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데릭 레인 홀랜드(Derek Lane Holland영어, 1986년 10월 9일 출생)는 미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주로 MLB에서 투수로 활약했다. "더치 오븐"(Dutch Oven영어)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 그는 텍사스 레인저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시카고 컵스, 피츠버그 파이리츠,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소속으로 뛰었다. 2006년 MLB 드래프트에서 텍사스 레인저스에 지명되어 프로 생활을 시작했으며, 특히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활약하며 2010년과 2011년 월드 시리즈 진출에 기여했다. 선수 생활 동안 여러 부상과 이적을 겪었으며, 소셜 미디어와 소속 구단과의 불화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은퇴 후에는 코치로 활동하고 있으며, 소아 백혈병 연구 및 환자 가족 지원을 위한 자선 재단 '60 피트 6 재단'을 설립하여 활동하는 등 사회적 기여에도 힘쓰고 있다.
2. 초기 생애
홀랜드는 1986년 10월 9일 미국 오하이오주 뉴어크에서 웬디(Wendy)와 릭 홀랜드(Rick Holland) 사이에서 태어났다.
3. 프로 경력
데릭 홀랜드는 2006년 드래프트에서 텍사스 레인저스에 지명된 이후 마이너 리그를 거쳐 2009년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이후 텍사스 레인저스의 핵심 선발 투수로 활약하며 팀의 아메리칸 리그 우승에 기여했고, 여러 팀을 거치며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3.1. 드래프트 및 마이너 리그
홀랜드는 2006년 MLB 드래프트에서 NJCAA 소속인 앨라배마주 핸스빌의 월리스 스테이트 커뮤니티 칼리지(Wallace State Community College영어)를 졸업하고 25라운드 전체 748순위로 텍사스 레인저스에 지명되었다. 그는 1년 뒤인 5월 20일 20.00 만 USD의 계약금으로 입단했다. 2009년에는 베이스볼 아메리카(Baseball America영어)에서 네프탈리 펠리스(Neftalí Feliz영어)에 이어 레인저스 구단 내에서 두 번째로 높은 유망주로 평가받았다.
3.2. 텍사스 레인저스 시대 (2009-2016)
3.2.1. 2009년 시즌

2009년 4월 22일, 홀랜드는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경기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데뷔 경기에서는 2와 1/3이닝 동안 3안타를 허용했지만 무실점, 무볼넷, 2탈삼진을 기록했다. 8월 9일에는 애너하임의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를 상대로 생애 첫 완봉승을 거두며 7대 0으로 승리했다. 2009년 시즌 동안 홀랜드는 33경기(21선발)에 출전하여 8승 13패 평균자책점 6.12를 기록하며 다소 불안정한 투구를 보였다. 같은 해 오프시즌에는 기쿠치 유세이(菊池雄星일본어)와의 면담을 위해 구단 관계자들과 함께 일본을 방문하기도 했다.
3.2.2. 2010년 시즌

2010년 시즌 대부분을 트리플 A 오클라호마시티 레드호크스(Oklahoma City RedHawks영어)에서 보냈으며, 선발 투수들의 부상으로 인해 잠시 메이저 리그에 콜업되었다. 시즌 초 2승을 거둔 뒤 연이어 3패를 기록했으나, 최종적으로 3승 4패 평균자책점 4.08로 시즌을 마쳤다.
2010 ALDS에서는 탬파베이 레이스를 상대로 4와 2/3이닝 3실점을 기록했다. 2010 ALCS에서는 5와 2/3이닝 동안 무실점 투구를 펼쳤다. 특히 뉴욕 양키스와의 4차전에서 4회 1사 만루의 위기 상황에 등판하여 실점 없이 이닝을 막아내며 팀의 역전승을 이끌어내 승리 투수가 되었다. 그러나 2010년 월드 시리즈 2차전에서는 8회말 2사 1루 상황에 등판하여 상대 타자 세 명에게 연속 볼넷을 허용하며 밀어내기 실점을 기록했고, 승계 주자까지 모두 홈을 밟는 빌미를 제공하여 팀이 0대9로 패배하는 데 일조했다. 홀랜드는 4차전에서 1이닝 무실점 구원 등판했지만, 레인저스는 시리즈 전적 1대4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 패배했다.
3.2.3. 2011년 시즌

홀랜드는 2011년 시즌을 텍사스 레인저스의 선발 투수로 시작했다. 4월과 5월에는 평균자책점 4.96에도 불구하고 5번의 선발 등판 중 4승을 거뒀다. 6월에는 시즌 첫 완봉승을 거두며 평균자책점을 4.14로 낮췄다. 7월 초 마이애미 말린스를 상대로 1회를 채우지 못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였으나, 이후 5번의 선발 등판에서 3번의 완봉승을 추가하며 반등했다.
2011년 시즌 최종 성적은 16승 5패 평균자책점 3.95였다. 그는 아메리칸 리그에서 가장 많은 4번의 완봉승(레인저스 역사상 5번째로 많은 기록)을 기록했으며, 승률(.762, 레인저스 역사상 5번째로 높은 기록)은 리그 3위, 승수는 4위를 차지했다. 10월 23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의 2011년 월드 시리즈 4차전에서 8과 1/3이닝 동안 2안타, 2볼넷만을 허용하고 7탈삼진 무실점 호투를 펼치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 그러나 레인저스는 월드 시리즈에서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
3.2.4. 2012년 시즌

2012년 3월 20일, 홀랜드는 텍사스 레인저스와 5년 2850.00 만 USD 규모의 연장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는 2년의 구단 옵션을 포함하여 최대 7년 4900.00 만 USD까지 확대될 수 있었다. 2012년 시즌에는 12승 7패 평균자책점 4.67을 기록했으나, 32개의 피홈런을 허용하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전체에서 5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3.2.5. 2013년 시즌
2013년 시즌 홀랜드는 33번의 선발 등판에서 10승 9패 평균자책점 3.42를 기록했다. 2월 27일에는 제3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미국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3.2.6. 2014년 시즌

2014년 1월 7일, 홀랜드는 집에서 자신의 강아지와 놀다가 넘어져 무릎 부상을 입었다. 그는 1월 10일 왼쪽 무릎 연골 파열에 대한 관절경 미세 골절 수술을 받았다. 이로 인해 그는 60일 부상자 명단에 올랐으며, 올스타전 휴식기까지 경기에 나서지 못하게 되었다. 2014년 시즌에는 단 6경기(5선발)에만 등판했으나, 평균자책점 1.46, WHIP 1.05의 뛰어난 투구 내용을 보였다.
3.2.7. 2015년 시즌
2015년 시즌 첫 홈 경기에서 홀랜드는 어깨뼈 밑근(subscapularis muscle영어) 부상으로 4월 10일 60일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었다. 8월 19일 시애틀 매리너스를 상대로 복귀하여 6과 1/3이닝 동안 6탈삼진 2자책점을 기록하며 시즌 첫 승을 거뒀다. 8월 30일에는 볼티모어 오리올스를 상대로 글로브 라이프 파크 인 알링턴에서 완봉승을 달성했다. 이는 그의 통산 8번째 완봉승이자, 2013년 9월 23일 이후 첫 완봉승이었다. 이 경기에서 그는 9이닝 동안 무볼넷, 무실점, 11탈삼진, 3안타만을 허용하는 완벽한 투구로 팀의 6대0 승리를 이끌었다.
3.2.8. 2016년 시즌
2016년 시즌 홀랜드는 22경기(20선발)에 등판하여 7승 9패 평균자책점 4.95, WHIP 1.41을 기록하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11월 8일, 텍사스 레인저스는 홀랜드와의 2017년 구단 옵션을 포기하고 그를 자유 계약 선수로 만들었다. 홀랜드는 2017년에 1100.00 만 USD를 받을 예정이었으나, 150.00 만 USD의 바이아웃 금액을 받았다.
3.3. 시카고 화이트삭스 시대 (2017)
2016년 12월 14일, 홀랜드는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1년 600.00 만 USD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시즌 초 10번의 선발 등판에서 평균자책점 2.37을 기록하며 좋은 출발을 보였으나, 이후 급격한 부진에 빠졌다. 2017년 시즌 화이트삭스 소속으로 26선발, 3구원 등판하여 7승 14패 평균자책점 6.20, WHIP 1.71을 기록한 뒤, 9월 5일 무조건적인 방출 통보를 받았다.
3.4.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시대 (2018-2019)
2018년 2월 9일, 홀랜드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 매디슨 범가너(Madison Bumgarner영어)와 제프 사마자(Jeff Samardzija영어)의 부상으로 인해 시즌 초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그는 시즌 동안 선발과 불펜을 오가며 활약했으며, 2018년 시즌을 7승 9패 평균자책점 3.57로 마쳤다.
2019년 1월 14일, 자이언츠는 홀랜드를 2020년 구단 옵션이 포함된 1년 계약으로 재영입했으며, 그는 기본 급여 650.00 만 USD와 2020년 바이아웃 금액 50.00 만 USD를 받게 되었다. 4월 9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를 상대로 시즌 첫 승을 거뒀다. 4월 29일, 왼쪽 집게손가락 뼈 타박상으로 10일짜리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었다.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한 뒤 콜로라도 로키스를 상대로 선발 등판했으나, 2와 2/3이닝 동안 7자책점을 허용하며 부진했다. 5월 11일 경기 후 인터뷰에서 홀랜드는 자신이 "부상을 가장했다"고 주장하며 구단 프런트 오피스의 운영 방식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브루스 보치(Bruce Bochy영어) 감독과 파한 자이디(Farhan Zaidi영어) 사장은 홀랜드가 언론에 말하기 전에 먼저 구단에 문제를 제기하지 않은 점을 비판하며, 선수들의 우려에 대해 항상 오픈 도어 정책(Open door policy영어)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콜로라도 전 이후 홀랜드는 주로 불펜의 롱 릴리프(long-relief영어)로 기용되었다. 2019년 7월 21일, 홀랜드는 양도 지명(designated for assignment영어)되었다.
3.5. 시카고 컵스 시대 (2019)

2019년 7월 26일, 자이언츠는 홀랜드를 현금 보상을 받고 시카고 컵스로 트레이드했다. 8월 25일, 그는 10일짜리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었고 트리플 A 아이오와 컵스(Iowa Cubs영어)로 강등되었으며, 그 자리는 데이비드 보테(David Bote영어)가 대체했다. 홀랜드는 2019년 시즌을 마친 후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3.6. 피츠버그 파이리츠 시대 (2020)
2020년 1월 31일, 홀랜드는 피츠버그 파이리츠와 스프링 트레이닝 초청이 포함된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했다. 8월 8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 홀랜드는 1회에 첫 11개의 공으로 4개의 홈런을 허용하며 5실점하는 등 난조를 보였다. 총 5이닝 동안 5개의 홈런을 포함해 9실점을 허용하며 파이리츠는 5대11로 패배했다.
3.7.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시대 (2021)
2021년 2월 1일, 홀랜드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 스프링 트레이닝 초청이 포함된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에는 메이저 리그 승격 시 92.50 만 USD의 급여와 최대 15.00 만 USD의 인센티브가 포함되었다. 3월 26일, 타이거스의 A. J. 힌치(A. J. Hinch영어) 감독은 홀랜드가 불펜 투수로서 개막 로스터에 합류할 것이며, 그를 위해 40인 로스터 자리를 확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4월 1일, 홀랜드는 40인 로스터에 정식으로 등록되었다. 2021년 타이거스 소속으로 39경기(선발 1경기, 구원 38경기)에 출전하여 3승 2패 평균자책점 5.07, 49와 2/3이닝 동안 51탈삼진을 기록했다. 11월 3일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3.8. 보스턴 레드삭스 시대 (2022)
2022년 3월 18일, 홀랜드는 보스턴 레드삭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했다. 4월 2일 마이너 리그로 재배정되었으나, 계약상의 옵트아웃 조항을 행사하지 않았다. 그러나 2022년 5월 1일, 홀랜드는 레드삭스와의 계약에서 옵트아웃을 행사했다.
3.9. 토론토 블루제이스 시대 (2022)
2022년 5월 4일, 보스턴과의 계약에서 옵트아웃을 행사한 지 3일 만에 홀랜드는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 그는 트리플 A 버팔로 바이슨스(Buffalo Bisons영어) 소속으로 20경기(6선발)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5.53, 27과 2/3이닝 동안 25탈삼진을 기록했다. 7월 22일, 블루제이스 구단으로부터 방출되었다.
3.10. 요크 레볼루션 시대 (2023)
2023년 5월 24일, 홀랜드는 애틀랜틱 리그 오브 프로페셔널 베이스볼(Atlantic League of Professional Baseball영어) 소속의 요크 레볼루션(York Revolution영어)과 계약했다. 요크 소속으로 불펜에서 5경기에 등판하여 2.25의 평균자책점, 5탈삼진, 1세이브를 기록했으며, 총 4.0이닝을 소화했다. 6월 6일, 홀랜드는 토미 존 수술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발표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그는 6월 19일 수술을 받았다. 시즌 종료 후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4. 투구 스타일
홀랜드는 좌완 투수 중에서도 리그에서 손꼽히는 강속구를 던지는 투수였다. 2011년에는 데이비드 프라이스(David Price영어)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른 평균 구속 153 km/h (94.97 mph)를 기록했다. 그러나 그는 포심 패스트볼을 거의 던지지 않았으며, 한 시즌 동안 20개 이상 던진 것은 2013년이 유일하다.
주로 전체 투구의 약 60%를 싱커로 구사하는 싱커볼러였으며, 여기에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을 섞어 던졌다. 2013년부터는 일반적인 커브 대신 너클 커브를 던지기 시작했다. 2014년 시점에서는 포심 패스트볼의 평균 구속이 약 148 km/h (92.2 mph)까지 떨어졌다.
5. 선수 은퇴 이후 경력
홀랜드는 2024년 시즌부터 댈러스 칼리지 노스 레이크(Dallas College North Lake영어) 야구팀의 자원봉사 투수 및 1루 코치로 합류했다. 또한 2024년 올스타 퓨처스 게임(All-Star Futures Game영어)에서는 아메리칸 리그 팀의 불펜 코치를 맡았다.
6. 논란 및 비판
데릭 홀랜드는 프로 선수 생활 동안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특히 소셜 미디어에서의 부적절한 언행과 인종차별적 행동으로 비판을 받았으며, 소속 구단과의 불화설이 불거지기도 했다.
6.1. SNS 관련 논란
2012년 시즌 중 홀랜드의 트위터 계정이 다른 트위터 사용자에게 비속어를 사용하여 공격하는 데 사용되었다. 홀랜드는 이어진 논란에 대해 자신의 트위터 계정이 해킹당했다고 주장하며 부인했다.
6.2. 인종차별적 행동 논란
2018년, 홀랜드는 MLB 네트워크의 프로그램 인텐셔널 토크(Intentional Talk영어)에 출연하여 아시아인을 조롱하는 듯한 인종차별적 억양을 흉내 내는 콩트(skit영어)를 선보여 논란이 되었다. 홀랜드는 자신의 행동이 인종차별적이라는 주장에 동의하지는 않았지만, 사람들이 불쾌해할 수 있다는 점은 이해한다고 밝혔다. 이 사건에 대해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구단과 홀랜드는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6.3. 소속 구단과의 불화
2019년, 홀랜드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비난하며, 구단이 자신에게 부상을 조작하여 부상자 명단에 오르게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구단 프런트 오피스의 운영 방식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나 자이언츠 구단은 이러한 주장을 부인했다.
7. 자선 활동
홀랜드는 야구 선수로서의 활동 외에도 사회 공헌과 자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7.1. 60 피트 6 재단
2014년, 홀랜드는 백혈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특히 소아 백혈병 연구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60 피트 6 재단'(60 Feet 6 Foundation영어)을 설립했다. 이 재단을 통해 그는 백혈병으로 고통받는 가족들을 돕기 위한 기금을 모으고 있다.
8. 상세 정보
데릭 홀랜드의 연도별 투수 및 수비 성적, 등번호, 그리고 국가대표 경력에 대한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8.1.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소속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4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4구 | 몸맞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2009 | TEX | 33 | 21 | 1 | 1 | 0 | 8 | 13 | 0 | 2 | .381 | 611 | 138.1 | 160 | 26 | 47 | 0 | 4 | 107 | 3 | 3 | 98 | 94 | 6.12 | 1.50 |
2010 | TEX | 14 | 10 | 0 | 0 | 0 | 3 | 4 | 0 | 1 | .429 | 253 | 57.1 | 55 | 6 | 24 | 0 | 4 | 54 | 0 | 1 | 30 | 26 | 4.08 | 1.38 |
2011 | TEX | 32 | 32 | 4 | 4 | 0 | 16 | 5 | 0 | 0 | .762 | 843 | 198.0 | 201 | 22 | 67 | 1 | 6 | 162 | 2 | 1 | 97 | 87 | 3.95 | 1.35 |
2012 | TEX | 29 | 27 | 0 | 0 | 0 | 12 | 7 | 0 | 0 | .632 | 730 | 175.1 | 162 | 32 | 52 | 0 | 3 | 145 | 1 | 0 | 100 | 91 | 4.67 | 1.22 |
2013 | TEX | 33 | 33 | 2 | 2 | 0 | 10 | 9 | 0 | 0 | .526 | 894 | 213.0 | 210 | 20 | 64 | 0 | 3 | 189 | 9 | 1 | 90 | 81 | 3.42 | 1.29 |
2014 | TEX | 6 | 5 | 0 | 0 | 0 | 2 | 0 | 0 | 0 | 1.000 | 145 | 37.0 | 34 | 0 | 5 | 1 | 0 | 25 | 1 | 0 | 8 | 6 | 1.46 | 1.05 |
2015 | TEX | 10 | 10 | 1 | 1 | 1 | 4 | 3 | 0 | 0 | .571 | 245 | 58.2 | 59 | 11 | 17 | 2 | 5 | 41 | 1 | 0 | 32 | 32 | 4.91 | 1.30 |
2016 | TEX | 22 | 20 | 0 | 0 | 0 | 7 | 9 | 0 | 0 | .438 | 461 | 107.1 | 116 | 15 | 35 | 2 | 2 | 67 | 2 | 0 | 62 | 59 | 4.95 | 1.41 |
2017 | CWS | 29 | 26 | 0 | 0 | 0 | 7 | 14 | 0 | 0 | .333 | 626 | 135.0 | 156 | 31 | 75 | 2 | 8 | 104 | 7 | 0 | 106 | 93 | 6.20 | 1.71 |
2018 | SF | 36 | 30 | 0 | 0 | 0 | 7 | 9 | 0 | 0 | .438 | 727 | 171.1 | 154 | 19 | 67 | 6 | 4 | 169 | 2 | 1 | 74 | 68 | 3.57 | 1.29 |
2019 | SF | 31 | 7 | 1 | 0 | 0 | 2 | 4 | 0 | 0 | .333 | 308 | 68.2 | 68 | 17 | 35 | 2 | 4 | 71 | 0 | 0 | 49 | 45 | 5.90 | 1.50 |
2019 | CHC | 20 | 1 | 0 | 0 | 0 | 0 | 1 | 0 | 2 | .000 | 68 | 15.2 | 14 | 3 | 10 | 0 | 0 | 11 | 1 | 0 | 12 | 12 | 6.89 | 1.53 |
2020 | PIT | 12 | 5 | 0 | 0 | 0 | 1 | 3 | 0 | 0 | .250 | 179 | 40.2 | 42 | 12 | 15 | 0 | 3 | 45 | 2 | 1 | 33 | 31 | 6.86 | 1.40 |
2021 | DET | 39 | 1 | 0 | 0 | 0 | 3 | 2 | 0 | 4 | .600 | 225 | 49.2 | 58 | 6 | 20 | 1 | 1 | 51 | 2 | 0 | 29 | 28 | 5.07 | 1.57 |
MLB 합계 (13시즌) | 346 | 228 | 9 | 8 | 1 | 82 | 83 | 0 | 10 | .497 | 6315 | 1466.0 | 1489 | 220 | 533 | 17 | 47 | 1241 | 33 | 8 | 820 | 753 | 4.62 | 1.38 |
- 2021년 시즌 종료 기준
8.2. 연도별 수비 성적
연도 | 구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09 | TEX | 33 | 5 | 13 | 5 | 2 | .783 |
2010 | TEX | 14 | 3 | 9 | 1 | 0 | .923 |
2011 | TEX | 32 | 7 | 31 | 3 | 2 | .927 |
2012 | TEX | 29 | 9 | 28 | 2 | 1 | .949 |
2013 | TEX | 33 | 3 | 17 | 2 | 0 | .909 |
2014 | TEX | 6 | 1 | 2 | 1 | 0 | .750 |
2015 | TEX | 10 | 1 | 8 | 1 | 1 | .900 |
2016 | TEX | 22 | 3 | 8 | 2 | 0 | .846 |
2017 | CWS | 29 | 5 | 16 | 3 | 1 | .875 |
2018 | SF | 36 | 9 | 15 | 2 | 0 | .923 |
2019 | SF | 31 | 4 | 14 | 0 | 0 | 1.000 |
2019 | CHC | 20 | 2 | 2 | 1 | 0 | .800 |
2020 | PIT | 12 | 2 | 3 | 2 | 0 | .714 |
2021 | DET | 39 | 3 | 4 | 1 | 0 | .875 |
MLB 합계 | 346 | 57 | 170 | 26 | 7 | .897 |
- 2021년 시즌 종료 기준
8.3. 등번호
- 45 (2009년 ~ 2020년)
- 49 (2021년)
8.4. 국가대표 경력
-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201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