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라바 마제르는 1958년 12월 15일, 알제리의 수도 알제의 후세인데이 지역에서 카빌인 혈통으로 태어났다. 그의 고향은 티그지르트이다.
2. 선수 경력
라바 마제르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활약한 알제리의 전설적인 공격수이다. 그는 알제리 리그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프랑스와 포르투갈, 스페인 등 유럽 주요 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1. 클럽 경력
마제르는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각 팀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특히 FC 포르투에서의 활약은 그의 선수 경력에서 가장 빛나는 부분으로 평가받는다.
2.1.1. NA 후세인 데이
마제르는 1973년부터 1983년까지 고향 팀인 NA 후세인 데이에서 활약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이 기간 동안 94경기에 출전하여 58골을 기록하며 팀의 핵심 공격수로 자리매김했다. 1978-79 시즌에는 알제리컵 우승을 차지했고, 1978년에는 아프리칸 컵위너스컵에서 준우승을 기록하며 아프리카 무대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2.1.2. 라싱 클뢰브 드 프랑스
1983년, 마제르는 유럽 무대로 진출하여 프랑스의 라싱 클뢰브 드 프랑스에 입단했다. 그는 이곳에서 1년 반 동안 활약하며 1983-84 시즌에 27경기에서 20골을 기록하는 등 뛰어난 득점력을 선보였다. 총 50경기에 출전하여 23골을 기록했다.
2.1.3. 투르 FC
1984-85 시즌 후반기에는 또 다른 프랑스 구단인 투르 FC로 임대되어 시즌을 마쳤다. 투르 FC에서 그는 7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2.1.4. FC 포르투
마제르는 1985-86 시즌에 FC 포르투에 입단하며 그의 경력에 전환점을 맞이했다. 포르투에서 그는 6년 동안 108경기에 출전하여 46골을 기록하며 클럽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특히 1986-87 시즌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역사적인 활약을 펼쳤다. 그는 1-1 동점골을 힐 킥으로 성공시키며 경기의 흐름을 바꾸었고, 이어서 주아리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하여 포르투의 2-1 승리와 함께 구단 역사상 첫 유러피언컵 우승을 안겼다. 이 힐 킥 골은 축구 역사에 길이 남을 명장면으로 회자되며, 전설적인 선수 펠레는 이 골에 대해 "내가 본 골 중 가장 아름다운 골일 것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다시 봐야 한다"고 극찬했다고 전해진다.
같은 해, 마제르는 인터콘티넨털컵에서도 페냐롤을 상대로 영리한 루프 슛으로 결승골을 넣어 팀의 우승을 이끌었으며, 이 대회에서 최우수 선수(MVP)로 선정되었다. 1987년의 이러한 활약으로 그는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1987-88 시즌 전반기에는 11경기에서 10골을 기록하며 절정의 기량을 과시했다. 1988년 여름, 그는 인테르나치오날레로 이적할 예정이었으나, 과거의 심각한 허벅지 근육 부상이 의료 검진에서 확인되어 계약이 공식적으로 무산되는 아쉬움을 겪었다. 또한, 요한 크라위프 감독이 이끌던 아약스와 바이에른 뮌헨도 마제르 영입에 관심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2.1.5. 발렌시아 CF
1988년 1월, 마제르는 라리가의 발렌시아와 임대 계약을 맺고 스페인 무대에서 활약했다. 그는 발렌시아에서 14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한 후, 시즌 종료와 함께 다시 FC 포르투로 복귀하여 3시즌을 더 뛰었다.
2.1.6. 카타르 SC
마제르는 1992년, 거의 34세의 나이로 카타르 스포츠단에서 짧은 기간 활약한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카타르 SC에서 그는 9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
2.2. 국가대표팀 경력
라바 마제르는 1978년부터 1992년까지 14년간 알제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 그는 알제리 축구 역사상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한 선수 중 한 명으로, 총 87경기에 출전하여 28골을 기록했다.
그는 알제리의 첫 월드컵 본선 진출을 이끌며 1982년과 1986년 월드컵에 참가했다. 특히 1982년 월드컵 조별리그에서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서독을 상대로 54분 선제골을 터뜨려 알제리의 2-1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 경기는 월드컵 역사상 가장 큰 이변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또한 마제르는 199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알제리의 우승을 이끌었다. 개최국으로서 알제리는 개막전에서 나이지리아를 5-1로 대파했고, 결승전에서도 나이지리아를 1-0으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3. 은퇴 후 활동
선수 은퇴 후, 라바 마제르는 축구 감독, 분석가, 그리고 사회 활동가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1993년, 마제르는 알제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며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그러나 1994년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에 실패하자 사임하고, 친정팀인 FC 포르투의 유소년 코디네이터로 복귀했다.
이후 그는 카타르로 건너가 알 사드(1997-1998)와 알-와크라(1998-1999) 등 카타르 클럽들을 지휘했다. 1999년에는 다시 알제리 국가대표팀 감독을 잠시 맡았고, 2년 후인 2001년에도 재차 대표팀 지휘봉을 잡았으나 2002년 여름 내홍 끝에 사퇴했다. 2005년에는 카타르의 알 라이얀 감독으로 취임했다.
2017년 7월, 루카스 알카라스 감독이 2018년 월드컵 본선 진출 실패로 사임하자, 마제르는 논란 속에 10년 만에 다시 알제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그는 6번의 친선경기를 포함한 7경기에서 단 2승에 그치며 이듬해 6월 경질되었다.
감독직을 내려놓은 후, 마제르는 카타르의 알 자지라 스포츠(현재 비인스포츠)에서 프로 축구 분석가로 활동하며 방송계에서도 이름을 알렸다. 2011년에는 유네스코 친선 홍보대사로 위촉되어 교육, 과학, 문화 분야에서 유네스코의 목표를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2009년에는 UEFA 트로피 투어 친선 홍보대사로도 활동했다.
4. 개인 생활
라바 마제르의 아들인 로트피 마제르 또한 축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청소년 시절 카타르 국가대표로 뛰었다.
5. 통계
5.1. 클럽 통계
구단 | 시즌 | 리그 | 컵 | 리그컵 | 대륙 | 기타 | 합계 | |||||||
---|---|---|---|---|---|---|---|---|---|---|---|---|---|---|
리그명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나스르 아틀레티크 | 1978-79 | 나시오날 1 | | | | |colspan="2"|-| | |6|1| | | |||||||||||
1979-80 | | | | |colspan="2"|-| | |4|3| | | |||||||||||||
1980-81 | | | | |colspan="2"|-|colspan="2"|-| | | | | |||||||||||||
1981-82 | | | | |colspan="2"|-|colspan="2"|-| | | | | |||||||||||||
1982-83 | | | | |colspan="2"|-|colspan="2"|-| | | | | |||||||||||||
합계 | 94 | 58 | 0 | 0 | 10 | 4 | 0 | 0 | 104 | 62 | ||||
라싱 파리 | 1983-84 | 디비시옹 1 | 27 | 20 | 5 | 0 | - | - | - | 32 | 20 | |||
1984-85 | 디비시옹 1 | 23 | 3 | 5 | 2 | - | - | - | 28 | 5 | ||||
합계 | 50 | 23 | 10 | 2 | - | - | - | 60 | 25 | |||||
투르 (임대) | 1984-85 | 디비시옹 1 | 7 | 2 | - | - | - | 7 | 2 | |||||
포르투 | 1985-86 | 프리메이라 디비상 | 19 | 12 | 2 | 1 | - | - | 2 | 0 | 23 | 13 | ||
1986-87 | 20 | 6 | 6 | 4 | - | 6 | 3 | 1 | 1 | 33 | 14 | |||
1987-88 | 11 | 8 | 0 | 0 | - | 4 | 4 | 1 | 1 | 16 | 15 | |||
1988-89 | 24 | 6 | 2 | 3 | - | 3 | 1 | - | 29 | 10 | ||||
1989-90 | 26 | 13 | 1 | 1 | - | 6 | 2 | - | 33 | 16 | ||||
1990-91 | 8 | 1 | 0 | 0 | - | 4 | 4 | 1 | 0 | 13 | 5 | |||
합계 | 108 | 46 | 11 | 9 | 0 | 0 | 23 | 14 | 5 | 2 | 138 | 71 | ||
발렌시아 (임대) | 1987-88 | 라 리가 | 14 | 4 | 0 | 0 | - | - | - | 14 | 4 | |||
카타르 스포츠단 | 1991-92 | 카타르 스타스 리그 | 9 | 6 | - | - | - | 9 | 6 | |||||
경력 합계 | 282 | 139 |
5.2. 국가대표팀 통계
아래의 점수에서 왼쪽의 점수가 알제리의 점수이며, 점수 열은 마제르 득점 상황의 점수를 나타낸다.
# | 날짜 | 경기장 | 상대 | 점수 | 결과 | 대회 |
---|---|---|---|---|---|---|
1 | 1980년 6월 20일 | 알제리, 오랑, 1965·6·19 경기장 | 시에라리온 | 3-1 | 3-1 | 1982년 월드컵 예선전 |
2 | 1980년 7월 20일 | 소련, 민스크, 디나모 스타디움 | 시리아 | 2-0 | 3-0 | 1980년 하계 올림픽 |
3 | 1981년 4월 10일 | 알제리, 오랑, 1965·6·19 경기장 | 말리 | 3-0 | 5-1 | 198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전 |
4 | 4-0 | |||||
5 | 1981년 5월 1일 | 알제리, 콩스탕틴, 6·17 경기장 | 니제르 | 1-0 | 4-0 | 1982년 월드컵 예선전 |
6 | 1981년 8월 30일 | 알제리, 오랑, 1965·6·19 경기장 | 오트볼타 | 1-0 | 7-0 | 198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전 |
7 | 2-0 | |||||
8 | 1981년 10월 30일 | 알제리, 콩스탕틴, 6·17 경기장 | 나이지리아 | 2-1 | 2-1 | 1982년 월드컵 예선전 |
9 | 1982년 4월 25일 | 알제리, 알제, 1962·7·5 경기장 | 페루 | 1-1 | 1-1 | 친선경기 |
10 | 1982년 4월 28일 | 알제리, 알제, 1962·7·5 경기장 | 아일랜드 | 2-0 | 2-0 | 친선경기 |
11 | 1982년 6월 16일 | 스페인, 히혼, 엘 몰리논 | 서독 | 1-0 | 2-1 | 1982년 월드컵 |
12 | 1983년 4월 8일 | 알제리, 알제, 1962·7·5 경기장 | 베냉 | 4-0 | 6-2 | 198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전 |
13 | 6-0 | |||||
14 | 1983년 4월 26일 | 베냉, 코토누, 라미티에 경기장 | 베냉 | 1-1 | 1-1 | 198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전 |
15 | 1983년 6월 10일 | 알제리, 알제, 1962·7·5 경기장 | 우간다 | 1-0 | 3-0 | 친선경기 |
16 | 1983년 8월 28일 | 알제리, 알제, 1962·7·5 경기장 | 세네갈 | 1-0 | 2-0 | 198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전 |
17 | 1984년 3월 17일 |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펠리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 | 이집트 | 1-0 | 3-1 | 198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18 | 1985년 7월 13일 | 알제리, 알제, 1962·7·5 경기장 | 잠비아 | 2-0 | 2-0 | 1986년 월드컵 예선전 |
19 | 1985년 8월 18일 | 알제리, 알제, 1962·7·5 경기장 | 케냐 | 3-0 | 3-0 |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전 |
20 | 1985년 10월 6일 | 튀니지, 튀니스, 엘 멘자흐 경기장 | 튀니지 | 1-1 | 1-4 | 1986년 월드컵 예선전 |
21 | 1985년 10월 18일 | 알제리, 알제, 1962·7·5 경기장 | 튀니지 | 1-0 | 3-0 | 1986년 월드컵 예선전 |
22 | 1986년 3월 14일 |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 경기장 | 카메룬 | 1-0 | 2-3 |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3 | 1987년 3월 27일 | 알제리, 알제, 1962·7·5 경기장 | 튀니지 | 1-0 | 1-0 | 198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전 |
24 | 1989년 1월 7일 | 알제리, 안나바, 1956·5·19 경기장 | 짐바브웨 | 3-0 | 3-0 | 1990년 월드컵 예선전 |
25 | 1989년 6월 25일 | 짐바브웨, 하라레, 국립 스포츠 경기장 | 짐바브웨 | 2-0 | 2-1 | 1990년 월드컵 예선전 |
26 | 1989년 8월 25일 | 알제리, 안나바, 1956·5·19 경기장 | 코트디부아르 | 1-0 | 1-0 | 1990년 월드컵 예선전 |
27 | 1990년 3월 2일 | 알제리, 알제, 1962·7·5 경기장 | 나이지리아 | 1-0 | 5-1 | 199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8 | 2-0 |
6. 수상 및 영예
라바 마제르는 선수로서 수많은 클럽 및 국가대표팀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개인적으로도 여러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하며 그의 뛰어난 기량을 인정받았다.
6.1. 클럽 수상
- NA 후세인 데이
- 알제리컵: 1978-79
- 아프리칸 컵위너스컵 준우승: 1978
- FC 포르투
- 프리메이라 디비상: 1985-86, 1987-88, 1989-90
- 타사 드 포르투갈: 1987-88, 1990-91
- 수페르타사 칸디두 드 올리베이라: 1986, 1990
- 유러피언컵: 1986-87
- 인터콘티넨털컵: 1987
- 유러피언 슈퍼컵: 1987
6.2. 국가대표팀 수상
- 알제리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90
- 아프로-아시안 네이션스컵: 1991
- 아프리칸 게임: 1978
6.3. 개인 수상
- 유러피언컵 득점왕: 1987-88 (4골)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의 선수단: 1982, 1990
-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 1987
- 인터콘티넨털컵 최우수 선수: 1987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우수 선수: 1990
- 마스터카드 아프리카 20세기의 선수단: 1998
-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 20세기의 선수 62위: 2000
- 아랍 20세기의 선수: 2004
- 알제리 20세기의 선수: 2009 (라흐다르 벨루미와 공동 선정)
- 알제리 올해의 축구 선수: 수 차례 선정
- 아프리카 20세기의 선수 5위
- 골든 풋 전설상: 2011
-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 전설상: 2016
7. 영향력 및 유산
라바 마제르는 알제리 축구 역사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차지하는 인물이다. 그는 단순히 뛰어난 기량의 선수를 넘어, 알제리 국민들에게 자부심과 희망을 안겨준 국가적 영웅으로 기억되고 있다. 특히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서독을 상대로 기록한 골과 1987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선보인 환상적인 힐 킥 골은 그의 상징이 되었으며, 전 세계 축구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 힐 킥은 그의 별명이자 기술적 우수성을 대표하는 '힐 킥의 마술사'라는 명예로운 칭호를 그에게 안겨주었다.
마제르는 알제리 축구의 황금기를 이끈 핵심 선수였으며, 그의 활약은 후대 알제리 축구 선수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그는 은퇴 후에도 감독으로서, 그리고 축구 분석가 및 유네스코 친선 홍보대사로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축구계와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의 업적은 알제리 축구의 발전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축구의 위상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했으며, 그의 이름은 알제리 스포츠 역사에 영원히 빛나는 유산으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