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田口 昌徳다구치 마사노리일본어는 1970년8월 26일에 태어난 일본의 전 야구 선수이자 코치이다. 현역 시절에는 주로 포수로 활동했으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뛰었다. 은퇴 후에는 닛폰햄 파이터즈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2군 배터리 코치, 스카우트, 그리고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지바 롯데 마린스에서 1군 배터리 코치를 역임했다. 그는 유쾌하고 밝은 성격으로 팀의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했으며, 특히 뛰어난 가창력과 관련된 여러 에피소드를 남겼다.
2. 유년기 및 아마추어 경력
2.1. 어린 시절과 야구 입문
다구치 마사노리는 이바라키현 기타소마군 후지시로정 (현 쓰쿠바미라이시) 출신으로, 태어난 곳은 이바라키현히타치오미야시이다. 초등학교 2학년 때 소프트볼을 시작했고, 4학년 때부터 야구를 시작했다. 이바라키현립 후지시로시스이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1학년 때부터 주전으로 활약했으며, 2학년 가을에는 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간토 대회에 출전했으나 첫 경기에서 패하며 고시엔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고등학교 통산 38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주목받았다.
2.2. 대학교 야구 경력
고등학교 졸업 후 고마자와 대학으로 진학했다. 2학년 선배인 포수 세키가와 고이치의 뒤를 이어 3학년부터 주전 포수로 뛰며, 1학년 선배이자 주장이었던 와카타베 겐이치와 다케시타 준 등과 배터리를 이뤘다. 4학년 봄에는 동기인 쓰루타 야스시와 2학년 후배인 가와하라 준이치, 그리고 투수였던 다카기 히로유키 등의 활약에 힘입어 전일본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을 경험했다. 당시 2학년 후배 중에는 혼마 미쓰루도 있었다. 도토 대학 야구 리그에서는 통산 49경기에 출장하여 130타수 37안타, 타율 0.285, 8홈런, 26타점을 기록했다. 또한 베스트 나인에 두 차례 선정되었다.
1992년 신인 드래프트 회의에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 4순위로 지명되어 입단했다.
3. 프로 선수 경력
3.1. 닛폰햄 파이터즈 시절
다구치 마사노리는 1993년에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 입단했다. 프로 3년 차인 1995년 시즌에는 신임 감독 우에다 도시하루로부터 리드 능력을 높이 평가받아 기용되기 시작하며 점차 출장 경기를 늘려나갔다. 1995년 오프 시즌에 팀의 주전 포수였던 다무라 후지오가 지바 롯데 마린스로 이적하면서, 1996년 시즌에는 주전 포수로서 101경기에 출장하는 등 팀이 리그 2위로 약진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그동안의 약점이었던 타격과 도루 저지율이 좀처럼 향상되지 못했다. 1998년 시즌에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이적해 온 노구치 히데히로가 두각을 나타내면서 점차 백업 포수로 출장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3.2. 후쿠오카 다이에이/소프트뱅크 호크스 시절
2002년 시즌 도중 하야시 다카야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후쿠오카 다이에이 호크스 (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이적했다. 다이에이에서는 주전 포수 조지마 겐지가 부상으로 전열에서 이탈하거나 아테네 올림픽 등으로 자리를 비울 때마다 포수로서 활약했다. 특히 2002년과 2004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003년에는 조지마가 포수로서 전 경기 풀이닝 출장을 달성함에 따라, 다구치는 시즌 내내 포수로서 단 한 경기도 출장하지 못했다. 이 해에는 10경기 출장에 그쳤으며, 3경기에서는 1루수로 수비를 맡았다.
또한, 밝은 성격으로 덕아웃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마찬가지로 벤치를 지키는 경우가 많았던 토리코시 유스케와 함께 팀의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했다. 이러한 유쾌한 캐릭터를 살려 지역 텔레비전 프로그램에도 다수 출연했다. 그의 캐릭터, 외모, 말투는 과거 프로 야구계의 '웃음 폭탄'으로 불렸던 나이토 나오유키와 흡사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1군 포수로서 조지마의 존재감 때문에 혹평을 받는 경우도 적지 않았지만, 2군에서 마스크를 쓸 때는 젊은 투수들에게 유연하고 적절한 지시를 내리며 젊은 투수들의 육성에 크게 기여했다. 2005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3.3. 선수 은퇴
다구치 마사노리는 2005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13년간의 프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고 은퇴했다.
4. 은퇴 후 경력
4.1. 팀 스태프 및 2군 코치
현역 은퇴 후 2006년부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팀 스태프(관리부·육성 담당)로 활동을 시작했다. 2009년부터 2010년까지는 2군 배터리 코치를 맡아 젊은 선수들의 육성에 힘썼다.
4.2. 스카우트 활동
2011년부터는 구단의 스카우트로 자리를 옮겨 선수 발굴 및 영입 활동을 담당했다.
4.3. 1군 배터리 코치
2014년 11월 10일, 2015년 시즌부터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1군 배터리 코치로 취임한다고 발표되었다. 그러나 2015년 시즌을 끝으로 라쿠텐을 퇴단했다. 2016년 시즌에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1군 배터리 코치로 부임했지만, 2016년 10월 1일 구단에 퇴단 의사를 밝히고 수리되었다. 2017년 시즌에는 지바 롯데 마린스의 1군 배터리 코치로 취임했으나, 같은 해 10월 11일 다음 시즌 코치 계약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통보를 받았다.
4.4. 대학교 및 주니어 아카데미 코치
프로 구단에서의 지도자 경력을 마친 후에도 야구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2019년 6월에는 세이난 가쿠인 대학 야구부의 배터리 코치로 부임했다. 2020년 4월부터는 오카야마현에 위치한 환태평양대학 야구부의 헤드 코치로 취임하여 대학 야구 선수들을 지도했다. 2023년부터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주니어 아카데미에서 코치로 활동하며 유소년 야구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5. 인물 및 에피소드
5.1. 주요 일화와 성격
다구치 마사노리는 밝고 유쾌한 성격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선수 시절 여러 흥미로운 일화를 남겼다.
- 2002년 6월 29일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의 경기에서, 마운드에 있던 투수 와타나베 마사카즈의 유니폼을 실수로 입고 경기에 출전하는 진기명기를 연출했다. 이 플레이는 그 해 일본 테레비의 '용사의 스타디움 프로야구 호진기명기'에서 진기명기 대상(MVU)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 같은 해 7월 9일 세이부 라이온스전에서는 후쿠오카 다이에이 호크스 이적 후 첫 수훈선수 인터뷰에 나섰다. 인터뷰어가 마이크를 건네자, 마이크를 빼앗아 "다구치입니다!"라고 자신을 소개하며 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이는 사실상 그의 처음이자 마지막 1군 수훈선수 인터뷰였다.
- 2003년 후쿠오카 다이에이 호크스의 스프링 캠프에서 진행된 '목표 외치기'에서 다구치는 "한 경기라도 더 포수로 경기에 출장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당시 주전 포수였던 조지마 겐지는 "전 경기 풀이닝 출장"을 목표로 내세웠고, 조지마가 선언대로 포수로서 일본 프로야구 사상 두 번째로 전 경기 풀이닝 출장을 달성하면서 다구치는 2003년에 포수로 경기에 출장하지 못했다. 결국 2003년 그의 첫 마스크는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이끄는 야구 일본 대표팀의 壯行試合장행시합일본어인 일본 대표팀 대 오 사다하루 감독이 이끄는 일본 선발팀과의 경기였다.
- 2003년 일본 시리즈 우승 축승회에서는 "잘 봐라! 이것이 진짜 안면 샤워다!"라고 외치며 팀 동료들에게 맥주를 뿌리는 퍼포먼스를 선보였고, 후지 테레비의 '스포르토!' 생중계 도중 진행자 미야케 마사하루에게 지적을 받기도 했다.
- 2003년 일본 우승 기념으로 TBS의 '세키구치 히로시의 도쿄 프렌즈 파크 II'에 '개그 대장' 자격으로 팀 동료들과 함께 출연했다. 그러나 어트랙션에 몰두한 나머지 사회자 와타나베 마사유키에게 "재미있는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았으며, 프로그램 마지막 다트 룰렛에서는 '수세미'를 맞혀 웃음을 자아냈다.
- 후배 가토 료켄은 입단 발표 당시 "목표는 다구치 선배 같은 분위기 메이커"라고 언급하며 다구치의 팀 내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 2006년 7월, 2군 타격 연습에서 배팅볼 투수를 하던 중 던진 공이 이데 쇼타로의 얼굴에 직격하여 코뼈를 부러뜨리는 사고가 있었다. 다구치는 큰 책임감을 느끼며 이데가 병원에서 돌아올 때까지 유니폼도 갈아입지 않고 기다렸으며, 며칠 동안 "괜찮아?"라고 계속 말을 건넸다고 한다. 이데 본인은 "그렇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며 오히려 송구스러워했다고 한다.
5.2. 가창력과 은퇴 세리머니
다구치는 상당히 뛰어난 가창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 프로 야구 올스타 스포츠 페스티벌에 출전했을 때, 다른 구단 선수들이 히트곡을 진지하게 부르는 가운데, 홀스타인 탈을 쓰고 등장하여 가쓰라 쟈쿠산로와 만푸쿠 브라더스의 '요델 먹기 무제한'을 열창하여 경기장의 팬들을 폭소케 했다.
- 2005년 11월 6일 후쿠오카 돔에서 열린 '호크스 팬 감사 모임'에서 은퇴 세리머니가 진행되었다. 다구치 본인이 "후쿠오카에 온 후 한 번밖에 수훈선수 인터뷰 단상에 서지 못한 것이 아쉽다"고 말하자, 구단 측에서 급히 단상을 준비해주었다. 단상에 선 다구치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응원가인 '이겨라 젊은 매 군단'을 열창했고, 포수 미트와 마이크를 홈 플레이트 위에 놓고 떠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이는 전설적인 가수 야마구치 모모에의 은퇴 콘서트 패러디로, 당시 큰 화제가 되었다.
6. 상세 정보
6.1. 프로 통계
다구치 마사노리의 일본 프로 야구 통산 타격 및 수비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사 | 희생 번트 | 희생 플라이 | 4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
1994 | 닛폰햄 | 25 | 45 | 44 | 1 | 7 | 0 | 0 | 0 | 7 | 2 | 0 | 0 | 1 | 0 | 0 | 0 | 0 | 17 | 2 | .159 | .159 | .159 | .318 | |
1995 | 닛폰햄 | 82 | 220 | 200 | 15 | 40 | 6 | 0 | 5 | 61 | 13 | 0 | 1 | 4 | 1 | 14 | 1 | 1 | 68 | 10 | .200 | .255 | .305 | .560 | |
1996 | 닛폰햄 | 101 | 327 | 286 | 22 | 60 | 12 | 0 | 5 | 87 | 22 | 0 | 2 | 13 | 0 | 17 | 0 | 11 | 92 | 6 | .210 | .280 | .304 | .584 | |
1997 | 닛폰햄 | 81 | 212 | 188 | 8 | 37 | 5 | 0 | 4 | 54 | 20 | 0 | 1 | 9 | 1 | 12 | 0 | 2 | 52 | 4 | .197 | .251 | .287 | .538 | |
1998 | 닛폰햄 | 60 | 139 | 118 | 7 | 24 | 2 | 0 | 1 | 29 | 12 | 0 | 1 | 12 | 0 | 7 | 0 | 2 | 29 | 4 | .203 | .260 | .246 | .506 | |
1999 | 닛폰햄 | 52 | 52 | 42 | 2 | 4 | 1 | 0 | 1 | 8 | 5 | 0 | 0 | 4 | 0 | 4 | 0 | 2 | 13 | 0 | .095 | .208 | .190 | .399 | |
2000 | 닛폰햄 | 19 | 14 | 11 | 1 | 1 | 0 | 0 | 0 | 1 | 0 | 0 | 0 | 1 | 0 | 1 | 0 | 1 | 1 | 0 | .091 | .231 | .091 | .322 | |
2001 | 닛폰햄 | 31 | 71 | 60 | 8 | 12 | 2 | 0 | 0 | 14 | 3 | 1 | 0 | 6 | 0 | 4 | 0 | 1 | 20 | 1 | .200 | .262 | .233 | .495 | |
2002 | 닛폰햄 | 4 | 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00 | .000 | .000 | .000 | |
2002 | 다이에이/소프트뱅크 | 35 | 102 | 87 | 10 | 20 | 4 | 0 | 1 | 27 | 7 | 1 | 0 | 8 | 0 | 4 | 0 | 3 | 15 | 3 | .230 | .287 | .310 | .598 | |
2002 합계 | 39 | 103 | 88 | 10 | 20 | 4 | 0 | 1 | 27 | 7 | 1 | 0 | 8 | 0 | 4 | 0 | 3 | 16 | 3 | .227 | .284 | .307 | .591 | ||
2003 | 다이에이/소프트뱅크 | 10 | 13 | 10 | 2 | 2 | 1 | 0 | 1 | 6 | 2 | 0 | 0 | 0 | 0 | 3 | 0 | 0 | 3 | 1 | .200 | .385 | .600 | .985 | |
2004 | 다이에이/소프트뱅크 | 28 | 77 | 67 | 6 | 15 | 6 | 0 | 0 | 21 | 6 | 0 | 0 | 7 | 0 | 1 | 0 | 2 | 23 | 2 | .224 | .257 | .313 | .571 | |
2005 | 다이에이/소프트뱅크 | 6 | 12 | 10 | 0 | 2 | 0 | 0 | 0 | 2 | 2 | 0 | 0 | 2 | 0 | 0 | 0 | 0 | 4 | 0 | .200 | .200 | .200 | .400 | |
통산: 12년 | 534 | 1285 | 1124 | 82 | 224 | 39 | 0 | 18 | 317 | 94 | 2 | 5 | 67 | 2 | 67 | 1 | 25 | 338 | 33 | .199 | .259 | .282 | .541 |
- 연도별 굵은 글씨는 해당 리그 최고 기록
- 후쿠오카 다이에이 호크스는 2005년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구단 명칭을 변경함.
연도 | 포수 | 1루수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포일 | 시도수 | 허용 도루 | 도루 저지 | 저지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1994 | 23 | 68 | 7 | 2 | 2 | .974 | 1 | 9 | 5 | 4 | .444 | - | |||||
1995 | 57 | 261 | 20 | 5 | 4 | .983 | 2 | 37 | 25 | 12 | .324 | - | |||||
1996 | 100 | 560 | 43 | 5 | 9 | .992 | 4 | 81 | 60 | 21 | .259 | - | |||||
1997 | 80 | 322 | 43 | 5 | 11 | .986 | 5 | 73 | 49 | 24 | .329 | - | |||||
1998 | 60 | 218 | 12 | 1 | 0 | .991 | 1 | 31 | 24 | 7 | .226 | - | |||||
1999 | 51 | 119 | 12 | 1 | 0 | .992 | 0 | 13 | 8 | 5 | .385 | - | |||||
2000 | 19 | 26 | 2 | 0 | 0 | 1.000 | 1 | 6 | 5 | 1 | .167 | - | |||||
2001 | 31 | 147 | 10 | 1 | 2 | .994 | 1 | 9 | 7 | 2 | .222 | - | |||||
2002 | 38 | 190 | 5 | 0 | 0 | 1.000 | 0 | 1 | 1 | 0 | .000 | - | |||||
2003 | - | 3 | 3 | 0 | 0 | 1 | 1.000 | ||||||||||
2004 | 23 | 125 | 9 | 0 | 1 | 1.000 | 1 | 13 | 8 | 5 | .385 | 1 | 2 | 0 | 0 | 1 | 1.000 |
2005 | 6 | 30 | 2 | 0 | 0 | 1.000 | 0 | 4 | 3 | 1 | .250 | - | |||||
통산 | 488 | 2066 | 165 | 21 | 33 | .991 | 18 | 277 | 195 | 82 | .296 | 4 | 5 | 0 | 0 | 2 | 1.000 |
6.2. 주요 기록 및 업적
- 첫 출장: 1994년 6월 24일, 도쿄 돔에서 열린 오릭스 블루웨이브와의 13차전에서 9회 초 포수로 출장
- 첫 안타: 1994년 6월 26일, 도쿄 돔에서 열린 오릭스 블루웨이브와의 15차전 7회 말, 야마나카 기요시의 대타로 출장하여 노무라 다카히토로부터 안타 기록
- 첫 선발 출장: 1994년 7월 3일, 도쿄 돔에서 열린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13차전에서 9번 타자 포수로 선발 출장
- 첫 타점: 1994년 9월 18일, 후지이데라 구장에서 열린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의 25차전 8회 초, 사카이 히로키로부터 2점 적시타 기록
- 첫 홈런: 1995년 5월 6일, 후지이데라 구장에서 열린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의 7차전 1회 초, 고이케 히데오로부터 2점 홈런 기록
- 첫 도루: 2001년 5월 12일, 도쿄 돔에서 열린 오릭스 블루웨이브와의 11차전 4회 말 2루 도루 (투수: 가토 신이치, 포수: 히다카 고)
- 프로 첫 도루가 425경기 출장 만에 기록 - 퍼시픽 리그 야수 최장 기록.
6.3. 등번호
다구치 마사노리가 프로 경력 동안 사용했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 31: 1993년 ~ 2002년 시즌 도중
- 57: 2002년 시즌 도중 ~ 2003년
- 22: 2004년 ~ 2005년
- 96: 2006년 ~ 2008년 (팀 스태프)
- 72: 2009년 ~ 2010년 (2군 배터리 코치)
- 88: 2015년 (라쿠텐 1군 배터리 코치)
- 82: 2016년 (세이부 1군 배터리 코치)
- 86: 2017년 (지바 롯데 1군 배터리 코치)
7. 외부 링크
- [https://www.baseball-reference.com/register/player.fcgi?id=taguch001mas Baseball-Reference.com 통계]
- [https://npb.jp/bis/players/31933887.html 일본 야구 기구 (NPB)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