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professional debut
무라카와 다이스케는 1990년 12월 14일 효고현 니시노미야시에서 태어났다. 다섯 살 때 바둑 애호가인 아버지로부터 바둑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초등학교에 입학한 후에는 바둑 학원에 다니며 실력을 키웠다.
1999년 니시노미야시립 나루오기타 초등학교 3학년 재학 중 소년소녀 바둑대회에 참가하여 야나기사와 리시 등을 꺾고 3회전까지 진출했으나 패배했다. 같은 해 간사이 기원의 원생이 되었다. 2002년 11월 1일,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이던 11세 10개월의 나이로 프로 바둑 기사로 입단했다. 이는 당시 하시모토 쇼지 9단과 유키 사토시 9단이 보유하고 있던 간사이 기원 최연소 프로 입단 기록(12세 1개월)을 두 달 앞당긴 신기록이었다. 일본 전체 바둑 기사 중에서는 조치훈 9단의 11세 9개월에 이어 두 번째로 어린 입단 기록이었다. 다만, 2022년 후지타 레오 9단이 9세 4개월의 나이로 입단하며 최연소 기록을 경신했다. 또한, 그는 헤이세이 시대에 태어난 바둑 기사 중 최초로 1990년대생이며, 2004년에 폐지된 오테아이 제도를 경험한 최연소 기사 중 한 명이다. 무라카와는 또한 바둑 사활 문제의 최연소 창작자이자 최다 문제 출제자이기도 하다.
2. Professional career
무라카와 다이스케는 프로 입단 후 꾸준히 성장하며 다양한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의 경력은 크게 초기 성장기와 주요 타이틀 도전 및 획득 시기, 그리고 최근 활동 시기로 나눌 수 있다.
2.1. Initial career and rise
무라카와 다이스케는 2005년 비공식 대회인 제7회 혼인보 슈사쿠배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2006년에는 제32기 고세이전 본선에 진출하며 자신의 첫 7대 타이틀전 본선 무대를 밟았으나, 1회전에서 야마시타 게이고 9단에게 패했다. 2009년과 2010년에는 비공식 대회인 제6회 및 제7회 나카노컵 U20 선수권에서 2연패를 달성하며 젊은 기사로서의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2010년에는 제15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본선에 진출하는 활약을 보였다. 같은 해 제54기 간사이 기원 제1위 결정전에서 당시 제1위였던 유키 사토시 9단에게 2연승을 거두며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10대 기사로서는 사상 최초의 제1위 등극이자 최연소 기록 갱신이었다. 이 우승으로 그는 7단으로 특별 승단했다. 또한 같은 해 16연승을 기록하며 간사이 기원상 리센상(감투상)과 연승상을 처음으로 수상했다.
2011년 9월 22일, 제7회 산케이 프로아마 토너먼트전 결승에서 구라하시 마사유키 9단을 꺾고 우승하며 간사이 기원 독자 기전 두 개를 모두 차지했다. 이어서 9월 26일, 7단 승단 전 마지막 기회가 된 제36기 신인왕전 결승 3번기에서 안자이 노부아키 6단에게 2연승을 거두고 우승하며, 유키 사토시 9단 이후 18년 만에 간사이 기원에 신인왕 타이틀을 안겼다. 그러나 제55기 간사이 기원 제1위 결정전에서는 사카이 히데요시 8단에게 0승 2패로 패하며 타이틀 방어에 실패했다. 신인왕 타이틀 획득과 연간 최다승(35승) 등의 업적을 인정받아 간사이 기원 최우수 기사상을 처음으로 수상했다.
2.2. Title challenges and significant victories
무라카와 다이스케는 2012년부터 7대 타이틀전 리그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며 일본 바둑계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2012년 2월, 제4회 BC카드배 월드 바둑 챔피언십 예선에서 이다 아쓰시 9단과 함께 본선에 진출하며 일본 기사로서는 사상 최초로 BC카드배 예선 통과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6월에는 조치훈 9단, 이다 아쓰시 9단, 이치리키 료 9단과 함께 처음으로 중국 을급 리그에 일본 팀 일원으로 참가했으나, 팀은 최하위로 강등되었다. 11월 8일, 제38기 메이진전 최종 예선에서 고마쓰 히데키 9단을 꺾고 메이진전 리그에 처음 진입하며 일본 3대 기전 리그 중 하나에 이름을 올렸다.
2013년 3월 28일, 제38기 기성전 최종 예선에서 사카이 히데요시 8단을 꺾고 기성전 리그에 처음 진입하여 3대 기전 리그 중 두 개에 동시에 진입하는 기염을 토했다. 전년 12월부터 그해 8월까지 진행된 제38기 메이진전 리그에서는 4승 4패로 6위를 기록하며 잔류에 성공했다. 10월 5일, 제20기 아함동산배 결승에서 8일 차이로 동년배인 시다 다쓰야 7단을 꺾고 첫 전원 참가 기전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간사이 기원 소속 기사로서는 최초의 아함동산배 우승 기록이다. 제38기 기성전에서는 B리그에서 4승 1패로 최하위 시드를 받으면서도 1위를 차지하며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지만, 11월 14일 A리그 1위인 야마시타 게이고 9단에게 패했다.
2014년에는 제10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전에 시드 선수로 출전하여 중국의 롄샤오 9단에게 승리하며 16강에 진출했으나, 스웨 9단에게 패배했다. 39기 메이진전 리그에 잔류했다. 9월 11일, 제62기 왕좌전 본선 결승에서 린한제 8단을 꺾고 당시 6관왕이던 이야마 유타 9단에게 도전권을 획득하며 자신의 첫 7대 타이틀 도전에 나섰다. 10월 30일, 세토 다이키 8단을 꺾고 2년 만에 통산 3번째 산케이 프로아마 토너먼트 우승을 차지했다. 11월 13일에는 제39기 기성전 도전자 결정전에서 전년에 이어 다시 야마시타 게이고 9단에게 패했다. 10월 21일 개막한 제62기 왕좌전 5번기(대 이야마 유타 9단)에서는 제2국과 제4국을 승리한 데 이어 12월 16일 제5국까지 제압하며 왕좌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그의 첫 7대 타이틀 도전에서의 성공적인 획득이었다. 또한, 제29기 왕좌였던 하시모토 쇼지 9단 이후 간사이 기원 소속 기사로서는 네 번째 왕좌 타이틀 획득이며, 기타니 도장, 헤이세이 사천왕, 이야마 유타 외의 기사가 왕좌를 획득한 것은 2002년 왕밍완 9단 이후 12년 만이었다.
2015년, 4단계 리그 방식이 시행된 제40기 기성전에서는 전기 성적에 따라 S리그에 진입했다. 제40기 메이진전 리그에 잔류했으며, 제40기 고세이전 본선 4강에 올랐다. 기성전 S리그에서는 3승 2패로 2위를 기록하며 도전자 결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야마다 기미오 9단에게 승리했으나, 11월 9일 S리그 1위였던 야마시타 게이고 9단에게 패하며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하지 못했다. 11월 19일, 제63기 왕좌전 방어전에서는 이야마 유타 4관왕과의 리턴 매치에서 0승 3패로 완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2016년 3월 1일, 제17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제10국에서 중국 최강 기사 중 한 명인 구리 9단을 격파하는 인상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5월 18일, 야마시타 게이고 9단에게 승리하며 제41기 고세이전 도전권을 획득했지만, 7월 28일 당시 7관왕이던 이야마 유타 9단에게 3연패를 당하며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제41기 메이진전 리그에서는 도전자 자격을 얻은 다카오 신지 9단에게 유일한 흑점을 안겼음에도 6승 2패로 2위에 머물렀다. 제41기 기성전 S리그에서는 3위를 기록하며 잔류했다. 덴겐전 본선 4강에도 진출했다.
2017년, 제42기 메이진전 리그에서는 4승 4패로 잔류했으나, 제42기 기성전 S리그에서는 2승 3패로 5위를 기록하며 리그 강등을 경험했다. 이는 제38기 기성전 리그에 진입한 이후 첫 강등이었다. 반면, 5월 15일에는 비공식 기전인 제8회 오카게배에서 개인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1월 25일, 제56기 십단전 본선 결승에서 시다 다쓰야 7단을 꺾고 도전자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당시 7관왕이던 이야마 유타 9단에게 도전했지만, 4월 12일 3연패를 당하며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제43기 기성전 A리그에서는 네 명의 기사가 5승 2패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시드 순위에 따라 무라카와 9단이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도전자 결정 토너먼트에서는 10월 8일 C리그 1위인 오니시 류헤이 7단에게 패했다. 12월 18일, 제14회 산케이 프로아마 토너먼트전 결승전에서 기요나리 데쓰야 9단을 꺾고 4년 만에 통산 4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제14회를 마지막으로 중단되어, 무라카와 9단이 마지막 우승자가 되었다.
2019년, 제57기 십단전에서 전기 대회에 이어 다시 이야마 유타 5관왕에게 도전권을 얻었다. 직전 이야마 9단과의 타이틀전에서는 3연속 전패를 기록하고 있었지만, 4월 19일 3승 1패로 십단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5년 만의 7대 타이틀 획득이자 통산 2번째 주요 타이틀이었으며, 다음날 9단으로 승단했다. 이 십단전은 헤이세이 시대의 마지막 타이틀전이기도 했다. 제44기 기성전 S리그에서는 1위부터 4위까지가 3승 2패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시드 순위에 따라 4위에 그쳤다.
2.3. Recent activities
2020년 제58기 십단전에서는 시바노 도라마루 명인 왕좌의 도전을 받았다. 이야마 유타 9단 외의 기사와의 첫 7대 타이틀전이었으나, 6월 25일 1승 3패로 타이틀을 잃었다. 제45기 메이진전 리그에서는 2승 6패로 8위를 기록하며 리그에서 강등되었다. 제46기 최종 예선에서도 결승에서 모토키 가쓰야 8단에게 패배하며 2012년부터 이어오던 메이진전 리그 8기 연속 잔류 기록이 중단되었다. 11월 5일, 3연패 중이던 여정기 9단에게 도전한 제64기 간사이 기원 제1위 결정전에서는 2연패를 당하며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2021년에는 전년도 제45기 기성전 S리그에서 3승 2패로 3위를 기록했고, 제59기 십단전에서는 2021년 1월 14일 여정기 9단에게 패하며 본선 4강에 그치는 등 4년 만에 7대 타이틀 도전자 결정전 진출에 실패했다. 제68회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에서는 개인 최고 성적인 4강에 진출했으나, 3월 14일(방송일 기준) 준결승에서 여정기 9단에게 패했다. 제46기 기성전 S리그에서는 전년에 이어 3승 2패로 3위를 기록했다.
2022년, 제47기 기성전 S리그에서 1승 4패로 6위를 기록하며 리그에서 강등되었다. 제66기 간사이 기원 제1위 결정전에서는 5연패 중이던 여정기 9단에게 도전했으나, 10월 17일 2연패를 당하며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12월 11일 비공식 기전인 간사이 바둑 오픈 토너먼트 2022에서는 톱 클래스 결승전에서 이야마 유타 9단에게 반집승을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다.
2023년 제48기 기성전 S리그에서 1승 4패로 6위를 기록하며 리그 강등을 경험했으며, 십단전과 고세이전에서도 본선 초전패 또는 4강에 머물렀다.
3. Playing style and personal life
무라카와 다이스케의 기풍은 '힘 바둑'을 바탕으로 하며, 적극적인 공격이 특징이다. 취미로는 쇼기나 프로 야구 관람, 골프 등을 즐기며, 특히 한신 타이거스의 열렬한 팬으로 알려져 있다.
2017년 결혼했으며, 아내도 아마추어 초단 정도의 실력을 가진 바둑인으로, 바둑 관련 교류 자리에서 만났다고 한다. 2019년 십단 타이틀 획득 후에는 아내의 지지에 감사하는 마음을 표하기도 했다.
이야마 유타 9단과는 초등학교 저학년 때 처음 만났다고 한다. 당시 이야마 9단은 이미 초등학교 2학년 때 소년소녀 바둑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유명한 상태였고, 무라카와 9단이 연습 대국을 신청하자 이야마 9단이 4점 접바둑을 제안했다고 회상했다. 두 사람은 프로 입단 후 무라카와 9단이 15세 무렵부터 친해져 함께 연구회를 자주 열기도 했다. 2010년 인터뷰에서는 이야마 9단에 대해 "학년이 저보다 하나 위여서 의식합니다. 자주 함께 공부하지만, 쓰러뜨리고 싶은 상대이기도 합니다"라고 언급했으며, 실제로 타이틀전에서 여러 차례 대결했다. 무라카와 9단이 획득한 두 개의 7대 타이틀은 모두 이야마 9단으로부터 빼앗은 것이다.
그는 기성전 S리그에 6회, 2리그제 시절을 포함하면 통산 8회 리그에 진입했으며, 메이진전 리그에도 통산 8회 재적하며 활약했다. 반면, 혼인보전 리그에는 한 번도 진입하지 못했다. 2021년 5월 24일에는 바둑계를 대표하여 2020년 도쿄 올림픽 성화 봉송에 참가하기도 했다.
4. Achievements and awards
무라카와 다이스케는 프로 경력 전반에 걸쳐 다수의 타이틀을 획득하고 중요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여러 상을 수상했다.
4.1. Won titles and championships
총 9개 타이틀 획득 (그중 7대 타이틀 2개)
- 왕좌 1기 (2014년, 제62기)
- 십단 1기 (2019년, 제57기)
- 아함동산배 1기 (2013년, 제20기)
- 간사이 기원 제1위 결정전 1기 (2010년, 제54기)
- 신인왕 1기 (2011년, 제36기)
- 산케이 프로아마 토너먼트전 4회 (2011년, 2012년, 2014년, 2018년 - 제7, 8, 10, 14회)
- 비공식전**
4.2. Major tournament results
- 기성전 리그 진입 통산 8기
- 2리그 방식 (제25~39기): 도전자 결정전 진출 2회 (제38~39기), 리그 진입 2회 (제38~39기)
- 4단계 리그 방식 (제40기~): 도전자 결정 토너먼트 진출 3회 (제40, 43, 49기), S리그 진입 6회 (제40~42, 44~46기)
- 메이진전 리그 진입 9회 (제38~45, 50기)
- 고세이전 도전자 결정전 패배 1회 (2016년, 제41기)
- 십단전 도전자 결정전 패배 1회 (2018년, 제56기)
- 간사이 기원 제1위 결정전 도전자 결정전 패배 4회 (2012년, 2016년, 2020년, 2022년 - 제56, 60, 64, 66기)
- 산케이 프로아마 토너먼트전 준우승 2회 (2015~2016년 - 제11~12회)
4.3. Awards received
- 간사이 기원상**
5. Promotion history
무라카와 다이스케의 프로 입단 이후 승단 기록은 다음과 같다.
- 2002년 초단
- 2004년 6월 21일 2단 (오테아이 제도에 의함)
- 2005년 6월 30일 3단 (승수 규정에 의함)
- 2007년 4월 1일 4단 (상금 랭킹에 의함)
- 2008년 4월 1일 5단 (상금 랭킹에 의함)
- 2010년 11월 6일 7단 (간사이 기원 제1위 결정전 우승에 의함)
- 2014년 12월 17일 8단 (타이틀 1기 획득(왕좌)에 의함)
- 2019년 4월 20일 9단 (타이틀 2기 획득(십단)에 의함)
6. Chronology
무라카와 다이스케의 프로 바둑 경력 연표는 다음과 같다.
연도는 도전 대국이 기준이다. 예선 및 본선·리그전은 전년 혹은 그 이전에도 진행될 수 있다. | 타이틀전의 인물 이름은 대전 상대이다. | 우승 (획득 또는 방어) | 도전자 또는 실관 (타이틀 상실) | 리그 진입 |
---|
연도 | 기성 | 십단 | 혼인보 | 고세이 | 메이진 | 왕좌 | 덴겐 | 간사이 제1위 | 기타 기전 | 간사이 기원상 | 비고 |
---|---|---|---|---|---|---|---|---|---|---|---|
1-3월 | 3-4월 | 5-7월 | 6-8월 | 9-11월 | 10-12월 | 10-12월 | |||||
2002년 | 입단 | ||||||||||
2003년 | |||||||||||
2004년 | 2단 승단 | ||||||||||
2005년 | 3단 승단 | ||||||||||
2006년 | 신인상 | ||||||||||
2007년 | 본선 1회전 패배 | 4단 승단 | |||||||||
2008년 | 5단 승단 | ||||||||||
2009년 | 본선 1회전 패배 | 나카노컵 | |||||||||
2010년 | 본선 2회전 패배 | 본선 1회전 패배 | 우승 유키 사토시 2승 0패 | 나카노컵 | 리센상, 연승상 | 7단 승단 | |||||
2011년 | 본선 8강 | 본선 2회전 패배 | 도전자 사카이 히데요시 0승 2패 | 신인왕 산케이 PA | 최우수 | ||||||
2012년 | 본선 2회전 패배 | 본선 1회전 패배 | 도전자 사카이 히데요시 0승 2패 | 산케이 PA | 리센상 | ||||||
2013년 | 리그 6위 | 본선 8강 | 아함동산배 | 리센상 | |||||||
2014년 | B리그 1위 도결 패배 | 리그 6위 | 우승 이야마 유타 | ||||||||
2015년 | S리그 2위 도결 패배 | 본선 1회전 패배 | 본선 4강 | 리그 6위 | 도전자 이야마 유타 | ||||||
2016년 | S리그 3위 | 도전자 이야마 유타 | |||||||||
2017년 | S리그 5위 강등 | 본선 1회전 패배 | 본선 2회전 패배 | 리그 3위 | 본선 1회전 패배 | 오카게배 | 리센상 | ||||
2018년 | A리그 1위 승격 | 도전자 이야마 유타 | |||||||||
2019년 | S리그 4위 | 우승 이야마 유타 | |||||||||
2020년 | S리그 4위 | 도전자 시바노 도라마루 | |||||||||
2021년 | S리그 3위 | 본선 4강 | 본선 2회전 패배 | 본선 1회전 패배 | 본선 2회전 패배 | ||||||
2022년 | S리그 6위 강등 | 본선 1회전 패배 | 본선 1회전 패배 | 본선 8강 | 도전자 여정기 0승 2패 | 간사이 OP | |||||
2023년 | S리그 6위 강등 | 본선 1회전 패배 | 본선 4강 |
7. See also
- 일본의 바둑 기전
- 이야마 유타
- 간사이 기원
8. External links
- [https://kansaikiin.jp/kisi_prof/murakawadaisuke.html 간사이 기원 무라카와 다이스케 프로필]
- [http://gobase.org/information/players/?pp=Murakawa%20Daisuke GoBase 프로필]
- [http://senseis.xmp.net/?MurakawaDaisuke Sensei's Libr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