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단 라우스트센(Dan Laustsen덴마크어)은 1954년 6월 15일생의 덴마크 영화 촬영 감독으로, 40여 년에 걸쳐 장편 영화, 다큐멘터리,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영화 산업에 지대한 공헌을 해왔습니다. 그는 덴마크 촬영 감독 협회와 미국 촬영 감독 협회(ASC) 회원이며, 특히 기예르모 델 토로, 채드 스타헬스키, 쇠렌 크라그-야콥센, 올레 보르네달 등 저명한 감독들과의 협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라우스트센은 암울하고 분위기 있는 연출부터 화려하고 생동감 넘치는 시각적 표현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소화하며 각 영화의 독특한 미학을 창조해왔습니다. 주요 작품으로는 《미믹》, 《리그 오브 젠틀맨》, 《사일런트 힐》, 《크림슨 피크》, 《존 윅 시리즈》, 아카데미상 수상작인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그리고 《나이트메어 앨리》 등이 있습니다.

2. 개인사 및 배경
단 라우스트센의 개인적인 배경과 교육 과정은 그의 촬영 감독 경력의 초석을 다졌습니다.
2.1. 출생 및 유년 시절
단 라우스트센은 1954년 6월 15일 덴마크 올보르에서 아게 오루프 라우스트센과 엘렌 라우스트센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세계적인 탐사 잡지인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사진 작가가 되는 것을 꿈꿨습니다.
2.2. 교육
라우스트센은 영화 촬영 감독으로서의 경력을 쌓기 위해 1976년부터 1979년까지 덴마크 국립 영화 학교에서 영화 촬영을 전문적으로 공부했습니다. 이 교육 과정은 그가 다양한 장르의 영화와 광고를 아우르는 폭넓은 경험을 쌓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3. 경력
단 라우스트센은 40여 년에 걸친 경력 동안 수많은 영화 및 텔레비전 작품의 촬영을 담당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과 깊이 있는 시각적 언어를 구축했습니다.
3.1. 촬영 감독 활동
라우스트센의 경력은 1979년 《스칼 비 단세 퍼스트?》로 시작하여 현재까지 활발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는 특히 쇠렌 크라그-야콥센, 올레 보르네달, 기예르모 델 토로, 채드 스타헬스키 등 여러 감독들과 지속적으로 협업하며 그들의 비전을 스크린에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작업은 때로는 현실적이고 강렬한 분위기를, 때로는 환상적이고 예술적인 미학을 담아내며 광범위한 장르를 아우릅니다. 그는 단순히 카메라를 조작하는 것을 넘어, 빛과 그림자를 활용하여 이야기의 감정적 깊이를 더하고 캐릭터의 내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3.2. 필모그래피
단 라우스트센은 다양한 영화와 TV 시리즈에서 촬영 감독으로 활약했습니다. 그의 필모그래피는 장편 영화, TV 시리즈 및 미니시리즈, 그리고 다큐멘터리 영화로 나눌 수 있습니다.
3.2.1. 장편 영화
연도 | 제목 (한국어) | 원제 | 감독 | 비고 |
---|---|---|---|---|
1979 | 스칼 비 단세 퍼스트? | Skal vi danse først? | 아네테 마리 올센 | |
1980 | 단마르크 에르 루케트 | Danmark er lukket | 단 체르니아 | 클라우스 로프와 공동 작업 |
1981 | 하르 두 세트 앨리스? | Har du set Alice? | 브리타 비엘로폴스카 | |
1981 | 구미-타르잔 | Gummi-Tarzan | 쇠렌 크라그-야콥센 | |
1982 | 덴 우베텐크솜메 엘스케르 | Den ubetænksomme elsker | 클라우스 플라우그 | |
1983 | 오토 에르 에트 네세호른 | Otto er et næsehorn | 룸레 함메리치 | |
1983 | 이스푸글레 | Isfugle | 쇠렌 크라그-야콥센 | |
1984 | 민 파르모르스 후스 | Min farmors hus | 프로데 회예르 페데르센 | |
1985 | 엘리세 | Elise | 클라우스 플라우그 | |
1985 | 요하네스' 헤멜리그헤드 | Johannes' hemmelighed | 오케 산드그렌 | |
1988 | 스키겐 아프 엠마 | Skyggen af Emma | 쇠렌 크라그-야콥센 | |
1988 | 굴드레인 | Guldregn | 쇠렌 크라그-야콥센 | |
1988 | 데이비드 오어 골리앗 | David or Goliath | 안네 비벨 | |
1989 | 발비의 기적 | The Miracle in Valby | 오케 산드그렌 | |
1991 | 성 베트리 소년들 | The Boys from St. Petri | 쇠렌 크라그-야콥센 | |
1994 | 나테바그텐 | Nattevagten | 올레 보르네달 | |
1995 | 카르멘 & 베이비페이스 | Carmen & Babyface | 욘 방 칼센 | |
1997 | 나이트워치 | Nightwatch | 올레 보르네달 | |
1997 | 미믹 | Mimic | 기예르모 델 토로 | |
1998 | 빛의 심장 | Heart of Light | 야코브 그뢴리케 | |
1999 | 러닝 프리 | Running Free | 세르게이 보드로프 | |
2000 | 딕케르네 | Dykkerne | 오케 산드그렌 | |
2001 | 제보당의 늑대 | Brotherhood of the Wolf | 크리스토프 강 | |
2002 | 나는 디나 | I Am Dina | 올레 보르네달 | |
2003 | 어둠의 저주 | Darkness Falls | 조너선 리브스만 | |
2003 | 리그 오브 젠틀맨 | The League of Extraordinary Gentlemen | 스티븐 노링턴 | |
2005 | 섹스 홉 & 캐르렉 | Sex hopp & kärlek | 리사 올린 | |
2005 | 노마드 | Nomad | 세르게이 보드로프, 이반 파세르 | 울리 슈타이거와 공동 작업 |
2006 | 사일런트 힐 | Silent Hill | 크리스토프 강 | |
2007 | 대체자 | The Substitute | 올레 보르네달 | |
2007 | 윈드 칠 | Wind Chill | 그레고리 제이콥스 | |
2007 | 그냥 또 다른 러브 스토리 | Just Another Love Story | 올레 보르네달 | |
2009 | 우리에게서 악을 구하소서 | Deliver Us from Evil | 올레 보르네달 | |
2009 | 헤드헌터 | Headhunter | 룸레 함메리치 | |
2009 | 솔로몬 케인 | Solomon Kane | M. J. 배싯 | |
2011 | 시몬과 참나무 | Simon and the Oaks | 리사 올린 | |
2012 | 포제션 | The Possession | 올레 보르네달 | |
2012 | 자이툰 | Zaytoun | 에란 리클리스 | |
2012 | 소베르 돌리 파 뤼겐? | Sover Dolly på ryggen? | 헬라 요프 | |
2015 | 크림슨 피크 | Crimson Peak | 기예르모 델 토로 | |
2016 | 사자 여인 | The Lion Woman | 비베케 이드쇠 | |
2017 | 드레베르네 프라 니베 | Dræberne fra Nibe | 올레 보르네달 | 린다 바스베르그와 공동 작업 |
2017 | 존 윅: 챕터 2 | John Wick: Chapter 2 | 채드 스타헬스키 | |
2017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 The Shape of Water | 기예르모 델 토로 | |
2018 | 프라우드 메리 | Proud Mary | 바바크 나야피 | |
2019 | 존 윅 3: 파라벨룸 | John Wick: Chapter 3 - Parabellum | 채드 스타헬스키 | |
2021 | 나이트메어 앨리 | Nightmare Alley | 기예르모 델 토로 | |
2023 | 존 윅 4 | John Wick: Chapter 4 | 채드 스타헬스키 | |
2023 | 컬러 퍼플 | The Color Purple | 블리츠 바자울레 | |
2025 | 협곡 | The Gorge | 스콧 데릭슨 | |
2025 | 프랑켄슈타인 | Frankenstein | 기예르모 델 토로 | 후반 작업 중 |
3.2.2. TV 시리즈 및 미니시리즈
연도 | 제목 | 감독 | 비고 |
---|---|---|---|
1986 | 굴드레인 | 쇠렌 크라그-야콥센 | 6개 에피소드 모두 |
1990 | 스트뢰메를리브 | 피터 링고르드 | 다큐멘터리 시리즈 |
1993 | 덴 코르시칸스케 비스코펜 | 쇠렌 크라그-야콥센 | 미니시리즈 |
1996 | 샬로트 오그 샬로트 | 올레 보르네달 | 에피소드 "하느님은 모든 것을 보신다 - 심지어 우리가 그를 믿지 않을 때도" (미니시리즈) |
1999 | 딥 워터 | 올레 보르네달 | TV 영화 |
2009 | 플리즈 헬프 더 월드 | 미켈 블라베르그 파울센 | TV 단편 |
2013 | 발란더 | 리사 올린 | 에피소드 "슬픈 새" |
2014 | 1864 | 올레 보르네달 | 미니시리즈 |
3.2.3. 다큐멘터리 영화
연도 | 제목 | 감독 | 비고 |
---|---|---|---|
1984 | 단스크 블라드테그닝: 단스케 블라드테그네레 - 엔 도큐멘테이션 | 키르스텐 스텐베크 | 단편 다큐멘터리 |
1987 | 안식트 틸 안식트 | 안네 비벨 | |
1991 | 지젤 | 안네 비벨 | |
1994 | 쇠렌 키르케고르에 대하여 | 안네 비벨 | |
2011 | 블릭센의 가면 뒤에서 | 모르텐 헨릭센 | 욘 방 칼센, 모르텐 쇠보르그, 얀 바인케와 공동 작업 |
3.3. 주요 협업
단 라우스트센은 그의 오랜 경력 동안 여러 감독들과 긴밀하게 협업하며 그들의 시각적 비전을 실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특히 그의 작업은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과의 협업에서 빛을 발했습니다. 델 토로 감독의 작품인 《미믹》(1997), 《크림슨 피크》(2015),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2017), 《나이트메어 앨리》(2021), 그리고 향후 개봉 예정인 《프랑켄슈타인》(2025)에서 라우스트센은 독특한 시각적 스타일과 분위기를 구현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그는 델 토로의 고유한 어두운 판타지 세계관을 스크린에 효과적으로 담아냈습니다.
또한 채드 스타헬스키 감독과의 협업도 주목할 만합니다. 액션 장르의 새로운 지평을 연 《존 윅 시리즈》의 주요 작품들, 즉 《존 윅: 챕터 2》(2017), 《존 윅 3: 파라벨룸》(2019), 《존 윅 4》(2023)에서 라우스트센은 역동적인 촬영과 강렬한 색감으로 시리즈 특유의 스타일을 확립했습니다. 그는 조명과 카메라 움직임을 통해 액션 시퀀스의 긴장감과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데 탁월한 역량을 발휘했습니다.
이 외에도 덴마크 영화계에서는 올레 보르네달 감독과 여러 차례 함께 작업했는데, 《나테바그텐》(1994), 《나이트워치》(1997), 《나는 디나》(2002), 《대체자》(2007) 등에서 인상적인 촬영을 선보였습니다. 쇠렌 크라그-야콥센 감독과는 초기작인 《구미-타르잔》(1981)부터 《발비의 기적》(1989), 《성 베트리 소년들》(1991) 등 다수의 작품에서 협력했습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협업은 라우스트센이 각 감독의 예술적 비전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완벽하게 구현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지녔음을 보여줍니다.
4. 수상 경력
단 라우스트센은 그의 뛰어난 촬영 감독으로서의 업적을 인정받아 다양한 국제 및 국내 영화 시상식에서 수상하거나 후보에 올랐습니다.
4.1. 주요 국제 시상식
라우스트센은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여러 시상식에서 촬영 감독상 후보에 지명되었습니다.
연도 | 제목 | 시상식 | 부문 | 결과 |
---|---|---|---|---|
2017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 아카데미상 | 아카데미 촬영상 | 후보 |
2017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촬영상 | 후보 |
2017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 미국 촬영 감독 협회 (ASC) | 미국 촬영 감독 협회상 최우수 촬영상 | 후보 |
2021 | 나이트메어 앨리 | 아카데미상 | 아카데미 촬영상 | 후보 |
2021 | 나이트메어 앨리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촬영상 | 후보 |
2021 | 나이트메어 앨리 | 미국 촬영 감독 협회 (ASC) | 미국 촬영 감독 협회상 최우수 촬영상 | 후보 |
4.2. 덴마크 국내 시상식
그는 자국 덴마크의 주요 영화 시상식에서 여러 차례 수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연도 | 제목 | 시상식 | 부문 | 결과 |
---|---|---|---|---|
1981 | 구미-타르잔 | 보딜상 | 최우수 촬영상 | 수상 |
1984 | 민 파르모르스 후스 | 로버트상 | 최우수 촬영상 | 수상 |
1988 | 스키겐 아프 엠마 | 로버트상 | 최우수 촬영상 | 수상 |
1989 | 발비의 기적 | 로버트상 | 최우수 촬영상 | 수상 |
2000 | 딕케르네 | 로버트상 | 최우수 촬영상 | 후보 |
2002 | 나는 디나 | 로버트상 | 최우수 촬영상 | 수상 |
2007 | 그냥 또 다른 러브 스토리 | 로버트상 | 최우수 촬영상 | 수상 |
2001 | 나는 디나 | 골든 프로그 | 후보 |
4.3. 기타 비평가 협회상
주요 국제 시상식 외에도 다양한 비평가 협회 및 영화 단체에서 그의 작품이 인정받았습니다.
연도 | 제목 | 시상식 / 후보 |
---|---|---|
2017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 댈러스-포트워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수상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촬영상 수상 뉴욕 영화 비평가 온라인상 촬영상 수상 후보: 여성 영화 기자 연합상, 오스틴 영화 비평가 협회상,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촬영상,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촬영상, 플로리다 영화 비평가 협회상 촬영상, 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촬영상,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 촬영상, 새틀라이트상 촬영상 |
2021 | 나이트메어 앨리 | 후보: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촬영상, 샌디에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촬영상,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영화 비평가 협회상 촬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