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삶과 배경
1.1. 어린 시절과 유도 입문
디스트리아 크라스니치는 코소보의 페이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신장 1.53 m이며 7세에 유도를 시작했으며, 오빠의 격려로 유도 훈련을 이어갔다. 그녀의 재능을 일찍이 알아본 드리톤 쿠카 코치(Driton Kuka)의 지도 아래 유도 훈련을 받으며 성장했다. 쿠카 코치는 그녀의 훈련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녀의 기술과 전술을 다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녀는 2012년 U23 유럽 선수권 대회 52kg급에서 3위를 차지하며 주목받기 시작했고, 2013년에도 U23 유럽 선수권 대회와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각각 3위에 오르며 주니어 무대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냈다. 같은 해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2. 유도 경력
크라스니치는 주니어 및 U23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성인 무대에 진출한 이후 체급 조정을 통해 경쟁력을 더욱 높였다. 그녀는 주요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세계 정상급 유도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2.1. 경력 발전과 체급 변동
크라스니치는 경력 초기에 52kg급에서 활동했다. 2014년에는 체급을 48kg으로 낮춰 유럽 오픈 소피아에서 성인 국제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고, 같은 해 그랑프리 뒤셀도르프에서 3위에 올랐다. 이후 다시 52kg급으로 복귀하여 2015년 3월 그랑프리 트빌리시에서 첫 IJF 월드 유도 투어 우승을 기록했다. 5월 그랜드 슬램 바쿠에서도 3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당시 코소보 52kg급에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마일린다 켈멘디가 있었고, 그녀는 리우 올림픽 출전권을 놓쳤다. 2018년 중반, 크라스니치는 2020년 도쿄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하기 위해 다시 48kg급으로 전환했다. 이는 같은 체급의 마일린다 켈멘디와 2018년 유럽 챔피언인 노라 자코바와의 경쟁을 피하기 위함이었다. 이 결정은 그녀의 경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2020년 그랜드 슬램 파리에서는 다시 52kg급으로 출전하여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이후 2021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48kg급으로 출전했고,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도 48kg급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1년 그랜드 슬램 바쿠부터는 52kg급으로 출전하기 시작하여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52kg급 은메달을 획득했다.
2.2. 주요 국제 대회 성과
크라스니치는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 그리고 월드 마스터스 및 그랜드 슬램 등 주요 국제 무대에서 탁월한 기량을 선보이며 수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2.2.1. 올림픽
크라스니치는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코소보 대표로 출전하며 올림픽 데뷔를 알렸다. 그녀는 여자 48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마일린다 켈멘디에 이어 코소보 역사상 두 번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는 영광을 안았다. 이 메달은 코소보 스포츠의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여자 52kg급에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녀는 유도에서 여성 선수로는 최초로 두 체급에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려는 시도를 했으나, 은메달에 그쳤다.
2.2.2. 세계 선수권 대회
크라스니치는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꾸준히 좋은 성적을 냈다. 2019년 도쿄에서 열린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여자 48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타슈켄트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여자 52kg급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2021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쓰노다 나쓰미에게 패하고, 3위 결정전에서도 뭉흐바트 우란체체그에게 반칙패하며 5위에 머물렀다. 2023년 도하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여자 52kg급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일본의 아베 우타에게 패하며 5위를 기록했다.
2.2.3. 유럽 선수권 대회
그녀는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2021년 리스본에서 열린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여자 48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자그레브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여자 52kg급에서도 금메달을 차지하며 두 번째 유럽 챔피언 타이틀을 얻었다. 2018년 텔아비브 대회와 2023년 몽펠리에 대회에서는 각각 여자 52kg급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20년 프라하 대회 여자 48kg급과 2022년 소피아 대회 여자 52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3년 코소보 프리슈티나에서 열린 유럽 오픈 선수권 대회 여자 57kg급에서는 동메달을 추가하며 2.00 만 EUR의 상금을 받았다.
2.2.4. 월드 마스터스 및 그랜드 슬램
크라스니치는 월드 마스터스와 IJF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도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 월드 마스터스**:
- 금메달: 2018년 광저우 (48kg급), 2019년 칭다오 (48kg급), 2021년 도하 (48kg급, 도나키 푸나 격파), 2022년 예루살렘 (52kg급, 첼시 자일스 격파)
- 은메달: 2023년 부다페스트 (52kg급)
- 5위: 2017년 (52kg급)
- IJF 그랜드 슬램**:
- 금메달: 2020년 파리 (52kg급, 시시메 아이, 사라 메네제스, 오데테 주프리다 격파), 2020년 부다페스트 (48kg급, 파울라 파레토 격파), 2022년 트빌리시 (52kg급), 2023년 파리 (52kg급), 2024년 파리 (52kg급, 첼시 자일스 격파)
- 은메달: 2018년 아부다비 (48kg급), 2019년 파리 (48kg급, 곤도 아미에게 패배), 2022년 파리 (52kg급), 2023년 트빌리시 (52kg급), 2023년 바쿠 (52kg급)
- 동메달: 2015년 바쿠 (52kg급), 2017년 파리 (52kg급), 2018년 파리 (52kg급), 2024년 트빌리시 (52kg급), 2025년 파리 (52kg급)
- IJF 그랑프리**:
- 금메달: 2015년 삼순 (52kg급), 2017년 안탈리아 (52kg급), 2017년 헤이그 (52kg급), 2018년 안탈리아 (52kg급), 2018년 타슈켄트 (48kg급), 2019년 안탈리아 (48kg급), 2022년 알마다 (52kg급)
- 은메달: 2016년 부다페스트 (52kg급, 켈멘디에게 패배), 2016년 자그레브 (52kg급), 2018년 튀니스 (52kg급), 2019년 부다페스트 (48kg급, 도나키 푸나에게 패배), 2022년 자그레브 (52kg급, 아베 우타에게 패배)
- 동메달: 2014년 뒤셀도르프 (48kg급), 2015년 자그레브 (52kg급), 2016년 삼순 (52kg급), 2018년 부다페스트 (48kg급), 2018년 헤이그 (48kg급)
- 기타 대회**:
- 지중해 경기 대회: 2018년 타라고나 (52kg급 금메달), 2022년 오란 (52kg급 금메달)
-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2017년 아비장 (52kg급 금메달)
-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 2015년 아부다비 (52kg급 금메달) - 코소보 대표로서는 최초의 주니어 세계 챔피언 타이틀이었다. (참고: 2009년 켈멘디는 국제 유도 연맹의 이름으로 출전했음)
- 유럽 U23 유도 선수권 대회: 2016년 텔아비브 (52kg급 금메달), 2017년 포드고리차 (52kg급 금메달)
- 유럽 오픈 리스본: 2015년 (52kg급 은메달, 켈멘디에게 패배)
디스트리아 크라스니치의 주요 대회 성적 연도 대회 체급 메달 2012 U23 유럽 선수권 대회 52kg 동메달 2013 그랑프리 리예카 52kg 7위 2013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52kg 동메달 2013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52kg 7위 2013 U23 유럽 선수권 대회 52kg 동메달 2014 유럽 오픈 소피아 48kg 금메달 2014 그랜드 슬램 파리 48kg 5위 2014 그랑프리 뒤셀도르프 48kg 동메달 2015 그랑프리 트빌리시 52kg 금메달 2015 그랑프리 자그레브 52kg 동메달 2015 그랜드 슬램 바쿠 52kg 동메달 2015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52kg 동메달 2015 유럽 오픈 리스본 52kg 은메달 2015 그랜드 슬램 파리 52kg 5위 2015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52kg 금메달 2016 그랑프리 삼순 52kg 동메달 2016 그랑프리 부다페스트 52kg 은메달 2016 그랑프리 자그레브 52kg 은메달 2016 유럽 U23 선수권 대회 52kg 금메달 2017 유럽 오픈 소피아 52kg 동메달 2017 그랜드 슬램 파리 52kg 동메달 2017 그랑프리 안탈리아 52kg 금메달 2017 그랑프리 헤이그 52kg 금메달 2017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52kg 금메달 2017 월드 마스터스 52kg 5위 2018 그랑프리 튀니스 52kg 은메달 2018 그랜드 슬램 파리 52kg 동메달 2018 그랑프리 안탈리아 52kg 금메달 2018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52kg 은메달 2018 지중해 경기 대회 52kg 금메달 2018 그랑프리 부다페스트 48kg 동메달 2018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 48kg 은메달 2018 그랑프리 타슈켄트 48kg 금메달 2018 그랑프리 헤이그 48kg 동메달 2018 월드 마스터스 광저우 48kg 금메달 2019 그랜드 슬램 파리 48kg 은메달 2019 그랑프리 안탈리아 48kg 금메달 2019 그랑프리 부다페스트 48kg 은메달 2019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48kg 동메달 2019 월드 마스터스 칭다오 48kg 금메달 2020 그랜드 슬램 파리 52kg 금메달 2020 그랜드 슬램 부다페스트 48kg 금메달 2020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48kg 동메달 2020 도쿄 올림픽 48kg 금메달 2021 월드 마스터스 도하 48kg 금메달 2021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48kg 금메달 2021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48kg 5위 2021 그랜드 슬램 바쿠 52kg 5위 2022 그랑프리 알마다 52kg 금메달 2022 그랜드 슬램 파리 52kg 은메달 2022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52kg 동메달 2022 그랜드 슬램 트빌리시 52kg 금메달 2022 지중해 경기 대회 52kg 금메달 2022 그랑프리 자그레브 52kg 은메달 2022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52kg 동메달 2022 월드 마스터스 예루살렘 52kg 금메달 2023 그랜드 슬램 파리 52kg 금메달 2023 그랜드 슬램 트빌리시 52kg 은메달 2023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52kg 5위 2023 월드 마스터스 부다페스트 52kg 은메달 2023 그랜드 슬램 바쿠 52kg 은메달 2023 유럽 오픈 선수권 대회 57kg 동메달 2024 그랜드 슬램 파리 52kg 금메달 2024 그랜드 슬램 트빌리시 52kg 동메달 2024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52kg 금메달 2024 파리 올림픽 52kg 은메달 2025 그랜드 슬램 파리 52kg 동메달 2024 파리 올림픽 여자 52kg급 시상식에 선 디스트리아 크라스니치 2020 도쿄 올림픽 금메달을 선보이는 크라스니치
3. 군 경력
크라스니치는 알바니아군에서 복무한 경력이 있다. 2021년부터 알바니아 국군에서 복무 중이며, 대령 계급을 가지고 있다.
4. 수상 및 표창
크라스니치는 유도에서의 탁월한 업적과 더불어 여러 주요 상과 표창을 받았다. 2021년 8월, 그녀는 알바니아 대통령으로부터 국가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같은 해 12월에는 IJF 연례 시상식인 '2021 유도 어워즈'에서 올해의 여자 선수로 선정되는 영광을 안았다.
5. 유산과 영향
디스트리아 크라스니치는 코소보 유도계와 스포츠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코소보 역사상 두 번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서, 스포츠를 통한 국가적 자부심을 고취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녀의 성공은 특히 젊은 코소보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며, 그들이 국제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현재 그녀는 국제 유도 연맹 세계 랭킹 1위(2025년 2월 3일 기준)를 기록하며 꾸준히 세계 정상급 기량을 유지하고 있다. 그녀의 뛰어난 업적은 코소보를 넘어 전 세계 유도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