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루이스 "루" 부드로(Louis "Lou" Boudreau영어, 1917년 7월 17일 ~ 2001년 8월 10일)는 미국의 야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그는 메이저리그에서 15시즌 동안 주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유격수로 활약했으며, 선수 겸 감독을 포함하여 15시즌 동안 4개 팀의 감독을 역임했다. 부드로는 선수 시절에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야구와 농구를 병행하는 다중 스포츠 선수로 활동했으며, 농구에서는 올아메리칸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부드로는 7차례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1948년에는 아메리칸 리그 최우수 선수(MVP)로 선정되면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월드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다. 또한 1944년 타격왕을 차지했으며, 1941년, 1944년, 1947년에는 2루타 부문에서 리그 선두를 기록했다. 그는 8차례 아메리칸 리그 유격수 중 수비율 1위를 기록했으며, 1946년 7월 14일에는 한 경기에서 4개의 연속 2루타를 기록하며 메이저리그 기록을 세웠다.
그는 현역에서 은퇴한 후 시카고 컵스 라디오 해설자로 오랜 기간 활동했으며, 시카고 불스와 시카고 블랙호크스의 아나운서로도 활동했다. 1970년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같은 해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는 그의 등번호 5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여 그의 공헌을 기렸다.
2. 유년기와 학창 시절
루 부드로는 어린 시절부터 다방면에 재능을 보이며 스포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2.1. 출생과 가족 배경
부드로는 1917년 7월 17일 일리노이주 하비에서 버디(헨리) 부인과 루이스 부드로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프랑스계 캐나다인 혈통이었고, 어머니는 유대인이었다. 특히 그의 외조부모는 독실한 정통파 유대교 신자였으며, 부드로는 어릴 적 그들과 함께 유월절 세데르(Seder)를 기념하기도 했다. 부모의 이혼 후, 그는 아버지의 보살핌 아래 가톨릭 신앙으로 성장했다.
2.2. 학창 시절과 다중 스포츠 활동
부드로는 하비의 손턴 타운십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고등학교 농구팀 "플라잉 클라우즈"를 이끌고 3년 연속 일리노이 고등학교 남자 농구 챔피언십 결승전에 진출했으며, 1933년에는 우승을 차지하고 1934년과 1935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졸업 후, 그는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 진학하여 파이 시그마 카파 친목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대학 시절에는 농구팀과 야구팀의 주장을 맡았으며, 1936-37 시즌에는 두 팀 모두를 빅 텐 콘퍼런스 챔피언십으로 이끌었다. 1937-38 농구 시즌에는 NCAA 남자 농구 올아메리칸 선수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재학 중,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단장이었던 사이 슬래프니카는 부드로에게 졸업 후 인디언스에서 야구를 하겠다는 계약의 대가로 거액의 돈을 지급했다. 이 계약으로 인해 부드로는 빅 텐 콘퍼런스 관계자들에 의해 대학 스포츠 자격을 상실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1940년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교육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39년과 1940년에는 일리노이 프레시맨 농구 코치로 일했다. 1941-42 시즌에는 일리노이 남자 농구팀의 보조 코치로 활동하며 미래의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앤디 필립을 영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그는 일리노이 주립대학에서 마지막 학년을 보내는 동안 내셔널 농구 리그의 해먼드 시저 올아메리칸스에서 프로 농구 선수로 뛰기도 했다.
3. 프로 야구 경력
루 부드로는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서 뛰어난 선수 겸 감독으로 활약하며 팀을 월드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고, 이후 다른 팀에서도 감독 경력을 이어갔다.
3.1.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선수 및 선수 겸 감독 (1938-1950)
부드로는 1938년 9월 9일, 21세의 나이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소속으로 3루수로 메이저리그에 데뷔했다. 1939년, 인디언스의 감독 오시 비트는 그에게 주전 3루수 자리를 이미 켄 켈트너가 차지하고 있으므로 유격수로 포지션을 변경해야 한다고 말했다.
1940년, 유격수 주전으로서 첫 풀 시즌을 보낸 부드로는 타율 .295, 46 2루타, 101 타점을 기록하며 올스타전에 처음으로 선정되었다. 그는 이후 1945년 올스타전이 전쟁으로 취소된 것을 제외하고 5년 연속 올스타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1940년부터 1948년까지 9년간 아메리칸 리그 유격수 부문에서 8차례 수비율 1위를 기록하며 견고한 수비력을 보여주었다.
부드로는 1941년 7월 17일, 조 디마지오의 56경기 연속 안타 기록을 중단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경기 초반 켈트너가 3루에서 강한 땅볼을 두 차례 멋지게 막아낸 후, 부드로는 유격수 자리로 온 바운드성 타구를 맨손으로 잡아내어 병살타를 완성시키며 디마지오를 1루에서 아웃시켰다. 그는 이 시즌을 타율 .257로 마쳤지만, 리그 최다인 45개의 2루타를 기록했다.
1941년 시즌 후, 구단주 알바 브래들리는 인디언스의 감독 로저 페킨포를 단장으로 승진시키고, 25세의 부드로를 선수 겸 감독으로 임명했다. 부드로는 관절염으로 인해 발목에 무리가 있어 4-F 등급을 받아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 복무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전쟁 기간 동안 인디언스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뛰었다. 1944년, 부드로는 134개의 병살타를 유도하며 메이저리그 선수 겸 감독 역사상 최다 기록을 세웠다.
1947년 빌 빅이 인디언스를 인수한 후, 부드로의 요청에 따라 선수 겸 감독 계약을 갱신했다. 부드로는 유격수로만 뛰는 것보다 트레이드되기를 원한다고 밝히며 양측 모두 복잡한 감정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계약이 유지되었다. 1947년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의 번 스티븐스와 트레이드될 가능성이 있다는 소식은 오히려 팬들이 부드로를 지지하게 만들었다. 부드로는 1948년에 타율 .355를 기록했으며, 인디언스는 아메리칸 리그 페넌트 레이스에서 우승하고 월드시리즈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인디언스가 28년 만에, 구단 역사상 두 번째로 월드시리즈 챔피언십을 차지한 것이었으며, 빅 구단주와 부드로는 팀 성공에 서로의 역할을 공개적으로 인정했다.
3.2. 보스턴 레드삭스 및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1951-1957)
1950년 시즌을 마친 후 부드로는 선수 겸 감독으로서 인디언스에서 방출되었다. 그는 보스턴 레드삭스와 계약하여 1951년에는 풀타임 선수로 뛰었고, 1952년에는 선수 겸 감독이 되었으며, 1953년부터 1954년까지는 벤치에서 감독직을 수행했다.
이후 1955년, 필라델피아에서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로 연고지를 옮긴 팀의 첫 감독이 되었다. 그는 1957년 104경기 만에 해고되기 전까지 팀을 이끌었으며, 해리 크래프트가 후임으로 부임했다.
3.3. 시카고 컵스 감독 (1960)
부드로의 마지막 감독 경력은 1960년 시카고 컵스에서였다. 그는 시카고 컵스를 단 한 시즌 동안만 감독했으며, 이후 다시 방송 해설가로 복귀했다.
3.4. 감독 통산 기록
부드로는 총 16시즌 동안 감독을 역임하며 1,162승 1,224패, 승률 .487을 기록했다. 1948년 월드시리즈 우승 외에 두 차례 3위를 기록했다. 그는 밥 레몬을 유격수에서 투수로 성공적으로 전환시킨 것으로 유명하며, 레몬은 이후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팀 | 연도 | 정규 시즌 | 포스트시즌 | |||||||
---|---|---|---|---|---|---|---|---|---|---|
경기 수 | 승 | 패 | 승률 | 최종 순위 | 승 | 패 | 승률 | 결과 | ||
CLE | 1942 | 154 | 75 | 79 | .487 | AL 4위 | - | - | - | - |
CLE | 1943 | 153 | 82 | 71 | .536 | AL 3위 | - | - | - | - |
CLE | 1944 | 154 | 72 | 82 | .468 | AL 6위 | - | - | - | - |
CLE | 1945 | 145 | 73 | 72 | .503 | AL 5위 | - | - | - | - |
CLE | 1946 | 154 | 68 | 86 | .442 | AL 6위 | - | - | - | - |
CLE | 1947 | 154 | 80 | 74 | .519 | AL 4위 | - | - | - | - |
CLE | 1948 | 155 | 97 | 58 | .626 | AL 1위 | 4 | 2 | .667 | 월드시리즈 우승 (보스턴 브레이브스) |
CLE | 1949 | 154 | 89 | 65 | .578 | AL 3위 | - | - | - | - |
CLE | 1950 | 154 | 92 | 62 | .597 | AL 4위 | - | - | - | - |
CLE 합계 | 1377 | 728 | 649 | .529 | 4 | 2 | .667 | |||
BOS | 1952 | 154 | 76 | 78 | .494 | AL 6위 | - | - | - | - |
BOS | 1953 | 153 | 84 | 69 | .549 | AL 4위 | - | - | - | - |
BOS | 1954 | 154 | 69 | 85 | .448 | AL 4위 | - | - | - | - |
BOS 합계 | 461 | 229 | 232 | .497 | 0 | 0 | - | |||
KC | 1955 | 154 | 61 | 93 | .396 | AL 6위 | - | - | - | - |
KC | 1956 | 154 | 52 | 102 | .338 | AL 8위 | - | - | - | - |
KC | 1957 | 103 | 36 | 67 | .350 | 해고 | - | - | - | - |
KC 합계 | 411 | 151 | 260 | .367 | 0 | 0 | - | |||
CHC | 1960 | 137 | 54 | 83 | .394 | NL 7위 | - | - | - | - |
CHC 합계 | 137 | 54 | 83 | .394 | 0 | 0 | - | |||
총합 | 2386 | 1162 | 1224 | .487 | 4 | 2 | .667 |
4. 프로 야구 선수 통산 기록
팀 | 연도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CLE | 1938 | 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500 | .000 | .500 |
CLE | 1939 | 53 | 225 | 58 | 15 | 4 | 0 | 19 | 2 | 28 | 5 | .258 | .340 | .360 | .700 |
CLE | 1940 | 155 | 627 | 185 | 46 | 10 | 9 | 101 | 6 | 73 | 39 | .295 | .370 | .443 | .814 |
CLE | 1941 | 148 | 579 | 149 | 45 | 8 | 10 | 56 | 9 | 85 | 57 | .257 | .355 | .415 | .770 |
CLE | 1942 | 147 | 506 | 143 | 18 | 10 | 2 | 58 | 7 | 75 | 39 | .283 | .379 | .370 | .749 |
CLE | 1943 | 152 | 539 | 154 | 32 | 7 | 3 | 67 | 4 | 90 | 31 | .286 | .388 | .388 | .776 |
CLE | 1944 | 150 | 584 | 191 | 45 | 5 | 3 | 67 | 11 | 73 | 39 | '.327' | .406 | .437 | .843 |
CLE | 1945 | 97 | 345 | 106 | 24 | 1 | 3 | 48 | 0 | 35 | 20 | .307 | .374 | .409 | .783 |
CLE | 1946 | 140 | 515 | 151 | 30 | 6 | 6 | 62 | 6 | 40 | 14 | .293 | .345 | .410 | .755 |
CLE | 1947 | 150 | 538 | 165 | 45 | 3 | 4 | 67 | 1 | 67 | 10 | .307 | .388 | .424 | .811 |
CLE | 1948 | 152 | 560 | 199 | 34 | 6 | 18 | 106 | 3 | 98 | 9 | '.355' | '.453' | '.534' | '.987' |
CLE | 1949 | 134 | 475 | 135 | 20 | 3 | 4 | 60 | 0 | 70 | 10 | .284 | .381 | .364 | .745 |
CLE | 1950 | 81 | 260 | 70 | 13 | 2 | 1 | 29 | 1 | 31 | 5 | .269 | .349 | .346 | .695 |
BOS | 1951 | 82 | 273 | 73 | 18 | 1 | 5 | 47 | 1 | 30 | 12 | .267 | .353 | .396 | .748 |
BOS | 1952 | 4 | 2 | 0 | 0 | 0 | 0 | 2 | 0 | 0 | 0 | .000 | .001 | .002 | .003 |
MLB 총합 | 1646 | 6029 | 1779 | 385 | 66 | 68 | 789 | 51 | 796 | 309 | .295 | .380 | .415 | .795 |
5. 부드로 시프트
부드로는 소위 "부드로 시프트"로 알려진 내야 시프트를 고안한 것으로 인정받는다. 1946년 7월 14일, 보스턴 레드삭스의 강타자 테드 윌리엄스가 강력한 풀히터였기 때문에, 부드로는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야수 대부분을 2루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변칙 수비 시프트를 지시했다. 이로 인해 3루수와 좌익수만이 2루 왼쪽 지역을 담당했지만, 이들 역시 평소 위치보다 훨씬 2루에 가까운 곳에 배치되었다.

부드로는 나중에 이 시프트가 윌리엄스를 실제로 막는 전술이라기보다는 "심리적으로 흔들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고 인정했다. 그는 자서전 『선수 겸 감독』에서 "나는 부드로 시프트를 전술적인 것보다는 심리적인 책략으로 항상 간주했다"고 기술했다. 윌리엄스는 특유의 완고한 자존심 때문에 동료들의 명백한 조언에도 불구하고 부드로 시프트를 상대로 좌익수 방향으로 번트를 대거나 타구를 보내는 것을 거부했다. 비록 윌리엄스는 대단한 타자였기에 이러한 수비 변화가 그의 타격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일본 프로 야구의 왕정치를 막기 위해 고안된 "왕 시프트"의 원형이 이 "부드로 시프트"에서 비롯되었다는 평가도 있다.
6. 방송인 경력
프로 야구 감독 은퇴 후, 부드로는 1958년부터 1959년까지 시카고 컵스 경기의 실황 중계를 맡았고, 1960년에는 감독 찰리 그림과 역할을 바꿔 감독직을 수행했다. 그러나 시카고 컵스 감독으로 단 한 시즌만 보낸 후, 부드로는 1987년까지 라디오 중계석으로 복귀하여 활동했다.
그는 또한 1966년부터 1968년까지 NBA의 시카고 불스 경기의 라디오 실황 중계를 맡았고, WGN 라디오와 WGN-TV에서 시카고 블랙호크스 경기를 중계하기도 했다.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해설가였던 부드로의 존재는 적어도 한 경기에 영향을 미쳤다. 1976년 6월 23일, 컵스는 리그 필드에서 열린 피츠버그 파이리츠와의 더블헤더 2차전 4회에 2점 뒤진 상황에서 심판들이 리그 필드에 조명이 없었기 때문에 어둠 때문에 경기를 중단시켰다. 심판들은 다음 날 경기가 중단된 지점에서 재개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부드로는 경기장의 다른 누구보다 규칙을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즉시 클럽하우스로 내려가 심판들에게 아직 공식 경기가 아닌 경기는 서스펜디드 게임(Suspended game)으로 처리될 수 없으며(5이닝 또는 홈팀이 앞선 4.5이닝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 따라서 첫 투구부터 다시 진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심판들은 내셔널 리그 사무실에 연락하여 부드로의 말이 옳다는 것을 확인했고, 컵스가 2점 뒤지던 상황은 사라지게 되었다.
7. 말년, 영예, 그리고 유산
루 부드로는 야구계에 깊은 족적을 남겼으며, 그의 공헌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려졌다.
7.1.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
부드로는 1970년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77.33%의 득표율로 헌액되었다. 이는 10번째 투표 만에 달성한 것이었다.
7.2. 영구 결번 및 기타 기림

그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1970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는 그가 선수 시절 달았던 등번호 5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 그는 보스턴 레드삭스에서는 등번호 4번을 달고 뛰었다. 1973년 클리블랜드 시는 클리블랜드 시립 경기장과 접한 거리의 이름을 "부드로 드라이브"로 바꾸어 그의 이름을 기렸다. 일리노이주 어배너에 있는 부드로 드라이브(Boudreau Drive) 또한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1990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는 매년 구단 마이너 리그 올해의 선수에게 수여하는 "루 부드로 어워드"를 제정했다. 1992년에는 일리노이 대학교 야구팀 또한 부드로의 등번호 5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 부드로는 일리노이 파이팅 일라이니 소속 선수 중 등번호가 영구 결번으로 지정된 단 세 명의 선수 중 한 명이며, 다른 두 명은 일리노이 풋볼 선수인 레드 그레인지와 딕 버트커스이다.
또한 부드로는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명예의 전당과 시카고 컵스 명예의 전당에도 헌액되었다.
8. 사생활과 죽음
루 부드로는 선수 생활 외적으로도 충실한 삶을 살았으며, 가족과의 관계를 소중히 했다.
8.1. 가족 관계
부드로는 1938년 델라 더루이터와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의 딸 셰린은 데니 맥클레인과 결혼했다. 맥클레인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전설적인 투수이자 메이저리그 마지막 30승 투수(1968년 월드시리즈 우승팀에서 31승 6패 기록)로 알려져 있다.
8.2. 사망
부드로는 오랜 기간 일리노이주 프랑크포트에 집을 두고 거주했다. 그는 2001년 8월 10일, 84세의 나이로 일리노이주 올림피아 필즈에 위치한 세인트 제임스 의료 센터에서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그는 가톨릭 장례식을 치렀으며, 시신은 플레전트 힐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