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대니얼 라이언 존슨(Daniel Ryan Johnson)은 1979년 8월 10일에 태어난 미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주로 1루수로 활약했으며 말년에는 너클볼 투수로도 전향을 시도했습니다. 그는 메이저리그 (MLB)에서 6개 팀 소속으로 10시즌 동안 뛰었고, 일본 프로 야구 (NPB)에서도 한 시즌을 보냈습니다. 존슨은 메이저리그에서 한 시즌 내내 주전 자리를 지키지는 못했지만, 두 번의 트리플A 리그 MVP를 수상하는 등 마이너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특히 2011년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탬파베이 레이스의 극적인 와일드카드 진출을 확정 짓는 데 결정적인 동점 홈런을 터뜨린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홈런은 '와일드카드 수요일'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회자됩니다. 그의 레이스 시절 클러치 히팅 능력과 붉은 머리, 수염 때문에 "위대한 호박"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2. 어린 시절과 교육
존슨은 1979년 8월 10일 미네소타주 아노카군 쿠프라피즈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1997년에 블레인 고등학교를 졸업했습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버틀러 대학교에 입학하여 1학년 때 중서부 대학 컨퍼런스 올 컨퍼런스 선수로 선정되었습니다. 이후 주니어 칼리지로 편입했으며, 최종적으로는 네브래스카 대학교에 진학했습니다. 네브래스카 대학교에서 그는 콘허스커스 팀이 칼리지 월드 시리즈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으며, 올-아메리칸 영예를 안기도 했습니다.
3. 프로 경력
대니얼 존슨의 프로 야구 경력은 마이너리그에서의 두드러진 활약과 메이저리그 및 일본 프로 야구에서의 도전, 그리고 극적인 순간들로 특징지어집니다. 그는 선수 생활 말년에는 너클볼 투수로의 전향을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3.1. 초기 경력 및 마이너리그 성공
존슨은 2001년 메이저리그 드래프트 7라운드에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지명을 받아 프로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마이너리그에서 두 번의 트리플A 리그 MVP를 수상하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습니다. 2004년에는 태평양 연안 리그 MVP를, 2010년에는 인터내셔널 리그 MVP를 수상했습니다. 특히 2010년에는 더럼 불스 소속으로 타율 .303, 30홈런, OPS 1.053이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하며 그 해 8월 메이저리그로 승격되었습니다.
3.2. 메이저리그 및 일본 프로 야구
존슨은 메이저리그에서 여러 팀을 거쳤으며, 일본 프로 야구에서도 한 시즌을 보냈습니다.
3.2.1.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존슨은 2005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소속으로 메이저리그에 데뷔했습니다. 루키 시즌에 타율 .275, 15홈런, 58타점을 기록하며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습니다. 2006년에는 시즌 초반 타율 .237로 부진하여 7월에 트리플A 계열사인 새크라멘토 리버 캣츠로 강등되었습니다. 이후 8월 31일 다시 애슬레틱스 로스터에 복귀했으나, 시즌을 타율 .234, 9홈런, 37타점으로 마쳤습니다. 당시 선크림이 눈에 들어가 복시를 겪고 있었음이 뒤늦게 밝혀졌으며, 이 문제는 2007년 시즌에 해결되었습니다.

2007년에는 애슬레틱스의 주전 1루수로 기대를 받았지만, 스프링 트레이닝 막바지에 엉덩이의 관절와순이 파열되어 시즌 초 3주를 결장했습니다. 4월 25일 복귀한 후 첫 18경기 중 16경기에서 안타를 기록하며 좋은 출발을 보였고, 5월 7일부터 13일까지 동료 잭 커스트와 함께 아메리칸 리그 공동 이주의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시즌 내내 타율이 .236으로 떨어지는 슬럼프를 겪었고, 특히 7월에는 타율 .156(19경기 64타수 10안타), 2홈런, 8타점으로 최악의 한 달을 보냈습니다. 2008년 4월 9일, 존슨은 지명 할당되었습니다.
3.2.2. 탬파베이 레이스 (첫 번째 및 두 번째 활동 기간)
존슨은 2008년 4월 18일 탬파베이 레이스에 의해 웨이버 클레임되어 이적했습니다. 그러나 5일 후 다시 지명 할당되었고, 사흘 뒤 트리플A 더럼 불스로 방출되었습니다. 9월 9일, 존슨은 더럼에서 레이스로 콜업되었습니다. 그는 9회말 대타로 출전하여 보스턴 레드삭스를 상대로 홈런을 터뜨려 경기를 동점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경기는 아메리칸 리그 동부 지구 우승 경쟁에 있어 중요한 경기로 평가되었으며, 레이스는 연장전 끝에 승리하며 그날 레드삭스가 지구 선두를 차지하는 것을 막았습니다. 레이스는 이후 시즌 남은 기간 동안 1위 자리를 지키며 프랜차이즈 역사상 첫 지구 우승을 차지했고, 아메리칸 리그 페넌트를 획득하며 월드 시리즈에 진출했습니다. 2008년 시즌 그의 타율은 .192, 출루율은 .276이었습니다.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에서의 활동 후, 존슨은 2010년 1월 11일 탬파베이 레이스와 연봉 50.00 만 USD의 1년 메이저리그 계약을 맺고 복귀했습니다. 그는 2010년 8월 더럼에서 레이스로 콜업되었습니다. 8월 28일, 그는 보스턴 레드삭스를 상대로 10회말 끝내기 홈런을 기록했습니다. 2010년 시즌 그의 타율은 .198로 멘도사 라인에 못 미쳤지만, 111타수 22안타, 32루타, 7홈런, 23타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9월 15일 뉴욕 양키스전에서는 2홈런 4타점의 활약으로 팀의 지구 우승에 기여했습니다.
2011년 시즌 초반 존슨은 타율 .115, OPS .345로 부진에 빠져 5월 20일 지명 할당되었습니다. 이후 9월 14일 다시 콜업되었습니다.
3.2.3.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존슨은 2008년 12월 19일 일본 센트럴 리그의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와 연봉 120.00 만 USD에 1년 계약을 맺었습니다. 그는 팀에 부족한 좌타 거포로 기대를 모았습니다. 2009년에는 무라타 슈이치가 WBC에서 부상당하면서 4번 타자 후보로도 거론되었으나, 개막전에서는 3번 타자로 출전했습니다. 무라타의 복귀 후에는 주로 5번이나 6번 타순에 기용되었습니다. 요코하마에서는 외야수 등록이었지만, 그의 본업은 내야수였고 메이저리그에서는 외야를 단 1경기만 지킨 경력이 있었습니다. 스프링 캠프 중 왼쪽 허벅지 부상과 전년도 1루를 지켰던 우치카와 세이이치가 외야 수비를 수락하면서, 경기에서는 1루수로 기용되었습니다. 전반기 종료 시점에는 13개의 홈런으로 장타력을 과시했고, 볼넷으로 출루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8월에 무라타가 다시 발 부상으로 이탈하자, 대타 4번 타자로 활약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그의 타격 폼은 극단적인 오픈 스탠스에서 다리를 약간 벌리는 정도로 변화했습니다. 시즌 후반부터 대타 기용을 중심으로 타격 성적이 향상되었으나, 시즌 막바지에 약점을 집중적으로 공략당하면서 다시 성적이 하락했고 낮은 타율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높은 연봉과 낮은 타율, 그리고 1루 수비만 가능하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하여 구단은 시즌 종료 후 그에게 전력외 통고를 내렸고, 존슨은 요코하마를 떠났습니다.
3.2.4. 시카고 화이트삭스
2012년 2월 1일, 존슨은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고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대받았습니다. 그는 화이트삭스의 트리플A 계열사인 샬럿 나이츠에서 뛰었습니다. 존슨은 버팔로에서 열린 트리플A 올스타전에 샬럿 나이츠 대표로 출전하여 홈런 더비에서 2위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2012년 9월 1일, 그의 계약이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의해 구매되어 메이저리그로 승격되었습니다. 당시 시카고 스포츠 기자들은 존슨이 탬파베이 레이스 소속으로 기록했던 162경기 홈런을 다시 언급하며, 시카고 트리뷴의 필 로저스는 "한 시즌 전, 존슨이 야구의 판도를 바꾸었다"고 기사를 쓰기도 했습니다.
3.2.5. 뉴욕 양키스 및 볼티모어 오리올스
2013년 1월 24일, 존슨은 뉴욕 양키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고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대받았습니다. 그러나 2013년 8월 30일, 양키스의 트리플A 계열사인 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일라이더스에서 방출되었습니다.
같은 날인 2013년 8월 30일, 그는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습니다. 트리플A 노퍽 타이즈에서 5경기를 뛴 후, 9월 13일 그의 계약이 오리올스에 의해 선택되어 메이저리그로 콜업되었습니다. 그는 3경기에 출전하여 5타수 무안타 1삼진에 그쳤습니다. 10월 31일 노퍽으로 방출되었고, 11월 1일 자유 계약을 선택했습니다.
3.2.6.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3년 11월 15일, 토론토 블루제이스는 존슨과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고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대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2014년 7월 11일, 부상자 명단에 오른 애덤 린드를 대신하여 트리플A 버팔로 바이슨스에서 그의 계약이 선택되어 블루제이스에 합류했습니다. 그날 블루제이스 데뷔전에서 그는 4번의 타석에서 모두 볼넷으로 출루하고 3득점을 기록했습니다. 7월 26일, 존슨은 4타점을 기록하며 블루제이스가 양키 스타디움에서의 17연패를 끊는 데 기여했습니다. 7월 31일에는 왼쪽 햄스트링 부상으로 15일짜리 부상자 명단에 올랐으며, 로스터가 확장된 9월 1일 복귀했습니다. 2014년 시즌, 존슨은 타율 .211, 1홈런, 7타점을 기록했습니다. 10월 1일 버팔로로 방출되었지만, 자유 계약 선수가 되기를 선택했습니다. 이 무렵 그는 투수 전향도 고려하고 있었습니다.
3.2.7. 신시내티 레즈 및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14년 12월 15일, 존슨은 휴스턴 애스트로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습니다. 스프링 트레이닝에서 19타수 타율 .158을 기록한 후, 2015년 3월 26일 신시내티 레즈로 추후 지명 선수 또는 현금 트레이드되었습니다. 그는 2015년 시즌을 트리플A 루이빌 배츠에서 시작했으나, 4월 23일 방출되었습니다.
2015년 5월 4일, 존슨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고 트리플A 멤피스 레드버즈에 배정되었습니다. 그는 멤피스에서 타율 .265, 11홈런, 42타점을 기록했으며, 7월 8일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콜업되었습니다. 그는 카디널스에서 12경기에 출전하여 19타수 3안타를 기록했습니다. 7월 30일 브랜던 모스 트레이드 후 지명 할당되었고, 8월 3일 40인 로스터에서 제외되어 멤피스로 방출되었습니다.
3.3. 주요 순간 및 "와일드카드 수요일"
존슨의 야구 경력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2011년 9월 28일 탬파베이 레이스의 시즌 마지막 경기였습니다. 당시 레이스는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경쟁에서 보스턴 레드삭스와 공동 선두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이 경기에서 뉴욕 양키스를 상대로 9회말 2아웃 주자 없는 상황에서 1점 뒤진 채 대타로 타석에 들어섰습니다. 2스트라이크 2볼로 몰린 상황에서 파울로 끈질기게 버틴 후, 바깥쪽 낮은 공을 받아쳐 우익수 스탠드 상단에 떨어지는 3점 홈런을 터뜨려 경기를 동점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홈런은 4월 27일 이후 존슨의 첫 안타였습니다. 레이스는 연장전 끝에 이 경기를 승리했고, 같은 날 레드삭스가 볼티모어 오리올스에게 패배하면서 레이스는 극적으로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를 확정했습니다.
이 극적인 경기는 "와일드카드 수요일"로 불리며 야구 역사상 최고의 마지막 밤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 MLB는 존슨의 이 162번째 경기 홈런을 2011년 GIBBY(Greatness in Baseball Yearly) 올해의 순간상으로 선정하여 영예를 안겼습니다. 빌 채스테인 기자는 "많은 야구 전문가들이 2011년 시즌의 마지막 밤을 야구 역사상 최고로 꼽았다"고 썼습니다. 존슨의 홈런 볼이 떨어진 트로피카나 필드 우익수 코너의 좌석(섹션 140, T열, 10번)은 이제 흰색으로 칠해져 "대니얼 존슨 좌석"으로 불립니다.
3.4. 투수 전향 및 독립 리그
2016년 3월 5일, 존슨은 탬파베이 레이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는데, 이는 1루수에서 너클볼 투수로 전향하려는 의도였습니다. 그러나 3월 30일 그는 방출되었습니다.
2016년 4월 8일, 존슨은 애틀랜틱 리그 소속의 브리지포트 블루피시와 계약했습니다. 그는 뉴욕 타임스의 "베테랑 투수 전향을 재조명하다"라는 기사에 실리기도 했습니다. 블루피시에서 43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23/.297/.381, 5홈런, 27타점을 기록했습니다. 그는 투수로도 5경기에 등판했습니다.
2016년 6월 13일, 그는 롱아일랜드 덕스로 트레이드되었습니다. 15경기에서 타율 .217/.357/.370, 2홈런, 7타점을 기록한 후 6월 29일 방출되었습니다.
2016년 8월 22일, 존슨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고 텍사스 리그 소속의 더블A 털사 드릴러스에 배정되었습니다. 그는 드릴러스에서 4경기에 투수로 등판하여 14.2 이닝 동안 5.52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으며, 때때로 대타로도 기용되어 5타수 1안타를 기록했습니다.
2017년 5월 15일, 존슨은 멕시칸 리그 소속의 푸에블라 페리코스와 계약하여 지명타자와 선발 투수 역할을 모두 수행했습니다. 2017년 7월 1일, 그는 방출되어 레온 브라보스에 배정되었습니다. 존슨은 두 팀에서 큰 활약을 펼쳤는데, 시즌을 62경기에서 타율 .319, 13홈런, 57타점으로 마쳤습니다. 270타석에서 38득점, 122루타, 23루타를 기록했으며, 출루율 .470, 장타율 .585를 기록했습니다.
존슨은 2018년 초 레온 브라보스로 복귀했지만, 13경기 출전에 그친 후 팀의 예비 명단에 올랐습니다. 이후 미국 독립 야구 협회의 세인트폴 세인츠와 계약했습니다. 그는 투수로 등록되었고, 2017년 멕시칸 리그 시즌 종료 후 8월 20일 세인츠와 재계약했습니다. 2018년 6월 14일, 그는 멕시칸 리그에서 짧은 기간을 보낸 후 투수로서 다시 세인츠로 돌아왔지만, 일주일 뒤인 6월 21일 방출되었습니다. 7월 2일 다시 계약했고, 7월 14일 링컨 솔트독스로 트레이드되었습니다. 2018년 시즌이 끝난 후 10월 11일 방출되었습니다.
4. 선수 은퇴 후 경력
2019년 8월, 대니얼 존슨은 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 캠퍼스 야구팀의 학생 코치로 합류했습니다. 이후 그는 프로 야구 선수로서의 활동은 더 이상 하지 않고 있습니다.
5. 수상 및 영예
- 태평양 연안 리그 MVP: 2004년
- 인터내셔널 리그 MVP: 2010년
- 아메리칸 리그 공동 이주의 선수: 2007년 5월 7일 ~ 13일 (동료 잭 커스트와 함께)
- GIBBY 2011 올해의 순간상: 2011년 시즌 마지막 경기의 극적인 홈런
6. 경력 통계
다음은 대니얼 존슨의 메이저리그, 일본 프로 야구 및 독립 리그에서의 타격 및 수비 통계입니다.
6.1. 타격 통계
연 도 | 시 합 | 타 석 | 타 수 | 득 점 | 안 타 | 2 루 타 | 3 루 타 | 홈 런 | 루 타 | 타 점 | 도 루 | 도 루 실패 | 희 타 | 희 비 | 볼 넷 | 고 의 볼넷 | 몸에 맞는 볼 | 삼 진 | 병 살 타 | 타 율 | 출 루 율 | 장 타 율 | O P S | |
---|---|---|---|---|---|---|---|---|---|---|---|---|---|---|---|---|---|---|---|---|---|---|---|---|
2005 | OAK | 109 | 434 | 375 | 54 | 103 | 21 | 0 | 15 | 169 | 58 | 0 | 1 | 0 | 8 | 50 | 1 | 1 | 52 | 11 | .275 | .355 | .451 | .806 |
2006 | 91 | 331 | 286 | 30 | 67 | 13 | 1 | 9 | 109 | 37 | 0 | 0 | 0 | 5 | 40 | 2 | 0 | 45 | 6 | .234 | .323 | .381 | .704 | |
2007 | 117 | 495 | 416 | 53 | 98 | 20 | 1 | 18 | 174 | 62 | 0 | 0 | 0 | 4 | 72 | 4 | 3 | 77 | 12 | .236 | .349 | .418 | .768 | |
2008 | 1 | 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000 | |
TB | 10 | 28 | 25 | 3 | 5 | 0 | 0 | 2 | 11 | 4 | 0 | 0 | 0 | 0 | 3 | 0 | 0 | 7 | 0 | .200 | .286 | .440 | .726 | |
'08 합계 | 11 | 29 | 26 | 3 | 5 | 0 | 0 | 2 | 11 | 4 | 0 | 0 | 0 | 0 | 3 | 0 | 0 | 7 | 0 | .192 | .276 | .423 | .699 | |
2009 | 요코하마 | 117 | 382 | 325 | 43 | 70 | 6 | 1 | 24 | 150 | 57 | 0 | 0 | 0 | 1 | 52 | 1 | 4 | 78 | 10 | .215 | .330 | .462 | .791 |
2010 | TB | 40 | 140 | 111 | 15 | 22 | 3 | 0 | 7 | 46 | 23 | 1 | 0 | 0 | 3 | 25 | 0 | 1 | 27 | 1 | .198 | .343 | .414 | .757 |
2011 | 31 | 91 | 84 | 7 | 10 | 1 | 0 | 2 | 17 | 4 | 0 | 0 | 0 | 0 | 6 | 0 | 1 | 18 | 3 | .119 | .187 | .202 | .389 | |
2012 | CWS | 14 | 31 | 22 | 8 | 8 | 1 | 0 | 3 | 18 | 6 | 0 | 0 | 0 | 0 | 9 | 1 | 0 | 3 | 0 | .364 | .548 | .818 | 1.367 |
2013 | BAL | 3 | 5 | 5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00 | .000 | .000 | .000 |
2014 | TOR | 15 | 48 | 38 | 8 | 8 | 2 | 0 | 1 | 13 | 7 | 0 | 0 | 0 | 2 | 7 | 0 | 1 | 10 | 1 | .211 | .333 | .342 | .675 |
2015 | STL | 12 | 21 | 19 | 1 | 3 | 0 | 0 | 0 | 3 | 2 | 0 | 0 | 0 | 0 | 2 | 0 | 0 | 4 | 1 | .158 | .238 | .158 | .396 |
MLB 총계 (10년) | 443 | 1625 | 1382 | 179 | 324 | 61 | 2 | 57 | 560 | 203 | 1 | 1 | 0 | 22 | 214 | 8 | 7 | 244 | 34 | .234 | .335 | .405 | .741 | |
NPB 총계 (1년) | 117 | 382 | 325 | 43 | 70 | 6 | 1 | 24 | 150 | 57 | 0 | 0 | 0 | 1 | 52 | 1 | 4 | 78 | 10 | .215 | .330 | .462 | .791 |
6.2. 수비 통계
연 도 | 구 단 | 1루 | 3루 | 좌익 | |||||||||||||||
---|---|---|---|---|---|---|---|---|---|---|---|---|---|---|---|---|---|---|---|
경 기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경 기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경 기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
2005 | OAK | 101 | 897 | 57 | 6 | 94 | .994 | - | - | ||||||||||
2006 | 85 | 689 | 64 | 4 | 96 | .995 | - | - | |||||||||||
2007 | 97 | 869 | 40 | 4 | 80 | .996 | - | - | |||||||||||
2008 | TB | 8 | 39 | 5 | 0 | 4 | 1.000 | - | 1 | 3 | 0 | 0 | 0 | 1.000 | |||||
2009 | 요코하마 | 53 | 451 | 27 | 6 | 31 | .988 | 33 | 24 | 42 | 4 | 4 | .943 | - | |||||
2010 | TB | 13 | 82 | 3 | 0 | 11 | 1.000 | 6 | 5 | 6 | 2 | 0 | .846 | 3 | 1 | 0 | 0 | 0 | 1.000 |
2011 | 21 | 151 | 13 | 1 | 10 | .994 | 3 | 0 | 2 | 0 | 0 | 1.000 | - | ||||||
2012 | CWS | 3 | 12 | 1 | 0 | 2 | 1.000 | - | - | ||||||||||
2013 | BAL | 1 | 1 | 0 | 0 | 1 | 1.000 | - | - | ||||||||||
2014 | TOR | 8 | 44 | 4 | 1 | 2 | .980 | - | - | ||||||||||
2015 | STL | 6 | 34 | 4 | 0 | 6 | 1.000 | - | - | ||||||||||
MLB 총계 | 343 | 2818 | 191 | 16 | 306 | .905 | 9 | 5 | 8 | 2 | 0 | .867 | 4 | 4 | 0 | 0 | 0 | 1.000 | |
NPB 총계 | 53 | 451 | 27 | 6 | 31 | .988 | 33 | 24 | 42 | 4 | 4 | .943 | - |
7. 등번호
- 11 (2005년)
- 29 (2006년 ~ 2008년 도중, 2012년)
- 24 (2008년 도중 ~ 2008년 종료, 2010년 ~ 2011년)
- 3 (2009년)
- 55 (2013년)
- 16 (2014년)
- 30 (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