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아마추어 경력
데릭 로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학창 시절부터 야구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1. 유년기 및 고등학교 시절
로는 1990년 9월 14일 출생했다. 그는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 위치한 세턴 라 살 가톨릭 고등학교(Seton-La Salle Catholic High School영어)에 재학하며 학교 야구팀에서 활약했다. 고등학교 시절, 로는 2008년과 2009년 두 차례에 걸쳐 피츠버그 올-에어리어 야구팀에 선정되는 등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2009년 메이저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텍사스 레인저스에게 28라운드 전체 844순위로 지명되었으나, 당시에는 프로 계약을 맺지 않고 대학 진학을 선택했다. 로의 아버지인 조 로(Joe Law영어) 역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마이너리그에서 야구를 했지만, 메이저리그로 4일간 콜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에 출전하지 못해 '팬텀 볼플레이어'로 기록되어 있다.
1.2. 대학 경력
고등학교 졸업 후 로는 마이애미 데이드 대학(Miami Dade College영어)에 진학하여 대학 야구 경력을 이어갔다. 마이애미 데이드 대학 2학년 때, 로는 92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2.35, 8승 5패를 기록했으며, 121개의 탈삼진을 잡아내며 뛰어난 투구 능력을 보여주었다.
2. 프로 경력
데릭 로의 프로 야구 경력은 2011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 지명되며 시작되었다. 이후 그는 여러 팀을 거치며 메이저리그 무대에서 활약했다.
2.1. 드래프트 및 마이너리그
2011년, 로는 메이저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9라운드 전체 297순위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 지명되어 7월 12일 계약을 체결했다. 그해 프로 데뷔를 애리조나 리그 자이언츠(Arizona League Giants영어)에서 15경기에 출전하여 18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2.50, 19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치렀다.
2012년에는 어거스타 그린재키츠(Augusta GreenJackets영어)에서 32경기에 등판해 5승 2패, 평균자책점 2.91, 67탈삼진(55와 2/3이닝)을 기록했다. 2013년에는 애리조나 리그 자이언츠, 어거스타 그린재키츠, 그리고 A+급 산호세 자이언츠(San Jose Giants영어)에서 뛰며 세 팀 합산 46경기에서 5승 3패, 평균자책점 2.31, 10세이브, 102탈삼진(66와 1/3이닝)을 기록했다. 특히 산호세에서는 1볼넷만 허용하면서 45탈삼진을 잡아내는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2014 시즌을 앞두고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청되어 개막전 불펜 로스터 진입을 노렸다.
2014년, 로는 더블-A 팀인 리치몬드 플라잉 스쿼럴스(Richmond Flying Squirrels영어)에서 27경기에 출전하여 2승 0패, 평균자책점 2.57을 기록하며 14번의 세이브 기회 중 13번을 성공시켰고, 28이닝 동안 29탈삼진을 잡아냈다. 그러나 그해 6월, 토미 존 수술을 받아 남은 시즌을 뛰지 못했다. 수술 후의 재활로 2015년 7월에야 복귀할 수 있었다. 2014년 11월, 자이언츠는 로를 룰 5 드래프트에서 보호하기 위해 40인 로스터에 추가했다. 2015년에는 리치몬드 플라잉 스쿼럴스에서 25와 2/3이닝 동안 32탈삼진을 기록했다. 2016 시즌은 트리플-A 팀인 새크라멘토 리버캣츠(Sacramento River Cats영어)에서 시작했다.

2.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16-2018)
2016년 4월 15일, 데릭 로는 세르히오 로모의 부상으로 인해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콜업되어 데뷔했다. 같은 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경기에서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렀는데, 7회말에 등판하여 1안타를 허용했지만 3명의 타자를 삼진으로 잡아내며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5월 7일, 로는 콜로라도 로키스를 상대로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메이저리그 첫 승리를 기록했다. 6월 13일에는 밀워키 브루어스를 상대로 1과 1/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메이저리그 첫 세이브를 올렸다. 그는 2016 시즌 동안 61경기에 출전하여 55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2.13의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듬해인 2017년에는 기복을 보이며 37과 1/3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5.06을 기록했다. 2018년에는 자이언츠 소속으로 7경기에만 출전했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트리플-A 팀인 새크라멘토 리버캣츠에서 보냈다. 2019년 2월 1일, 존 안드레올리(John Andreoli영어)의 영입으로 로는 지명할당(DFA)되었고, 2월 10일에는 마이너리그로 이관되었다.
2.3.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9)
2019년 4월 2일, 데릭 로는 알렌 한손(Alen Hanson영어)과 후안 데 파울라(Juan De Paula영어)와 함께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케빈 필라(Kevin Pillar영어)와의 트레이드에 포함되어 블루제이스로 이적했다. 이적 후에는 트리플-A 팀인 버팔로 바이슨스(Buffalo Bisons영어)에서 뛰다가 5월 3일 메이저리그로 콜업되었다. 2019년 12월 2일, 로는 논텐더 FA가 되어 자유계약선수가 되었다.
2.4. 텍사스 레인저스 산하
2020년 1월 30일, 로는 텍사스 레인저스 구단과 마이너리그 계약을 체결했으며,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청 선수로 참가했다. 그러나 2020년 시즌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마이너리그 시즌이 취소되었고, 그는 메이저리그에 콜업되지 못해 한 경기도 뛰지 못했다. 2020년 11월 2일, 로는 자유계약선수가 되었다.
2.5. 미네소타 트윈스 (2021)
2020년 11월 23일, 로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미네소타 트윈스 구단과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음을 발표했다. 2021년 5월 8일, 그는 트윈스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합류했다. 그러나 5경기에서 평균자책점 8.53을 기록한 후, 5월 18일 다시 지명할당되었다. 5월 20일, 트리플-A 팀인 세인트 폴 세인츠(St. Paul Saints영어)로 이관되었으나, 7월 1일 다시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재합류했다. 루크 파렐(Luke Farrell영어)이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함에 따라 9월 5일 또다시 지명할당되었다. 로는 2021년 트윈스 소속으로 9경기에 출전하여 평균자책점 4.20, 14탈삼진을 기록했다. 10월 4일, 그는 자유계약선수가 되었다.
2.6.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22)
2022년 4월 9일, 로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구단과 마이너리그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루키 레벨 팀인 플로리다 콤플렉스 리그 타이거스(Florida Complex League Tigers영어)에 배정되었다가 4월 14일 트리플-A 팀인 톨레도 머드 헨스(Toledo Mud Hens영어)로 배정되었다. 타이거스는 7월 30일 로를 메이저리그로 승격시켰다. 그러나 8월 5일 다시 지명할당되었고, 8월 7일 방출되었다.
2.7. 신시내티 레즈 (2022-2023)
2022년 8월 14일, 로는 신시내티 레즈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고 트리플-A 팀인 루이빌 배츠(Louisville Bats영어)에 배정되었다. 8월 30일, 그의 계약이 메이저리그로 승격되었다. 그는 시즌 막바지 레즈에서 15경기에 등판하여 17과 2/3이닝 동안 2승 2패, 평균자책점 4.08, 15탈삼진을 기록했다. 11월 15일, 로는 지명할당되었고, 11월 18일에는 논텐더 FA가 되어 자유계약선수가 되었다.
2023년 1월 23일, 로는 레즈 구단과 마이너리그 재계약을 맺었다. 3월 27일, 레즈는 로가 개막전 로스터에 합류할 것이며 40인 로스터에 포함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신시내티에서 54경기에 출전하여 55이닝 동안 4승 6패, 평균자책점 3.60, 45탈삼진을 기록했다. 시즌이 끝난 후 11월 17일, 로는 다시 논텐더 FA가 되었다.
2.8. 워싱턴 내셔널스 (2024-현재)
2024년 2월 21일, 로는 워싱턴 내셔널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다. 3월 26일, 워싱턴은 로가 팀의 개막전 로스터에 들면서 그의 계약을 메이저리그로 승격시켰다.
3. 경력 통계
데릭 로의 프로 경력 동안 기록된 주요 통계 정보는 다음과 같다.
3.1. 투구 통계
데릭 로의 연도별 투구 성적은 아래와 같다.
연도 | 팀 | 경기 | 선발 | 완투 | 완봉 | 무볼넷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승률 | 타자 | 투구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몸에 맞는 볼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2016 | SF | 61 | 0 | 0 | 0 | 0 | 4 | 2 | 1 | 14 | .667 | 214 | 55.0 | 44 | 3 | 9 | 0 | 0 | 50 | 1 | 0 | 13 | 13 | 2.13 | 0.96 |
2017 | SF | 41 | 0 | 0 | 0 | 0 | 4 | 1 | 4 | 5 | .800 | 168 | 37.1 | 45 | 5 | 14 | 2 | 2 | 35 | 5 | 0 | 21 | 21 | 5.06 | 1.58 |
2018 | 7 | 0 | 0 | 0 | 0 | 1 | 0 | 0 | 0 | 1.000 | 66 | 13.1 | 16 | 2 | 8 | 0 | 1 | 12 | 1 | 0 | 13 | 11 | 7.43 | 1.80 | |
2019 | TOR | 58 | 4 | 0 | 0 | 0 | 1 | 2 | 5 | 8 | .333 | 285 | 60.2 | 61 | 8 | 40 | 3 | 3 | 67 | 7 | 0 | 36 | 33 | 4.90 | 1.66 |
2021 | MIN | 9 | 0 | 0 | 0 | 0 | 0 | 0 | 0 | 0 | -- | 67 | 15.0 | 16 | 2 | 8 | 0 | 0 | 14 | 1 | 0 | 7 | 7 | 4.20 | 1.60 |
2022 | DET | 2 | 0 | 0 | 0 | 0 | 0 | 1 | 0 | 0 | .000 | 13 | 2.0 | 4 | 1 | 1 | 0 | 1 | 2 | 1 | 0 | 5 | 1 | 4.50 | 2.50 |
2022 합계 | CIN | 15 | 0 | 0 | 0 | 0 | 2 | 2 | 0 | 3 | .500 | 79 | 17.2 | 19 | 2 | 7 | 0 | 1 | 15 | 0 | 0 | 8 | 8 | 4.08 | 1.47 |
합계 | 17 | 0 | 0 | 0 | 0 | 2 | 3 | 0 | 3 | .400 | 92 | 19.2 | 23 | 3 | 8 | 0 | 2 | 17 | 1 | 0 | 13 | 9 | 4.12 | 1.58 | |
2023 | CIN | 54 | 3 | 0 | 0 | 0 | 4 | 6 | 2 | 3 | .400 | 240 | 55.0 | 50 | 6 | 26 | 0 | 3 | 45 | 5 | 0 | 24 | 22 | 3.60 | 1.38 |
2024 | WSH | 75 | 0 | 0 | 0 | 0 | 7 | 4 | 1 | 17 | .636 | 365 | 90.0 | 82 | 7 | 24 | 0 | 1 | 76 | 6 | 0 | 31 | 26 | 2.60 | 1.18 |
MLB 통산 (8년) | 322 | 7 | 0 | 0 | 0 | 23 | 18 | 13 | 50 | .561 | 1497 | 346.0 | 337 | 36 | 137 | 5 | 12 | 316 | 27 | 0 | 158 | 142 | 3.69 | 1.37 |
- 2024 시즌 종료 기준
3.2. 수비 통계
데릭 로의 연도별 수비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 | 투수 (P)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16 | SF | 61 | 3 | 9 | 0 | 1 | 1.000 |
2017 | 41 | 2 | 3 | 0 | 0 | 1.000 | |
2018 | 7 | 1 | 1 | 0 | 0 | 1.000 | |
2019 | TOR | 58 | 3 | 12 | 2 | 0 | .882 |
2021 | MIN | 9 | 1 | 1 | 0 | 0 | 1.000 |
2022 | DET | 2 | 0 | 0 | 1 | 0 | .000 |
2022 합계 | CIN | 15 | 2 | 2 | 0 | 1 | 1.000 |
합계 | 17 | 2 | 2 | 1 | 1 | .800 | |
2023 | CIN | 54 | 1 | 5 | 0 | 0 | 1.000 |
2024 | WSH | 75 | 4 | 6 | 0 | 2 | 1.000 |
MLB | 322 | 17 | 39 | 3 | 4 | .949 |
- 2024 시즌 종료 기준
3.3. 등번호
데릭 로가 프로 경력 동안 사용했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 64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16년 ~ 2018년,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9년)
- 54 (미네소타 트윈스: 2021년)
- 48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22년 ~ 2022년 중도)
- 58 (신시내티 레즈: 2022년 중도 ~ 2022년, 워싱턴 내셔널스: 2024년 ~ 현재)
- 47 (신시내티 레즈: 2023년)
4. 개인 생활
데릭 로의 아버지인 조 로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마이너리그에서 야구를 했었다. 그는 4일 동안 메이저리그에 콜업된 적이 있지만 실제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하여 '팬텀 볼플레이어'로 불린다.
5. 외부 링크
- [https://www.mlb.com/player/derek-law-571882 Derek Law] - MLB.com
- [https://www.baseball-reference.com/players/l/lawde01.shtml Derek Law] - 베이스볼 레퍼런스
- [https://www.fangraphs.com/players/derek-law/13133/stats Fangraphs.com의 데릭 로 통계]
- [https://www.milb.com/player/derek-law-571882 MiLB.com의 데릭 로 통계]
- [https://twitter.com/DerekLaw24 데릭 로 트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