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마이다 브르호브니크(Majda Vrhovnik슬로베니아어, 1922년 4월 14일 ~ 1945년 5월 4일)는 슬로베니아의 공산주의자이자 의대생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에서 반파시스트 지하 저항 운동의 핵심 인물이었다. 그녀는 "로이즈카"(Lojzka슬로베니아어)라는 가명으로 활동하며 슬로베니아 공산당 클라겐푸르트 지구 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브르호브니크는 인쇄물 제작 및 유포, 첩보 활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 운동에 기여했으며, 특히 카린티아 지역에서 광범위한 조직 활동을 펼쳤다. 1945년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고문 끝에 총살당했으나, 사후 유고슬라비아 인민 영웅으로 추서되며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녀의 희생은 슬로베니아의 민족 해방 운동의 상징 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다.
2. 생애
마이다 브르호브니크는 젊은 시절부터 혁명 운동에 투신하여 유고슬라비아의 점령에 맞서 강력한 지하 저항 활동을 펼쳤다.
2.1. 유년기 및 교육
마이다 브르호브니크는 1922년 4월 14일 류블랴나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오빠인 블라디미르 브르호브니크(Vladimir Vrhovnik슬로베니아어, 1916년 8월 17일 ~ 1945년 4월 28일, 별명 볼로쟈(Volodja슬로베니아어) 또는 미르코(Mirko슬로베니아어))는 빈에서 태어났으며, 오빠 또한 공산당원이었다. 그녀의 가족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류블랴나로 이주했다. 상급 중등학교를 졸업한 후, 그녀는 류블랴나 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학업을 이어갔다. 재학 중 그녀는 슬로베니아 클럽과 학생 혁명 운동의 일원으로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2.2. 초기 활동 및 공산당 가입
브르호브니크는 1940년에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에 입당했다. 유고슬라비아가 점령된 직후부터 그녀는 즉시 지하 저항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슬로베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조직 비서인 토네 톰시치(Tone Tomšič슬로베니아어, 1910년 ~ 1942년)의 연락병으로 활동했다. 점령군은 그녀의 활동을 인지하고 궐석재판으로 그녀에게 종신형을 선고했으며, 그녀의 부모를 몇 달 동안 인질로 붙잡기도 했다. 그러나 브르호브니크는 이러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류블랴나에 계속 머물렀다.
2.3. 지하 저항 활동
류블랴나에 머무르는 동안 브르호브니크는 저항 운동을 위한 비밀 인쇄소 조직에 참여했다. 그녀는 연락병으로서 류블랴나에 위치한 '잠수함'(Podmornica포드모르니차슬로베니아어)이라는 암호명의 비밀 인쇄소(Cesta na Brdo체스타 나 브르도슬로베니아어 95번지 소재)와 '터널'(Tunel투넬슬로베니아어)이라는 암호명의 인쇄소(Emonska cesta에몬스카 체스타슬로베니아어 2번지 소재)에 원고를 운반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2.3.1. 인쇄물 제작 및 유포
1943년 5월 4일부터 그녀의 오빠의 도움으로 벙커를 마련하여 9개월 동안 다양한 인쇄물을 복제하여 유포했다. 이 인쇄물에는 주요 저항 신문인 인민의 정의(Ljudska pravica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 보도자(Slovenski poročevalec슬로베니아어), 라디오 베스트니크(Radio vestnik슬로베니아어), 그리고 다양한 브로슈어 등이 포함되었다. 그녀의 활동은 저항 정신을 고취하고 점령군에 대한 정보를 확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3.2. 카린티아 지역 활동
1944년 1월 22일, 브르호브니크는 스스로 선택하여 슬로베니아 연안 지역으로 파견되었다. 그곳에서 그녀는 이드리야 지역의 청년 공산주의자 동맹(Zveza komunistične mladine Jugoslavije슬로베니아어, SKOJ) 강사이자 연안 지역 SKOJ 지역 위원회의 훈련 과정 강사로 활동했다. 그러나 그녀는 그곳에 오래 머물지 않고 자원하여 카린티아 지역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1944년에는 메지차 지역의 슬로베니아 공산당 지구 위원회 서기로 임명되었다. 그녀는 드라바강을 건너 자트니츠산맥을 통과하여 처음에는 푈커마르크 지역에서, 그 다음에는 클라겐푸르트에서 활동했다. 1944년 가을에는 클라겐푸르트 슬로베니아 공산당 지구 위원회의 위원이 되었다. 그녀는 농민 소녀로 변장하여 몇 달 동안 클라겐푸르트에서 머물며, 도시 내 슬로베니아 민족해방전선 위원회, 첩보 활동, 그리고 불법 출판물 제작을 조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체포 및 사망
마이다 브르호브니크의 활발한 저항 활동은 결국 그녀의 비극적인 최후로 이어졌다.
게슈타포는 배신을 통해 그녀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1945년 2월 28일 클라겐푸르트의 크로이츠베르글(Kreuzbergl독일어) 언덕 아래에 있는 한 집에서 그녀를 체포했다. 그녀는 수감 중 잔인한 고문을 당했으며, 결국 1945년 5월 4일 총살당했다.
4. 유산 및 평가
마이다 브르호브니크는 유고슬라비아 해방 운동의 상징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기억되며, 그녀의 희생은 후대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4.1. 추서 및 영웅 칭호
마이다 브르호브니크는 사후 그녀의 공로를 인정받아 유고슬라비아 인민영웅 칭호를 받았다. 이 칭호는 1951년 7월 5일 또는 1951년 12월 20일에 추서되었다. 이는 그녀가 보여준 용기와 희생이 국가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가치를 지녔는지를 보여준다.
4.2. 기념물 및 영향
1958년 류블랴나의 그레고르치체바 울리차(Gregorčičeva ulica슬로베니아어) 16번지에 위치한 초등학교는 그녀를 기리기 위해 마이다 브르호브니크 초등학교(Osnovna šola Majde Vrhovnik슬로베니아어)로 명명되었다. 이 학교는 슈비체바 울리차(Šubičeva ulica슬로베니아어)의 5번 초등학교와 브르타차 울리차(Vrtača ulica슬로베니아어)의 6번 초등학교가 통합되어 설립된 것이다. 1961년에는 슬로베니아 조각가 스토얀 바티치(Stojan Batič슬로베니아어)가 제작한 그녀의 흉상이 학교 앞에 세워져 그녀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또한, 언론계에서는 그녀의 이름이 가명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믈라디나(Mladina슬로베니아어)의 편집장 프란치 자블(Franci Zavrl슬로베니아어)과 믈라디나의 기자 블라도 미헬략(Vlado Miheljak슬로베니아어)은 체포된 후 "마이다 브르호브니크"를 가명으로 사용했다.
4.3. 묘지의 불명확성
마이다 브르호브니크의 유해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은 상태이며, 그녀가 어디에 묻혔거나 어떻게 처리되었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록이 없어 역사적인 불확실성으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