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Education
단 칼리크만은 1968년 2월 21일 뉴욕주 헌팅턴 스테이션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그는 유대계 미국인이다. 칼리크만은 윌리엄스 칼리지에서 역사를 전공했으며, 학업과 병행하여 대학 축구 팀과 라크로스 팀의 주장을 맡는 등 뛰어난 리더십을 보였다. 특히 대학 축구 선수로는 NCAA 디비전 III 올 아메리칸에 세 차례나 선정될 정도로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2. Playing Career
단 칼리크만은 대학 졸업 후 일본과 미국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했으며,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했다.
2.1. College Career
칼리크만은 윌리엄스 칼리지에서 대학 축구 선수로 활동하며 세 차례 NCAA 디비전 III 올 아메리칸에 선정되었다. 그는 축구팀과 라크로스팀의 주장으로 활약하며 팀의 핵심 선수이자 리더로 인정받았다.
2.2. Professional Career
칼리크만은 1990년 일본 JSL의 마쓰다에 입단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1991년까지 마쓰다에서 뛰었고, 이후 1992년과 1993년에는 새로 창설된 J리그의 후신팀인 산프레체 히로시마에서 활동했다. 그는 J리그에서 뛴 최초의 미국인 선수라는 기록을 세웠다.
1995년, 그는 미국으로 돌아와 보스턴 스톰(USISL)과 뉴욕 센타우로스(A-리그)에서 뛰었다.
1996년, 칼리크만은 MLS의 창단 팀 중 하나인 LA 갤럭시에 배정되었다. 그는 LA 갤럭시에서 세 시즌 동안 주장을 맡았고, 1996년에는 MLS 올스타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1998년에는 마르셀로 발보아의 태클로 인해 오른쪽 정강이뼈와 종아리뼈가 모두 부러지는 심각한 부상을 입어 시즌을 마감했다.
1999 시즌을 앞두고 뉴잉글랜드 레볼루션으로 트레이드되었으며, 2000년에는 뉴잉글랜드와 산호세 어스퀘이크스를 오가며 활약했다. 그는 존 도일이 라인업에 없을 때 산호세 어스퀘이크스의 주장 완장을 차기도 했다. 2001년에는 USL 퍼스트 디비전의 찰스턴 배터리에서 뛰었고, 이 시즌을 끝으로 프로 선수 생활을 은퇴했다.
LA 갤럭시는 2009년 4월 4일 경기 전 행사를 통해 칼리크만의 공로를 기리는 명예 행사를 열었다.
2.3. International Career
칼리크만은 1997년에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두 차례 국제 경기에 출전했다.
3. Coaching Career
단 칼리크만은 선수 은퇴 후 축구 코치로 전향하여 다양한 팀에서 지도자 경력을 쌓았다.
3.1. Early Coaching Roles
2002년, 칼리크만은 캘리포니아주 클레어몬트에 위치한 클레어몬트 매케나 칼리지 남자 축구팀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2007년에는 남부 캘리포니아 기반의 유소년 축구 클럽인 LAFC 첼시의 선수 육성 디렉터로도 활동했다. 이 클럽은 이후 뉴욕 코스모스 아카데미를 거쳐 치바스 USA 아카데미의 일부가 되었다.
3.2. Major League Soccer Coaching
2014년부터 2020년까지 그는 그레그 배니 감독 휘하의 MLS 팀 토론토 FC에서 수석 코치로 일했다. 2021년에는 LA 갤럭시로 자리를 옮겨 수석 코치로 재직 중이다.
3.3. Controversy and Dismissal
치바스 USA 아카데미의 U-18 감독으로 활동하던 2011년, 칼리크만은 치바스 USA 구단주 호르헤 베르가라로부터 스페인어를 구사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갑작스럽게 해고 통보를 받았다. 당시 베르가라 구단주는 라틴계 선수만을 영입하려 한다는 인종 차별적 정책 논란에 휩싸여 있었다. 칼리크만의 해고는 이러한 구단주의 정책과 관련하여 불합리한 처사로 비판받았다.
4. Career Statistics
4.1. Club Statistics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산프레체 히로시마 | 1990-91 | JSL 2부 | 26 | 1 | 3 | 1 | - | - | 29+ | 2+ | |||||||
1991-92 | JSL 1부 | 11 | 0 | 0 | 0 | - | - | 11+ | 0+ | ||||||||
1992 | J1리그 | - | 1 | 1 | 6 | 1 | - | - | 6+ | 2+ | |||||||
1993 | 13 | 0 | 0 | 0 | 1 | 0 | - | - | 14 | 0 | |||||||
합계 | 50+ | 1+ | 1+ | 1+ | 10 | 2 | 0 | 0 | 0 | 0 | 60+ | 4+ | |||||
보스턴 스톰 | 1994 | USISL | - | - | - | - | |||||||||||
뉴욕 센타우로스 | 1995 | A-리그 | - | - | - | ||||||||||||
LA 갤럭시 | 1996 | 메이저 리그 사커 | 28 | 0 | - | - | - | 5 | 0 | 33 | 0 | ||||||
1997 | 32 | 0 | - | - | 1 | 0 | 2 | 0 | 35 | 0 | |||||||
1998 | 8 | 0 | - | - | - | 1 | 0 | 9 | 0 | ||||||||
합계 | 68 | 0 | 0 | 0 | 0 | 0 | 1 | 0 | 8 | 0 | 77 | 0 | |||||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 1999 | 메이저 리그 사커 | 25 | 0 | - | - | - | - | 25 | 0 | |||||||
2000 | 4 | 0 | 0 | 0 | - | - | 0 | 0 | 4 | 0 | |||||||
합계 | 29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9 | 0 | |||||
산호세 어스퀘이크스 | 2000 | 메이저 리그 사커 | 16 | 0 | 2 | 0 | - | - | - | 18 | 0 | ||||||
찰스턴 배터리 | 2001 | A-리그 | 22 | 1 | 2 | 0 | - | - | 2 | 0 | 26 | 1 | |||||
커리어 통산 | 185+ | 2+ | 4+ | 1+ | 10 | 2 | 1 | 0 | 10 | 0 | 210+ | 5+ |
4.2. International Statistics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 득점 |
---|---|---|---|
미국 | 1997 | 2 | 0 |
합계 | 2 | 0 |
4.3. Managerial Statistics
팀 | 시작 | 종료 | 기록 | |||||
---|---|---|---|---|---|---|---|---|
경기 | 승 | 패 | 무 | 승률 | ||||
클레어몬트-머드-스크립스 스타그스 | 2002년 9월 6일 | 2014년 9월 13일 | 242 | 140 | 82 | 20 | 57.85% | |
총합 | 242 | 140 | 82 | 20 | 57.85% |
5. Honors and Awards
개인
- MLS 올스타: 1996
6. Personal Life
단 칼리크만은 유대계 미국인이다.
7. Legacy and Impact
7.1. Pioneering Role
단 칼리크만은 일본 J리그에서 뛴 최초의 미국인 선수로서, 미국인 축구 선수들의 해외 진출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MLS의 창단과 함께 LA 갤럭시의 주장을 세 시즌 동안 맡으며 팀의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2009년 LA 갤럭시에서 열린 명예 행사는 그의 선수 경력과 팀에 대한 헌신을 인정하는 자리였다.
7.2. Influence on Football Development
선수 은퇴 후 칼리크만은 유소년 축구 육성과 대학 축구팀 감독, MLS 수석 코치 등 다양한 지도자 역할을 통해 미국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LAFC 첼시의 선수 육성 디렉터와 클레어몬트 매케나 칼리지의 감독으로서 미래 세대 축구 선수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그레그 배니와 같은 주요 MLS 감독의 코칭 스태프 일원으로 팀 전술과 선수 관리에 기여하며 미국 축구의 질적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8. 외부 링크
- [http://www.national-football-teams.com/player/28279/Dan_Calichman.html National Football Te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