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니콜라 카라바티치(Nikola Karabatic니콜라 카라바티치프랑스어)는 프랑스의 핸드볼 선수이자 역사상 가장 위대한 핸드볼 선수 중 한 명으로 널리 평가받는다. 1984년 세르비아 니슈에서 태어났으며, 센터백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그는 2002년부터 2024년까지 프랑스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활약하며 올림픽 금메달 3개,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4개,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 4개를 포함하여 총 11개의 주요 국제 대회 우승을 달성했다. 그는 총 17개의 국제 대회 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선수 중 최다 메달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클럽 경력에서는 몽펠리에 HB, THW 킬, FC 바르셀로나, 파리 생제르맹 핸드볼 등 유럽 유수의 클럽에서 뛰며 EHF 챔피언스리그 3회 우승을 포함해 프랑스, 독일, 스페인 리그에서 총 21번의 우승을 경험했다. 개인적으로는 IHF 올해의 선수를 2007년, 2014년, 2016년에 걸쳐 남자 선수 최다인 3회 수상했으며, 2024년에는 EHF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 개인사 및 성장 과정
니콜라 카라바티치의 개인적인 배경과 삶의 주요 사건들은 그의 성장과 선수 경력에 영향을 미쳤다.
2.1. 출생 및 가족 배경
니콜라 카라바티치는 1984년 4월 11일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니샤바구의 니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브란코 카라바티치(Branko Karabatić브란코 카라바티치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인으로, 크로아티아 트로기르와 마리나 사이의 브르시네 마을 출신이며, 그 또한 프로 핸드볼 선수였다. 어머니 라드밀라 카라바티치(Radmila Karabatić라드밀라 카라바티치세르비아어)는 세르비아인으로, 세르비아 알렉시나츠 출신이다. 브란코는 니슈의 젤레즈니차르 핸드볼팀에서 뛰던 중 라드밀라를 만났다.
니콜라가 3.5세였을 때, 아버지가 프랑스에서 코칭 직업을 얻게 되면서 가족은 프랑스로 이주했다. 그의 남동생인 루카 카라바티치 또한 프로 핸드볼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2.2. 사생활 및 논란
니콜라 카라바티치는 모국어인 프랑스어와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외에도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2012년 9월 30일, 니콜라 카라바티치는 경기 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자신의 아내와 동생 루카와 함께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핸드볼계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3. 선수 경력
니콜라 카라바티치는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세계 핸드볼계의 정상급 선수로 활약하며 수많은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3.1. 클럽 경력
카라바티치는 몽펠리에 HB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2000년부터 2005년까지 몽펠리에에서 뛰며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에 프랑스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2003년에는 EHF 챔피언스리그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05년 여름, 그는 독일의 THW 킬로 이적하여 2009년까지 활약했다. THW 킬에서 그는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에 독일 리그 챔피언이 되었고, 2007년에는 두 번째 EHF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경험했다.
2009년 여름, 그는 독일을 떠나 다시 몽펠리에 HB로 돌아왔다. 2013년까지 몽펠리에에서 뛰면서 2010년, 2011년, 2012년에 프랑스 리그 우승을 추가했다. 2013년 2월부터 6월까지는 페이 덱스에서 잠시 뛰었다.
이후 2013년 FC 바르셀로나로 이적하여 2015년까지 활약하며 2014년, 2015년에 스페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2015년에는 FC 바르셀로나 소속으로 세 번째 EHF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2015년부터 2024년까지는 파리 생제르맹 핸드볼에서 뛰었다. 그는 파리 생제르맹에서 2016년부터 2024년까지 총 9번의 프랑스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클럽 경력의 마지막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그는 프랑스, 독일, 스페인 리그에서 총 21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3.2. 국가대표 경력
카라바티치는 2002년부터 2024년까지 프랑스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활동하며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빛나는 업적을 남겼다. 그는 올림픽, 세계 선수권,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총 11개의 우승 타이틀과 17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 남자 핸드볼 역사상 최다 메달 기록을 세웠다.
그의 주요 국제 대회 성과는 다음과 같다.
- 올림픽 핸드볼
- 금메달: 2008 베이징, 2012 런던, 2020 도쿄
- 은메달: 2016 리우데자네이루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2009 크로아티아, 2011 스웨덴, 2015 카타르, 2017 프랑스
- 은메달: 2023 폴란드/스웨덴
- 동메달: 2005 튀니지, 2019 독일/덴마크
- 유럽 선수권 대회
- 금메달: 2006 스위스, 2010 오스트리아, 2014 덴마크, 2024 독일
- 동메달: 2008 노르웨이, 2018 크로아티아
그는 2004년 유럽 선수권 대회와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올스타 팀에 선정되는 등 꾸준히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4. 기록 및 수상 내역
니콜라 카라바티치는 선수 경력 전반에 걸쳐 탁월한 경기 기록과 수많은 개인 및 팀 수상 내역을 보유하고 있다.
4.1. 주요 대회 기록
다음은 니콜라 카라바티치의 주요 국제 대회 통계 기록이다.
대회 | 경기 수 | 득점 | 슛 | 득점률 (%) | 7m 득점 | 7m 슛 | 어시스트 | 득점+어시스트 | 스틸 | 블록 | 2분 퇴장 | 레드 카드 | 팀 순위 |
---|---|---|---|---|---|---|---|---|---|---|---|---|---|
2004 유럽 선수권 | 7 | 35 | 71 | 49 | 8 | 13 | 21 | 56 | 4 | 3 | 4 | 0 | 6위 |
2004 올림픽 | 7 | 20 | 39 | 51 | 2 | 2 | 16 | 36 | 2 | 1 | 5 | 0 | 5위 |
2005 세계 선수권 | 9 | 43 | 71 | 61 | 5 | 5 | 20 | 63 | 8 | 4 | 5 | 0 | 3위 |
2006 유럽 선수권 | 8 | 40 | 72 | 56 | 0 | 1 | 14 | 54 | 10 | 4 | 4 | 0 | 1위 |
2007 세계 선수권 | 10 | 50 | 86 | 58 | 0 | 2 | 24 | 74 | 13 | 4 | 7 | 1 | 4위 |
2008 유럽 선수권 | 8 | 44 | 89 | 49 | 7 | 14 | 26 | 70 | 6 | 5 | 2 | 0 | 3위 |
2008 올림픽 | 8 | 37 | 69 | 54 | 2 | 3 | 34 | 71 | 7 | 6 | 2 | 0 | 1위 |
2009 세계 선수권 | 10 | 45 | 80 | 56 | 0 | 0 | 36 | 81 | 8 | 9 | 2 | 0 | 1위 |
2010 유럽 선수권 | 8 | 40 | 73 | 55 | 0 | 0 | 25 | 65 | 5 | 4 | 6 | 0 | 1위 |
2011 세계 선수권 | 10 | 51 | 80 | 63 | 0 | 0 | 34 | 85 | 4 | 10 | 2 | 0 | 1위 |
2012 유럽 선수권 | 6 | 9 | 34 | 26 | 0 | 0 | 11 | 20 | 3 | 1 | 1 | 0 | 11위 |
2012 올림픽 | 8 | 26 | 48 | 54 | 0 | 0 | 34 | 60 | 3 | 15 | 3 | 0 | 1위 |
2013 세계 선수권 | 7 | 25 | 38 | 66 | 0 | 0 | 12 | 37 | 3 | 10 | 3 | 0 | 6위 |
2014 유럽 선수권 | 8 | 32 | 51 | 63 | 0 | 0 | 44 | 76 | 3 | 6 | 4 | 0 | 1위 |
2015 세계 선수권 | 9 | 33 | 56 | 59 | 0 | 0 | 26 | 59 | 8 | 14 | 9 | 0 | 1위 |
2016 유럽 선수권 | 7 | 26 | 47 | 55 | 0 | 0 | 21 | 47 | 5 | 3 | 2 | 0 | 5위 |
2016 올림픽 | 8 | 26 | 40 | 65 | 0 | 0 | 21 | 47 | 4 | 4 | 2 | 0 | 2위 |
2017 세계 선수권 | 9 | 31 | 53 | 58 | 0 | 0 | 42 | 73 | 7 | 5 | 4 | 0 | 1위 |
2018 유럽 선수권 | 8 | 30 | 46 | 65 | 0 | 0 | 33 | 63 | 3 | 3 | 3 | 0 | 3위 |
2019 세계 선수권 | 6 | 4 | 15 | 27 | 0 | 0 | 15 | 19 | 1 | 1 | 3 | 0 | 3위 |
2020 유럽 선수권 | 3 | 8 | 13 | 62 | 0 | 0 | 5 | 13 | 0 | 2 | 0 | 0 | 14위 |
2021 세계 선수권 | 팀에 없음 | ||||||||||||
2020 올림픽 | 8 | 22 | 34 | 65 | 0 | 0 | 29 | 51 | 1 | 1 | 3 | 0 | 1위 |
2022 유럽 선수권 | 8 | 15 | 36 | 42 | 0 | 0 | 22 | 37 | 2 | 3 | 3 | 0 | 4위 |
2023 세계 선수권 | 7 | 8 | 18 | 44 | 0 | 0 | 12 | 20 | 0 | 1 | 0 | 0 | 2위 |
2024 유럽 선수권 | 8 | 16 | 27 | 59 | 0 | 0 | 22 | 38 | 1 | 0 | 0 | 0 | 1위 |
- 범례:
- 대회 (Tnmt): 대회명
- 경기 수 (GP): 출전 경기 수
- 득점 (Gls): 득점 수
- 슛 (Sh): 슛 시도 수
- 득점률 (G%): 득점 성공률
- 7m 득점 (7G): 7미터 스로 득점 수
- 7m 슛 (7S): 7미터 스로 시도 수
- 어시스트 (As): 어시스트 수
- 득점+어시스트 (AG): 득점과 어시스트 합계
- 스틸 (St): 스틸 수
- 블록 (Bl): 블록 수
- 2분 퇴장 (2M): 2분 퇴장 횟수
- 레드 카드 (RC): 레드 카드 횟수
- 팀 순위 (Pl): 국가대표팀 최종 순위
- 색상 코드:
- 배경색 #F4C842: 대회 MVP
- 배경색 #BDD6EE: 올스타 팀 선정
- 배경색 #CFECEC: 대회 최다 기록 (득점, 슛 등)
- 배경색 #FFD700: 1위 (금메달)
- 배경색 #C0C0C0: 2위 (은메달)
- 배경색 #CD7F32: 3위 (동메달)
4.2. 개인 수상 및 업적
니콜라 카라바티치는 그의 경력 동안 수많은 개인상과 팀 우승을 거머쥐었다.
개인 수상:
- IHF 올해의 선수
- 수상: 2007년, 2014년, 2016년 (남자 선수 최다 3회 수상)
- 2위: 2009년, 2010년, 2015년
- 3위: 2011년
- 국가대표팀 경력
- 세계 선수권 대회 MVP: 2011년, 2017년
- 유럽 선수권 대회 MVP: 2008년, 2014년
- 유럽 선수권 대회 득점왕: 2008년
- 올림픽 올스타 팀 센터백: 2012년, 2016년
- 세계 선수권 대회 올스타 팀 센터백: 2009년, 2015년
- 유럽 선수권 대회 올스타 팀 센터백: 2010년
- 세계 선수권 대회 올스타 팀 레프트백: 2007년
- 유럽 선수권 대회 올스타 팀 레프트백: 2004년
- 투르누아 드 프랑스 최우수 선수: 2007년, 2011년
- 클럽 경력
- EHF 챔피언스리그 최다 득점자: 2007년 (89골)
- EHF 챔피언스리그 올스타 팀: 2014년
- 프랑스 리그 최우수 선수: 2010년, 2013년, 2017년
- 프랑스 리그 베스트 레프트백: 2004년, 2005년
- 프랑스 리그 베스트 센터백: 2010년, 2016년, 2017년
- 프랑스 슈퍼컵 최우수 선수: 2010년
- 독일 올해의 선수: 2007년, 2008년
- 독일 리그 시즌 최우수 선수: 2006-07, 2007-08
- 독일 리그 베스트 레프트백: 2006년, 2007년, 2008년
- 독일 올스타전 최우수 선수: 2007년
- 스페인 리그 최우수 선수: 2014년, 2015년
- 기타
- 프랑스 올해의 스포츠맨: 2011년
- EHF 명예의 전당 헌액: 2024년
팀 우승:
- EHF 챔피언스리그
- 우승: 2003년, 2007년, 2015년
- 준우승: 2008년, 2009년, 2017년
- IHF 슈퍼 글로브
- 우승: 2013년, 2014년
- 유럽 슈퍼컵
- 우승: 2007년
- 프랑스 리그 (LNH 디비시옹 1)
- 우승: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 프랑스 컵
- 우승: 2001년, 2002년, 2003년, 2005년, 2010년, 2012년, 2018년, 2021년, 2022년
- 프랑스 리그 컵
- 우승: 2004년, 2005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7년, 2018년
- 프랑스 슈퍼컵
- 우승: 2010년, 2011년, 2015년, 2016년, 2019년, 2023년
- 독일 리그 (핸드볼 분데스리가)
- 우승: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 독일 컵 (DHB-포칼)
- 우승: 2007년, 2008년, 2009년
- 독일 슈퍼컵
- 우승: 2005년, 2007년, 2008년
- 스페인 리그 (리가 아소발)
- 우승: 2014년, 2015년
- 스페인 컵 (코파 델 레이 데 발론마노)
- 우승: 2014년, 2015년
- 스페인 슈퍼컵 (수페르코파 아소발)
- 우승: 2013년, 2014년
- 아소발 컵 (코파 아소발)
- 우승: 2013년, 2014년
- 카탈루냐 슈퍼컵
- 우승: 2013년, 2014년
- 피레네 리그
- 우승: 2004년
- 국가대표팀 국제 대회
- 올림픽 핸드볼 금메달 3회, 은메달 1회
-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4회, 은메달 1회, 동메달 2회
-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 4회, 동메달 2회
- 월드컵: 2002년
- 투르누아 드 프랑스: 2007년, 2011년
5. 평가 및 유산
니콜라 카라바티치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핸드볼 선수 중 한 명으로 널리 평가받고 있다. 그의 다재다능함, 뛰어난 기술, 강력한 리더십은 그를 핸드볼 코트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만들었다. 그는 공격과 수비 양면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며 팀의 성공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2011년에는 프랑스의 권위 있는 스포츠 상인 레키프 선정 '챔피언 중의 챔피언'에 선정되기도 했다. 2024년에는 EHF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며 그의 위대한 업적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카라바티치는 핸드볼 역사에 길이 남을 전설적인 선수로 기억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