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데브시린드라 왕비는 개인적인 배경과 몽꿋 왕과의 결혼을 통해 왕비의 지위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을 거쳤다.
1.1. 출생 및 어린 시절
데브시린드라 왕비는 1834년 7월 17일 목요일, 태국력으로는 말띠 해인 1196년 8월 12일(음력)에 태어났다. 그녀의 본명은 람퍼이 시리웡(รำเพย ศิริวงศ์태국어)이었다. 그녀는 라마 3세와 첩인 삽(Sap)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인 마타야피탁 왕자 시리웡(Siriwong, Prince Mattayaphithak)과 레이디 너이(Lady Noi, Mom Noi)의 장녀였다. 그녀의 어머니 레이디 너이는 방켄 출신으로, 몬족과 태국 귀족의 혈통을 이어받았다. 그녀의 외조부모는 부트(But)와 쨈(Chaem)이었으며, 특히 쨈은 몬족 관료인 프라야 랏따나짝(Phraya Rattanakchak, 홍통 수라쿠프트)의 손녀였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쨈은 프라야 랏따나짝의 딸이라고도 한다. 그녀의 외할머니인 므앙(Muang)은 라마 1세의 첩인 짜오쫌만다 뽐(Chao Chom Manda Pom), 라마 2세의 첩인 짜오쫌 펭(Chao Chom Peng)과 짜오쫌만다 아엠(Chao Chom Manda Aem)의 이복 자매였다.
람퍼이 공주의 아버지가 27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하자, 그녀의 할아버지인 라마 3세는 그녀와 그녀의 여동생 판나라이 공주를 왕궁으로 데려와 아끼는 손녀로 삼았다. 어린 시절 그녀는 숙모인 라몸 공주(Princess Lamom)와 함께 지내며 부채질 시중을 드는 법을 배웠는데, 그 솜씨가 너무 훌륭하여 라마 3세는 그녀에게 "부드럽고 시원한 바람"을 의미하는 '람퍼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스리랑카에서 돌아온 한 승려가 라마 3세에게 식물 하나를 바쳤는데, 왕은 그 식물을 매우 아껴 손녀의 이름을 따서 '람퍼이'라고 명명했다고 한다. 그녀에게는 8명의 이복 형제자매가 있었다.
1.2. 몽꿋 왕과의 결혼 및 왕비로서의 지위
1853년, 람퍼이 공주는 그녀보다 30세 연상인 큰아버지 몽꿋 왕과 결혼하였다. 당시 몽꿋 왕의 첫 번째 왕비였던 소마낫 왓타나와티(Somanass Waddhanawathy)가 서거한 후, 라마 3세의 왕실 자손 중 왕족 신분인 공주가 남아있지 않았다. 1853년 1월 6일 목요일(현재 역법 기준), 몽꿋 왕은 람퍼이 공주를 '프라 옹 짜오 람퍼이 파마라피롬'(พระองค์เจ้ารำเพยภมราภิรมย์태국어)으로 책봉하였다. 이 작위는 "즐거움을 주고 벌들에게 안식처가 되는 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후 왕실과 대신들은 그녀를 왕비로 추대하였고, 그녀는 람퍼이 왕비(สมเด็จพระนางรำเพยภมราภิรมย์태국어)가 되었다. 라마 4세의 선언문에서는 그녀를 솜뎃 프라 낭 낫 라차테위(สมเด็จพระนางนาถราชเทวี태국어)로 칭하기도 했다.
2. 소생 자녀
데브시린드라 왕비는 몽꿋 왕과의 사이에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 이미지 | 이름과 작위 | 출생일 | 서거일 | 향년 |
|---|---|---|---|---|
![]() | 쭐랄롱꼰 왕 (라마 5세) | 1853년 9월 20일 | 1910년 10월 23일 | 57세 |
![]() | 짠트라몬톤 공주 (위숫끄라삿 공주) | 1855년 4월 24일 | 1863년 5월 14일 | 8세 |
![]() | 짜뚜론랏싸미 왕자 (짜끄라바르띠봉세 왕자) | 1859년 1월 13일 (현대 역법 기준 1860년) | 1900년 4월 11일 | 43세 |
![]() | 파누랑시 사왕웡세 왕자 (파누반투웡세 워라뎃 왕자) | 1862년 1월 11일 (현대 역법 기준 1863년) | 1928년 6월 13일 | 68세 |
3. 병과 서거

데브시린드라 왕비는 막내아들인 파누랑시 사왕웡세 왕자를 출산한 이후 심하게 병을 앓기 시작했다. 그녀는 심한 기침을 하면서도 "별것 아니다"라고 말했지만, 몽꿋 왕은 그녀의 건강 악화에 대해 염려하는 친필 서한을 남겼다. 몽꿋 왕은 "람퍼이 어머니는 파누랑시 사왕웡세 아들을 낳은 이후로 기침을 하고 매우 수척해졌으며, 내부 결핵이 생길까 두렵다"고 기록했다.
그녀의 서거에 대한 몽꿋 왕의 상세한 기록에 따르면, 1861년 9월 9일 월요일, 그녀는 아침에 심하게 기침하며 피를 토했고, 코와 입으로 많은 피가 쏟아져 나왔다. 피와 함께 작은 벌레 같은 생명체가 나오기도 했다고 한다. 의사들이 치료했지만, 피는 조금씩 줄어들었다. 9월 8일 일요일 밤에는 상태가 호전되어 기침이 줄고 잠을 많이 잤다고 한다. 그러나 9월 9일 월요일 아침 9시경 잠에서 깨어나 많은 양의 음식을 먹고 막내아들과 놀던 중 다시 피를 토하기 시작했고, 피는 코와 입에서 컵으로 여러 잔이나 쏟아져 나와 숨 쉴 틈도 없이 맥박이 멈추었다. 그녀의 유해는 소나무 건물에 안치되었고, 건물은 아름답게 재단장되었다. 그녀의 장례식은 4~5개월 후에 거행될 예정이었으며, 그녀의 자녀들을 위해 설교와 기도 등 다양한 공덕을 쌓는 의식이 계속되었다. 몽꿋 왕은 그녀의 죽음이 5년 동안 앓아온 병 때문이었으며, 많은 의사와 약으로도 낫지 않아 수명이 다한 것으로 보인다고 기록했다. 그녀는 28세의 나이로 서거했다.
데브시린드라 왕비의 왕실 화장 의식은 1862년 4월 18일 금요일(태국력 5월 4일) 싸남루앙의 프라 메루마트(Phra Merumat)에서 거행되었다. 이 장례식에서는 태국 왕실 역사상 처음으로 중국식 장례 의식인 '꽁텍'(Kongtek)이 거행되었으며, 이후 왕실 장례식에서 꽁텍 의식이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4. 사후 작위 및 명명
데브시린드라 왕비는 서거 후 여러 차례 추증 작위를 받으며 그 이름이 기려졌다.
- 몸 짜오 람퍼이 시리웡(หม่อมเจ้ารำเพย태국어): 1834년 7월 17일 ~ 1852년 1월 6일
- 프라 옹 짜오 람퍼이 파마라피롬(พระองค์เจ้ารำเพยภมราภิรมย์태국어): 1852년 1월 6일 ~ 1868년 12월 25일
- 라마 4세의 선언문에서는 솜뎃 프라 낭 낫 라차테위(สมเด็จพระนางนาถราชเทวี태국어)로 불렸다.
- 1862년 이후 라마 4세의 선언문에서는 프라 낭 터 프라 옹 짜오 람퍼이 파마라피롬(พระนางเธอพระองค์เจ้ารำเพยภมราภิรมย์태국어)과 솜뎃 프라 낭 터 프라 옹 짜오 람퍼이 파마라피롬(สมเด็จพระนางเธอ พระองค์เจ้ารำเพยภมราภิรมย์태국어)으로 불렸다.
- 랏따나꼬신 왕조 왕실 연대기에서는 솜뎃 프라 낭 람퍼이 파마라피롬(สมเด็จพระนางรำเพยภมราภิรมย์태국어)으로 불렸다.
- 끄롬 솜뎃 프라 텝시린트라마앗(กรมสมเด็จพระเทพศิรินทรามาตย์태국어): 1868년 12월 25일 (쭐랄롱꼰 왕에 의해 추증) ~ 라마 6세 시대
- 솜뎃 프라 텝시린트라 보롬마라치니(สมเด็จพระเทพศิรินทราบรมราชินี태국어): 라마 6세 시대 ~ 현재 (와치라웃 왕에 의해 추증)
5. 유산 및 기념
데브시린드라 왕비의 이름은 그녀의 아들인 쭐랄롱꼰 왕과 다른 왕족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기념되고 있다.
- 왓 텝시린트라왓 랏차워라위한(วัดเทพศิรินทราวาสราชวรวิหาร태국어)

쭐랄롱꼰 왕은 자신의 25세 생일이었던 1876년에 왓 텝시린트라왓을 건립하도록 명령했다. 이 사원은 어린 나이에 서거한 그의 어머니 데브시린드라 왕비를 기리고 그녀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 데브시린 학교(โรงเรียนเทพศิรินทร์태국어)
데브시린 학교는 쭐랄롱꼰 왕에 의해 1885년 3월 15일에 설립되었다. 학교 설립 초기에는 왓 텝시린트라왓 사원 내의 법당을 교실로 사용했다.
1895년, 그녀의 아들인 파누랑시 사왕웡세 왕자는 어머니 데브시린드라 왕비와 자신의 배우자인 몸 맨 파누판 나 아유타야(Mom Maen Phanupant Na Ayutaya) 왕비를 기리기 위해 왓 텝시린트라왓에 새로운 학교 건물을 짓기로 결정했다. 이 첫 번째 학교 건물은 나릿싸라누왓띠웡세 왕자가 고딕 건축 양식으로 설계했으며, 이는 태국 최초이자 유일한 고딕 양식 건물로 여겨진다. 또한 프라야 촛띠끄 랏차셋티(Phraya Chotik Ratchasetthi)는 이 첫 번째 건물 옆에 또 다른 학교 건물을 짓기 위한 자금을 기부했다.
- 데브시린 학교 내 왕비 기념비
데브시린 학교는 1995년부터 데브시린드라 왕비의 기념비를 건립하려는 계획을 세웠고, 1998년에 테르브 프라 끼앗(Terb Phra Kiat) 건물 정면에 기념비를 안치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데브시린 학교의 모든 구성원들이 데브시린드라 왕비에게 바치는 충성과 감사의 상징이며, 그녀의 이름을 학교명으로 사용하도록 허락받은 데브시린 학교의 최고 영광을 나타낸다. 매년 9월 9일, 그녀의 서거일에는 학교 경영진, 교사, 졸업생, 재학생 및 교직원들이 왕비 기념비에 화환을 바치고 경의를 표하는 의식을 거행한다. 이 날은 "매 람퍼이의 날"(Mae Ramphoei Day)로 불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