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데니스 나이트(Dennis Knight데니스 나이트영어, 1968년 12월 26일 ~ )는 미국의 셰프이자 은퇴한 프로레슬러이다. 그는 1992년부터 1994년까지 WCW에서 텍스 슬레진져(Tex Slazenger텍스 슬레진져영어)라는 링네임으로, 1996년부터 2001년까지 WWF (현 WWE)에서 피니어스 I. 갓윈(Phineas I. Godwinn피니어스 I. 갓윈영어), 미디언(Mideon미디언영어) 등의 링네임과 본명으로 활동하며 잘 알려졌다. 프로레슬링 은퇴 후에는 셰프로서 새로운 경력을 시작했다.
2. 초기 생애
데니스 나이트는 미국 플로리다주 탬파베이 지역의 클리어워터에서 성장했다. 그는 웨스트버지니아주 세일럼에 위치한 세일럼 대학교에 재학하며 타이거스 미식축구팀에서 선수로 활약했다. 심각한 어깨 부상을 입은 후, 나이트는 세일럼 대학교를 떠나 플로리다로 돌아와 바운서로 일했다.
3. 프로레슬링 경력
데니스 나이트는 1989년 프로레슬링에 데뷔한 이래 다양한 링네임과 기믹을 소화하며 여러 메이저 단체와 인디 단체에서 활동했다. 특히 WWF에서는 '더 갓윈스'의 일원인 피니어스 I. 갓윈으로 태그팀 챔피언에 올랐고, 이후 '미니스트리 오브 다크니스'의 미디언으로 변신하여 유럽 챔피언십을 획득하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3.1. 초기 경력 및 데뷔 (1989-1992)
클리어워터에서 바운서로 일하던 데니스 나이트는 스티브 키언을 만나 프로레슬러 훈련을 받았다. 그는 1989년 '텍스 슬레진져'라는 링네임으로 데뷔했으며, 첫 경기에서 의붓아버지인 론 슬링커를 상대했다. 이후 나이트는 캐롤라이나주의 인디펜던트 서킷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1991년, 나이트는 테네시주 멤피스를 기반으로 한 USWA에 합류하여 '레더페이스'라는 링네임을 사용했다. 이 기믹은 1974년 영화 텍사스 전기톱 학살의 캐릭터를 기반으로 했으며, 피 묻은 앞치마, 가죽 마스크, 그리고 (체인이 없는) 전기톱 소품을 갖추었다. 그는 제리 롤러와의 대립에서 '괴물' 기믹으로 강하게 푸쉬를 받았다. 두 선수 간의 악명 높은 경기 중 하나에서는 나이트의 몸에 불이 붙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레더페이스 기믹을 내려놓은 후, 텍스는 마스크를 쓴 '마스터 블래스터'로 활동하던 마크 캔터버리와 태그팀을 결성했다.
USWA를 떠난 후 나이트는 플로리다, 푸에르토리코, 일본 등지에서 활동했으며, 1992년 WCW에서 트라이아웃을 받았다.
3.2.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 (WCW) (1992-1994)
1992년, 데니스 나이트는 WCW에 고용되어 '텍스 슬레진져'로 개명하고 '고집 센 텍사스 무법자' 캐릭터를 부여받았다. 나이트는 상하이 피어스와 태그팀을 결성하여 활동했으며, 다이아몬드 달라스 페이지와 비니 베이거스의 베이거스 커넥션 등과 대립했다. 나이트와 피어스는 1994년에 WCW를 떠났다.
3.3.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레슬링 협회 (USWA) (1995-1996)
두 선수가 WCW를 떠난 후, 캔터버리는 '헨리 갓윈'이라는 링네임으로 WWF와 계약했고, 슬레진져는 USWA로 복귀했다. USWA에서 슬레진져는 USWA 헤비급 챔피언십을 두 차례 획득했으며, 두 번 모두 브라이언 크리스토퍼를 꺾었다. 그는 또한 제리 롤러와도 대립했다.
3.4. 월드 레슬링 연맹 (WWF) (1996-2001)
1996년 WWF에 입성한 데니스 나이트는 '더 갓윈스'의 일원으로 성공적인 태그팀 경력을 쌓았고, 이후 '미니스트리 오브 다크니스'의 미디언으로 변신하며 기믹 변화를 시도했다. 다양한 스토리라인에 참여하며 WWF에서의 존재감을 드러냈다.
3.4.1. 더 갓윈스 및 서던 저스티스 (1996-1998)
1996년, 나이트는 WWF와 계약하며 캔터버리와 재회했고 '피니어스 I. 갓윈' (줄여서 P.I.G.)으로 개명했다. 이 둘은 사촌(이후 형제로 설정 변경) 관계로 설정되었으며, '더 갓윈스'로 함께 활동했다. 그들은 양돈 농가 농부 기믹을 수행하며 힐빌리 짐과 써니를 매니저로 두었다. 피니어스는 1월 29일 먼데이 나이트 로 에피소드에서 갓윈스의 태그팀 승리로 데뷔했으며, 써니를 두고 더 바디도너스와 대립을 시작했다.
그들은 공석이 된 태그팀 챔피언십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더 뉴 로커스와 오웬 하트와 브리티쉬 불독을 꺾고 3월 31일 WWF 프리 포 올 결승에 진출했으나, 바디도너스에게 패배했다. 이후 인 유어 하우스 7: 굿 프렌즈, 베터 에너미스에서 재대결했지만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5월 19일, 갓윈스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하우스 쇼에서 바디도너스를 꺾고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그 결과, 5월 26일 프리 포 올 에피소드에서 바디도너스의 발레인 써니를 매니저로 얻었으나, 새로 획득한 타이틀을 더 스모킹 건즈에게 내주었다.
1997년, 갓윈스와 리전 오브 둠의 경기에서 리전 오브 둠이 둠스데이 디바이스를 실패하여 캔터버리가 C7 척추 골절 부상을 입었다. 의사들은 15주간의 휴식을 권고했지만, 그는 8주도 채 되지 않아 링으로 복귀했다. 1998년 초, 갓윈스는 양돈 농부 기믹을 버리고 '서던 저스티스'로 변신하여 테네시 리와 제프 재럿의 보디가드로 활동했다. 이들은 본명을 사용하고 오버롤 대신 검은색 정장을 입었다. 6개월 후, 캔터버리는 C7 척추 탈장과 척수 신경 압박으로 인해 척추 유합 수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는 목 부상에서 너무 일찍 복귀한 결과였다. 결국 그는 1998년의 목 부상으로 인해 WWF를 떠나 은퇴했고, 나이트는 파트너를 잃게 되었다.
3.4.2. 미니스트리 오브 다크니스 (1999)
1998년 말, 나이트는 잠시 공백기를 가진 후 WWF로 돌아왔다. 그는 어콜라이츠에게 납치되어 언더테이커가 이끄는 악마주의 테마의 스테이블인 '미니스트리 오브 다크니스'에 합류하도록 세뇌되었다. 언더테이커는 그를 '미디언' (초기에는 Midian으로 표기)이라는 이름의 광기 어린 점쟁이로 재탄생시켰다. 그는 얼굴에 페인트를 하고 포르말린에 절인 눈알 표본 병을 들고 다니며 그 눈을 통해 미래를 예언하는 기믹을 선보였다.
1999년 내내 미니스트리는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과 대립했으며, 미디언은 종종 비스세라와 태그팀을 이루었다. 미디언은 이 시기에 셰인 맥마흔의 가방에서 WWF 유러피언 챔피언십 벨트를 발견하며 "획득"했다. 미디언은 한 달 이상 벨트를 보유하다가 풀리 로디드에서 디로 브라운에게 타이틀을 내주었다. 1999년 말 언더테이커가 부상을 입으면서 미니스트리는 해체되었지만, 미디언은 비스세라와의 연합과 언더테이커의 지시를 따르는 기믹을 계속 유지했다.
3.4.3. 다양한 스토리라인 (2000-2001)
2000년 초, 나이트는 잠시 맨카인드의 모방자로 등장했다.
2000년 중반, 나이트는 '네이키드 미디언'이라는 기믹으로 제한적으로 복귀했다. 이 캐릭터는 패니 팩, 부츠, 그리고 티팬티만을 착용한 채 경기장을 뛰어다니는 모습이었다. 그는 본래의 유쾌한 개성을 살린 코믹한 베이비페이스로 변모했다. 노 머시 2000에서 그는 윌리엄 리갈로부터 유러피언 챔피언십을 되찾으려 했으나 패배했다. 아마겟돈 2000에서는 크리스 제리코와 케인의 경기에 잠시 난입하기도 했다. 이후 나이트는 이전 링네임인 텍스 슬레진져로 몇 차례 다크 매치에 출전했으나, 2001년 1월 WWF에서 방출되었다.
3.5. WCW 및 WWF 이후 경력 (2001-현재)
WWF를 떠난 후, 나이트는 플로리다주 탬파에 있는 자택으로 돌아와 스티브 키언의 프로레슬링 스쿨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며 시간을 보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IPW, FSPW 등 플로리다의 여러 인디 단체에서 계속 활동했으며 유럽 투어도 다녔다.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나이트는 본명으로 WWE의 여러 다크 매치에 다시 등장했다.
2005년 3월 13일, 나이트는 TNA의 데스티네이션 X 2005 이벤트에 출연했다. 몬티 브라운과 트라이탄의 경기 도중 불이 꺼지고 트라이탄이 링에서 사라졌다. 불이 다시 켜졌을 때, 마스크를 쓴 나이트가 그 자리에 있었고, 브라운에게 빠르게 핀폴을 당했다. TNA는 누가 마스크를 썼는지 방송에서 밝히지 않았고, 다음 날 나이트를 방출했다.
나이트는 2006년에 프로레슬링에서 은퇴했다. 그는 2011년과 2012년에 GLCW에서 몇 경기를 치렀다. 2012년 12월 1일, 위스콘신의 인디 단체 GLCW에서 그는 동료 캔터버리와 함께 WCW 시절 기믹을 부활시켜 텍스 슬레진져 & 상하이 피어스로 데몰리션 (액스 & 스매쉬)과 대결했다. 2020년 11월 22일, 나이트는 서바이버 시리즈 2020에서 열린 언더테이커의 은퇴식에 헨리 O. 갓윈과 함께 '더 갓윈스'로 WWE에 복귀하여 참여했다. 다른 본 스트리트 크루 멤버들도 함께 참석하여 언더테이커에게 경의를 표했다.
4. 레슬링 스타일 및 기술
데니스 나이트는 키가 190 cm이고 몸무게가 131 kg임을 활용하여 파워풀한 기술들을 주로 사용했다.
- 피니싱 무브
- 아이 오프너 (Eye Opener영어) / 슬랍 드롭 (Slop Drop영어) / 프라블럼 솔버 (Problem Solver영어) (인버티드 DDT)
- 행맨즈 넥브레이커 (Hangman's Neckbreaker영어)
- 일렉트릭 체어 수플렉스 (Electric Chair Suplex영어)
- 시그니처 무브
- 다이빙 더블 액스 핸들 (Diving Double Axe Handle영어)
- 것렌치 파워밤 (Gutwrench Powerbomb영어)
- 펌프핸들 힙 토스 후 니 드롭 (Pumphandle Hip Toss followed by Knee Drop영어)
- 스냅 DDT (Snap DDT영어)
- 태그팀 무브 (헨리 O. 갓윈과 함께)
- 더블 슬랍 드롭 (Double Slop Drop영어) (더블 인버티드 DDT)
5. 선수 경력 및 수상
- 챔피언십 레슬링 프롬 플로리다
- CWF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점보 바레타와 함께
- 인디펜던트 프로레슬링
- IPW 하드코어 챔피언십 (1회)
- 퓨처 스타즈 오브 프로레슬링
- FSPW 하드코어 챔피언십 (1회)
- 프로페셔널 레슬링 페더레이션
- PWF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점보 바레타와 함께
-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레슬링 협회
- USWA 헤비급 챔피언십 (2회)
- 월드 레슬링 연맹
- WWF 유러피언 챔피언십 (1회)
- WWF 태그팀 챔피언십 (2회) - 헨리 O. 갓윈과 함께
-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 워스트 태그팀 (1996, 1997, 1999) - 헨리 갓윈 & 비스세라와 함께
6. 개인사
프로레슬링에서 은퇴한 후, 데니스 나이트는 플로리다주 클리어워터에서 셰프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는 머리 뒤쪽에 눈알 문신을, 왼쪽 팔에는 닥 할리데이의 문신을 가지고 있다.
2023년, 나이트는 감염으로 인해 오른쪽 발가락 전체를 절단해야 하는 건강 문제를 겪었다.
7. 관련 항목
- 더 코퍼레이트 미니스트리
- 더 갓윈스
- 미니스트리 오브 다크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