71 |
2000 | CLE | 7 | 2 | 0 | 0 | 0 | 0 | 1 | 0 | 0 | .000 | 77 | 15.1 | 28 | 4 | 6 | 1 | 0 | 6 | 2 | 0 | 13 | 13 | 7.63 | 2.22 |
2001 | ARI | 14 | 7 | 0 | 0 | 0 | 4 | 1 | 0 | 3 | .800 | 193 | 43.1 | 36 | 6 | 25 | 1 | 3 | 31 | 2 | 0 | 23 | 23 | 4.78 | 1.41 |
MLB 총계 (16시즌) | 430 | 397 | 47 | 11 | 1 | 142 | 157 | 0 | .475 | 11003 | 2465.0 | 2493 | 252 | 1375 | 37 | 39 | 1955 | 128 | 26 | 1449 | 1324 | 4.83 | 1.57 |
- "-" 표시는 기록 없음.
5.2. 연도별 수비 성적
연도 | 팀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1986 | TEX | 31 | 8 | 20 | 3 | 1 | .903 |
1987 | TEX | 26 | 8 | 17 | 0 | 1 | 1.000 |
1988 | TEX | 22 | 15 | 15 | 4 | 2 | .882 |
1989 | TEX | 31 | 13 | 22 | 1 | 1 | .972 |
1990 | TEX | 33 | 18 | 18 | 5 | 2 | .878 |
1991 | TEX | 17 | 7 | 6 | 2 | 1 | .867 |
1992 | TEX | 25 | 14 | 16 | 1 | 1 | .968 |
1992 | OAK | 6 | 0 | 4 | 0 | 1 | 1.000 |
1992 합계 | 31 | 14 | 20 | 1 | 2 | .971 | |
1993 | OAK | 35 | 12 | 39 | 3 | 5 | .944 |
1994 | OAK | 24 | 7 | 13 | 4 | 2 | .833 |
1995 | FLA | 19 | 7 | 15 | 0 | 0 | 1.000 |
1995 | TEX | 10 | 1 | 6 | 0 | 0 | 1.000 |
1995 합계 | 29 | 8 | 21 | 0 | 0 | 1.000 | |
1996 | TEX | 33 | 10 | 28 | 1 | 3 | .974 |
1997 | TEX | 34 | 10 | 27 | 1 | 2 | .974 |
1998 | TEX | 14 | 2 | 3 | 2 | 0 | .714 |
1998 | STL | 17 | 3 | 9 | 0 | 2 | 1.000 |
1998 합계 | 31 | 5 | 12 | 2 | 2 | .895 | |
1999 | TB | 32 | 12 | 27 | 3 | 4 | .929 |
2000 | CLE | 7 | 0 | 3 | 0 | 0 | 1.000 |
2001 | ARI | 14 | 1 | 6 | 0 | 0 | 1.000 |
MLB 총계 | 430 | 148 | 294 | 30 | 28 | .936 |
6. Personal Life
보비 위트 시니어는 매사추세츠주 캔턴에서 성장했으며, 캔턴 고등학교(Canton High School)를 졸업했다. 2015년 4월 기준으로 그는 아내와 네 명의 자녀와 함께 텍사스주 콜리빌에 거주하며 스포츠 에이전트로 활동했다.
그의 아들인 보비 위트 주니어는 2019년 메이저리그 드래프트에서 전체 2순위로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지명되어 입단하며 주목받았다. 그의 장녀 니키는 전 메이저리그 선수 제임스 러셀과 결혼했다. 차녀 키아나는 전 메이저리그 선수 잭 닐과 결혼했으며, 삼녀 셰일리는 전 메이저리그 선수 코디 토마스와 결혼했다. 이처럼 보비 위트 시니어의 자녀들 또한 야구계와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