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도널드 아서 노먼(Donald Arthur Norman영어)은 1935년 12월 25일에 태어난 미국의 저명한 인지 과학자, 인지 공학자, 연구자, 교수, 그리고 작가이다. 그는 사용성 공학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의 선구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그의 대표작인 누가 디자인했는가?를 통해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개념을 대중화하고 디자인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노먼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UCSD) 인지과학과의 명예교수이자 디자인 랩(The Design Lab영어)의 책임자로 재직했으며,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도 교수로 활동했다.
그는 1998년 제이콥 닐슨과 함께 닐슨 노먼 그룹을 공동 설립하여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야의 컨설팅 및 연구를 선도해 왔다. 노먼의 작업은 기술과 디자인이 인간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며, 초기 '사용자 중심 디자인'에서 확장된 '인간 중심 디자인'의 개념을 주창하며 기술이 인간의 필요와 능력에 부합해야 함을 강조한다. 그는 특히 제품과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이해 가능하고 직관적이며, 나아가 즐거운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의 비판적 관점은 디자인 연구 커뮤니티가 제품 혁신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며, 실제 돌파구는 기술자들이 이룬다고 보면서, 기술과 디자인의 균형 잡힌 발전을 촉구한다. 이러한 공헌으로 2006년 컴퓨터 및 인지 과학 분야에서 벤자민 프랭클린 메달을 수상하는 등 여러 상을 받았다.
2. 생애와 학력
도널드 노먼은 미국의 인지 과학 및 디자인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그의 학문적 배경은 전기공학에서 시작하여 심리학, 그리고 인지 과학으로 확장되었다.
2.1. 초기 생애 및 학력
도널드 아서 노먼은 1935년 12월 25일에 태어났다. 그는 1957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전기공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며 초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전기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같은 대학의 수리 심리학 그룹에서 1962년에 심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박사 학위 지도 교수는 R. 던컨 루스였다.
2.2. 초기 학술 경력
박사 학위 취득 후, 노먼은 하버드 대학교의 인지 과학 센터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1년 만에 강사로 임용되었다. 하버드에서 4년간 근무한 후, 1966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UCSD) 심리학과에 부교수로 부임했다. 그는 공학자, 컴퓨터 과학자, 실험 및 수리 심리학자로서의 자신의 훈련을 당시 새로 부상하던 인지 과학 분야에 적용했다. 노먼은 결국 UCSD에서 인지과학과의 초대 학과장을 역임했으며, 심리학과의 학과장도 겸임했다. UCSD에서 그는 인지 과학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1979년 UCSD 캠퍼스에서 첫 회의를 개최한 인지 과학회의 창립자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다른 창립자로는 로저 섕크, 앨런 콜린스 등이 있다). 또한 그는 심리학자 팀 섈리스와 함께 집행 기능의 주의 통제 프레임워크를 제안했으며, 이 노먼-섈리스 모델의 구성 요소 중 하나가 감독 주의 시스템이다.
3. 전문 경력
노먼은 학계와 산업계를 넘나들며 인지 과학과 디자인 분야에 독보적인 족적을 남겼다. 그의 경력은 인지 과학을 실제 세계의 문제에 적용하는 인지 공학으로의 전환과, 기술 기업에서의 핵심 역할, 그리고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야의 선구자로서의 활동으로 요약될 수 있다.
3.1. 인지 공학으로의 전환
노먼은 컨설턴트이자 작가로서 인지 과학에서 인지 공학 분야로 전환했다. 특히 1981년 데이터메이션(Datamation영어)에 기고한 기고문 "유닉스에 대한 진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끔찍하다"(The truth about Unix: The user interface is horrid영어)는 그를 컴퓨터 업계의 저명한 인물로 부상시켰다. 이로 인해 그의 경력은 학계를 넘어 확장되었지만, 그는 1993년까지 UCSD에서의 활동을 병행했다. 노먼은 인간 중심 디자인의 발전을 위해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과 같은 수많은 대학교 및 정부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현재 그는 모토로라, 도요타 국립 공과대학, TED 콘퍼런스, 파나소닉,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등 여러 위원회와 자문 위원회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그는 또한 1979년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특별 조사팀의 일원이기도 했다.
3.2. 산업계에서의 역할
1993년, 노먼은 UCSD를 떠나 애플 컴퓨터에 합류했다. 처음에는 '사용자 경험 설계자'(User Experience Architect영어)라는 직책으로 애플 펠로우(Apple Fellow영어)를 맡았는데, 이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영어)이라는 용어가 직책명으로 사용된 첫 사례로 알려져 있다. 이후에는 애플 첨단 기술 그룹의 부사장으로 재직하며 회사의 휴먼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 데 기여했다. 애플을 떠난 후에는 휴렛 팩커드에서 근무했다.
3.3. 닐슨 노먼 그룹 설립
1998년, 노먼은 동료 제이콥 닐슨 및 브루스 토냐찌니와 함께 닐슨 노먼 그룹(Nielsen Norman Group영어, NN/g)을 공동 설립했다. 이 회사의 비전은 디자이너와 기업들이 더욱 인간 중심 제품과 인터넷 상호작용을 지향하도록 돕는 것이었으며,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야의 선구자로서 그 역할을 수행했다. 닐슨 노먼 그룹은 기업을 대상으로 사용자 경험 및 사용성 컨설팅 업무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3.4. 후기 학술 활동
산업계에서의 활동을 마친 후 노먼은 학계로 돌아와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컴퓨터 과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0년까지 시걸 디자인 연구소의 공동 책임자를 맡았다. 2014년에는 다시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로 돌아와 캘리포니아 통신 및 정보 기술 연구소 내에 신설된 디자인 랩(The Design Lab영어)의 책임자를 맡았다. 그는 또한 KAIST의 특훈 초빙 교수로 활동하며 매년 2개월씩 한국에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북륙첨단과학기술대학원대학에서도 강의를 진행한 바 있다.
4. 주요 기여와 철학
도널드 노먼은 인지 과학과 디자인 분야에서 혁신적인 사상과 이론을 제시하며 이 분야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그의 철학은 인간의 인지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재고하는 데 중점을 둔다.
4.1. 사용자 중심 디자인과 인간 중심 디자인
노먼은 1986년에 자신이 스티븐 W. 드레이퍼와 함께 편집한 책인 사용자 중심 시스템 디자인: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의 새로운 관점(User Centered System Design: New Perspectives on Human-computer Interaction영어)에서 "사용자 중심 디자인"이라는 용어를 처음 도입했다. 이 책의 서문에서 그는 디자이너가 시스템을 사용할 사람들에게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생각을 제시하며, "사람들은 인공물에 완전히 적응할 수 있을 만큼 적응력이 뛰어나지만, 능숙한 디자이너는 인공물을 사용자에게 맞춤으로써 이러한 부담의 상당 부분을 사라지게 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대표작인 일상생활의 디자인에서 노먼은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사용자의 요구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으로 설명하며, 미학과 같은 이차적인 고려 사항을 배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과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물을 시각화하며, 올바른 매핑을 만들고, 제약의 힘을 활용하며, 오류를 위한 디자인을 하고, 어포던스와 7단계 행동을 설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원칙과 특성들은 물리적 및 디지털 제품 디자인 분야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그의 책 우리를 똑똑하게 만드는 것들: 기계 시대에 인간의 특성 옹호(Things That Make Us Smart: Defending Human Attributes in the Age of the Machine영어)에서 노먼은 "인지적 인공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적 기능을 수행하고 인간의 인지 수행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정보를 유지, 표시 또는 작동하는 인공 장치"를 설명한다. 이 책에서도 노먼은 일상생활의 디자인과 유사하게 우리의 마음에 맞춰 기계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기계에 우리의 마음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일상생활의 디자인 개정판 서문에서 노먼은 미학에 대한 자신의 이전 주장을 철회하고 "사용자 중심 디자인"이라는 용어를 완전히 제거했다고 밝혔다. 그는 "책의 초판은 제품을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게 만드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제품의 총체적인 경험은 사용 편의성 그 이상을 포함한다. 미학, 즐거움, 재미는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즐거움과 감정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감정은 너무 중요해서 나는 디자인에서 감정이 하는 역할에 대해 감성 디자인이라는 책 한 권을 썼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인간 중심 디자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를 "인간의 필요, 능력, 행동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이러한 필요, 능력, 행동 방식을 수용하도록 디자인하는 접근 방식"으로 정의하고 있다.
4.2. 인지 시스템 공학
노먼은 인간의 인지와 복잡한 시스템을 통합하는 인지 시스템 공학 분야를 형성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이 분야는 인간과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최적화하여 복잡한 환경에서의 오류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는 시스템 설계 시 인간의 인지적 한계와 능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는 특히 위험이 높은 환경에서의 시스템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4.3. 감성 디자인 및 비판적 관점
노먼은 그의 저서 감성 디자인: 우리는 왜 일상의 사물을 사랑하거나 싫어하는가?(Emotional Design: Why We Love (or Hate) Everyday Things영어)에서 디자인이 단순히 기능적이거나 유용성을 넘어 감정적인 측면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탐구했다. 그는 감성적으로 감동을 주는 제품이 기능적, 경제적으로도 우수하다는 주장을 펼치며, 미학, 즐거움, 그리고 재미가 제품 경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노먼은 기술 및 디자인 연구에 대해 비판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 그는 디자인 연구 커뮤니티가 제품 혁신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며, 학계는 기존 제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실제적인 돌파구는 기술자들이 이룬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웹사이트 도메인을 JND(just-noticeable difference영어)로 명명했는데, 이는 '최소가지차이'를 의미하며 그가 변화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을 상징한다. 그의 저서 우리를 똑똑하게 만드는 것들에서는 많은 텔레비전이나 박물관 전시에서 볼 수 있는 가치 없는 콘텐츠에 대해서도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
5. 수상 및 영예
도널드 노먼은 인지 과학 및 디자인 분야에 대한 그의 지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수많은 상과 영예를 받았다.
- 1995년: 파도바 대학교에서 심리학 명예 박사 학위 (S. V. della laurea ad honorem라틴어) 수여.
- 델프트 공과대학교에서 산업 디자인 및 공학 명예 박사 학위 수여.
- 2001년: 컴퓨터 기계학회(ACM) 펠로우로 선정.
- 2001년: ACM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특별 이익 그룹(SIGDOC영어)으로부터 리고 어워드 수상.
- 2006년: 컴퓨터 및 인지 과학 분야에서 벤자민 프랭클린 메달 수상.
- 2009년: 디자인 연구 학회 명예 펠로우로 선출.
- 2011년: 인간 인지에 기반한 디자인 원리를 개발하여 사람과 기술 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킨 공로로 미국 공학한림원 회원으로 선출.
6. 돈 노먼 디자인 어워드
도널드 노먼의 이름을 딴 돈 노먼 디자인 어워드(Don Norman Design Award영어, DNDA) 조직이 설립되었으며, 2024년 9월 13일에 첫 수상자가 발표되었다. 이 시상식과 함께 DNDA 서밋은 2024년 11월 14일부터 15일까지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 어워드는 노먼의 선구적인 업적을 기리고 미래 디자인 리더들의 노력을 장려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7. 저서 목록
도널드 노먼의 저작들은 심리학, 유용성 및 디자인 분야에 걸쳐 폭넓게 분포하며, 그의 학문적 여정과 철학의 발전을 보여준다.
7.1. 심리학 서적
- 기억과 주의: 인간 정보 처리 입문(Memory and Attention: An Introduction to Human Information Processing영어) (1969, 1976)
- 인간 정보 처리: 심리학 입문(Human information processing: an introduction to psychology영어) (1972, 피터 H. 린제이 공저)
- 인지에 대한 탐구(Explorations in Cognition영어) (1975)
- 기억과 학습(Learning and Memory영어) (1982)
- 인지 과학의 관점(Perspectives on Cognitive Science영어) (1981)
- 인간 기억 모델(Models of Human Memory영어) (1970)
7.2. 유용성 및 디자인 서적
- 일상생활의 심리학(The Psychology of Everyday Things영어) (1988) - 일상생활의 디자인 초판
- 방향 지시등은 자동차의 얼굴 표정이다(Turn Signals Are The Facial Expressions Of Automobiles영어) (1992)
- 우리를 똑똑하게 만드는 것들: 기계 시대에 인간의 특성 옹호(Things That Make Us Smart: Defending Human Attributes In The Age Of The Machine영어) (1993)
- 보이지 않는 컴퓨터: 좋은 제품이 실패하는 이유, 개인용 컴퓨터가 너무 복잡한 이유, 그리고 정보 가전이 해결책인 이유(The Invisible Computer: Why Good Products Can Fail, the Personal Computer Is So Complex, and Information Appliances Are the Solution영어) (1998)
- 감성 디자인: 우리는 왜 일상의 사물을 사랑하거나 싫어하는가?(Emotional Design: Why We Love (or Hate) Everyday Things영어) (2005)
- 미래 사물의 디자인(The Design of Future Things영어) (2007)
- 복잡함과 함께 살기(Living with Complexity영어) (2010)
- 일상생활의 디자인(The Design of Everyday Things영어) (2013, 개정 및 확장판)
-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 Better World영어) (2023)
- 사용자 중심 시스템 디자인: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의 새로운 관점(User Centered System Design: New Perspectives on Human-Computer Interaction영어) (1986, 스티븐 드레이퍼 공저 및 공동 편집)
- 직접 조작 인터페이스(Direct manipulation interfaces영어) (1985, E. L. 허친스, J. D. 홀런 공저)
7.3. 기타 주요 출판물
- "유닉스의 문제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끔찍하다"(The Trouble with Unix: The User Interface is Horrid.영어) (1981, 데이터메이션 게재)
- 기계 시대에 인간의 특성 옹호(Defending Human Attributes in the Age of the Machine영어) (1994, CD-ROM 형식, 기존 저서와 기술 보고서 통합)
8. 유산과 영향
도널드 노먼의 작업은 디자인, 인지 과학,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그리고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복잡한 기술이 사용자의 필요와 능력에 맞춰져야 한다는 철학을 확립하고 대중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사용자 경험'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도입하고 '일상생활의 디자인'과 '감성 디자인'과 같은 저서들을 통해 이론적 개념을 실제 디자인 원리로 구체화함으로써 수많은 디자이너와 공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의 '인간 중심 디자인' 철학은 기술 개발의 패러다임을 사용자 중심에서 인간 중심의 포괄적인 접근 방식으로 전환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이는 현대 제품 및 서비스 디자인의 핵심 가치로 자리 잡았다.
그의 비판적 관점은 학술 연구와 실제 산업 혁신 간의 간극을 지적하며, 기술 발전이 단순히 미학이나 복잡성 증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야 함을 강조했다. 노먼의 이러한 유산은 오늘날에도 사용성, 접근성, 그리고 인간의 정서적 경험을 중요시하는 디자인 실천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9. 같이 보기
- 어포던스
- 인지 공학
- 실행 기능
- 인간 행동 주기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 인간 중심 디자인
- 사용자 중심 디자인
- 활동 중심 디자인
- 사용성 공학
- 상호작용 디자인
- 사용자 경험 디자인
- 시그니파이어
10. 외부 링크
- [http://www.jnd.org/ 도널드 노먼의 공식 홈페이지]
- [http://www.nngroup.com/ 닐슨 노먼 그룹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ted.com/speakers/donald-norman TED 콘퍼런스 연설]
- [https://www.youtube.com/watch?v=wQmwEjL6K1U "미래 사물의 디자인" 강연 영상 (2007년 스탠퍼드 대학교)]
- [https://www.youtube.com/watch?v=flRuSn0df8Q "복잡함과 함께 살기" 강연 영상 (2011년 스탠퍼드 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