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콘치셀렐로 무티티(Nontsikelelo Mutiti영어, 1982년 8월 31일 출생)는 짐바브웨 출신의 그래픽 디자이너, 예술가, 교육자이다. 그녀의 작품은 주로 웹 디자인, 비디오, 인쇄물 및 북 아트에 중점을 둔다. 특히 그녀는 자신의 디자인 작업에 헤어 브레이딩을 자주 포함시키며, "흑인 문화 간의 미묘한 차이"에 깊은 관심을 보인다. 그녀의 작업은 블랙 라이브즈 매터 운동을 위한 인쇄물 자료를 포함하여 흑인 정체성, 문화 및 사회 문제에 대한 담론을 적극적으로 형성하고 기여함으로써 예술과 사회적 참여의 교차점을 탐구한다. 2022년부터 무티티는 예일 대학교 미술대학에서 그래픽 디자인 대학원 과정의 디렉터를 맡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중요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2. 어린 시절과 교육
무티티는 1982년 짐바브웨의 수도 하라레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2007년 짐바브웨 비지탈 예술 연구소에서 멀티미디어 예술 분야 학위를 취득하며 초기 교육을 마쳤다. 이후 2012년에는 예일 대학교 미술대학에서 그래픽 디자인 분야 석사 학위(MFA)를 받았다.
3. 경력
무티티의 경력은 교육자로서의 학술 활동과 다양한 문화 및 출판 이니셔티브에서의 협업을 통해 다각적인 전문성을 보여준다.
3.1. 학술 경력 및 교육 활동
무티티는 2022년 6월 예일 대학교에 그래픽 디자인 대학원 과정의 디렉터로 임명되었다. 그녀는 셰일라 레브란트 드 브레테빌 교수의 32년간의 재임에 이어 예일 대학원 그래픽 디자인 프로그램의 세 번째 디렉터가 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예일 대학교에 부임하기 전, 무티티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그래픽 디자인 학과의 조교수로 재직하며 학생들을 가르쳤다. 또한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이전에는 퍼체스 칼리지에서도 강의한 경험이 있다.
3.2. 협력 및 출판 활동
무티티는 디트로이트에 위치한 짐바브웨 문화 센터의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으로, 이 센터는 디트로이트와 짐바브웨 예술가들 간의 협력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녀는 또한 티나셰 무샤카반후와 함께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이자 출판사 임프린트인 블랙 초크 & 코(Black Chalk & Co영어)를 공동 설립했다. 무샤카반후와 무티티는 짐바브웨 문학의 디지털 아카이브인 리딩 짐바브웨(Reading Zimbabwe영어)를 이끌고 있으며, 무티티는 2016년 후반 리딩 짐바브웨가 설립된 이래로 예술 감독이자 공동 설립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4. 예술 작품 및 주요 주제
무티티의 예술 작품은 흑인 문화의 복잡한 서사를 탐구하고, 특히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내의 헤어 브레이딩 기술과 사회적 관행에 대한 심도 깊은 고찰을 담고 있다.
4.1. 핵심 주제 및 예술적 접근 방식
무티티는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에서 헤어 브레이딩과 자기 치장의 기술적 공예 및 사회적 관행에 대한 예술적 탐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2014년 리세스 아트(Recess Art영어)에서 열린 그녀의 전시회에서 무티티는 뉴욕시나 하라레에서 볼 수 있는 아프리카 헤어 브레이딩 살롱의 공간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녀는 "산성 녹색이나 밝은 오렌지색으로 칠해진 벽, 유명인의 잡지 스크랩, 헤어 제품 모델, 복음주의 교회의 전단지와 포스터... 그리고 캐비닛 위에 놓인 흔한 작은 검은색 텔레비전에서 놀리우드 영화가 재생되는 모습"과 같은 미학적 특징들을 재현했다. 무티티의 관심은 헤어 살롱의 미학을 넘어 그 안에서 일어나는 공동체와 교류의 형태에까지 확장된다. 2015년, 퍼포마(Performa영어)의 일환으로 그녀는 치무렌가(Chimurenga영어) 및 범아프리카 우주 정거장(Pan African Space Station영어)과 협력하여 일시적인 팝업 살롱을 만들었으며, 이곳에서 일련의 대화가 진행되었다. 이 대화 중에는 텐다이 후추의 『하라레의 미용사』, 담부조 마레체라의 작품, 비냐방아 와이나이나의 『언젠가 나는 이 장소에 대해 쓸 것이다』와 같이 헤어 공예와 흑인 서사를 직접적으로 다룬 이야기들의 낭독도 포함되었다.
4.2. 매체별 주요 작품
무티티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자신의 예술적 비전을 표현해왔다.
4.2.1. 인쇄물 작품
그녀의 주요 인쇄 기반 예술 및 디자인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 A-A-A (접이식 포스터, 2012)
- 쓰레드(Thread영어) (리놀륨 타일 스크린 인쇄, 2012~2014)
- 아프리카 헤어 브레이딩 살롱 리더(African Hair Braiding Salon Reader영어) (스프링 제본 소책자, 레이저 인쇄, 2014)
- 더 런드로맷 프로젝트(The Laundromat Project영어) (2014)
- RIP 키키(RIP Kiki영어) (2016)
- 레퀴엠(Requiem영어) (2016)
- 옷 입는 법(How to Wear Cloth영어) (접이식 포스터, 천, 종이, 레터프레스, 2016)
- 부틀렉 디스(Bootleg This영어) (북클로스, 북보드, 레이저 인쇄 소책자, 콤팩트 디스크, 2016)
- 1960 프리(1960 Free영어) (리소그래프 및 레이저 인쇄, 스프링 제본, 2016)
- 블랙 라이브즈 매터 흑인 여성 예술가(Black Women Artists for Black Lives Matter영어, BWAforBLM) (아이덴티티, 배너, 일시적인 인쇄물, 2016)
4.2.2. 영상 작품
그녀의 주요 영상 예술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영어) (2011)
- 페인 리비지티드 발췌(Pain Revisited Excerpt영어) (2015)
- 저스트 킵 스위밍(Just Keep Swimming영어) (2016)
4.2.3. 웹 디자인 작품
그녀의 핵심 웹 디자인 및 디지털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 런드로맷 프로젝트 웹사이트 리디자인(Laundromat Project website redesign영어) (2014)
- 브레이딩 브레이딩(Braiding Braiding영어) (2015)
- 리딩 짐바브웨(Reading Zimbabwe영어) (2016)
5. 전시회
무티티의 작품은 다양한 주요 전시회에서 선보여졌다.
-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2017)
- 브루클린 위 바이 골드(We Buy Gold in Brooklyn, New York영어)
- 휘트니 미술관 (2016)
- 할렘 스튜디오 미술관 (2015)
- 리세스 아트의 루카(땋기/뜨개질하기/짜기) (2014)
- 미시간 에드윈 갤러리(Edwin Gallery in Michigan영어)
- 예일의 데이븐포트 아트 갤러리(Yale's Davenport Art Gallery영어)
- 시러큐스 대학교
6. 수상 및 레지던시
무티티는 다음과 같은 수상 경력, 장학금 및 예술가 레지던시를 통해 자신의 업적을 인정받았다.
- 베를린 예술가 프로그램(Berlin Artist Program영어, BKP) (2021)
- 소로스 예술 펠로우십(Soros Arts Fellowship영어, 오픈 소사이어티 재단) (2019)
- 조안 미첼 재단 신진 예술가 보조금(Joan Mitchell Foundation Emerging Artist Grant영어) (2015)
- 앨리스 킴볼 잉글리시 여행 펠로우십(Alice Kimball English Traveling Fellowship영어) (2012)
- 런드로맷 프로젝트 크리에이트 체인지 펠로우(Laundromat Project Create Change Fellow영어) (2012)
- 디트로이트 현대미술관 레지던시 예술가(Artist in Residence, Museom of Contemporary Art Detroit영어)
- 리세스 레지던시 예술가(Artist in Residence, Recess영어)
7. 유산 및 영향력
콘치셀렐로 무티티의 작품과 경력은 예술 및 디자인 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흑인 문화 서사에도 광범위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단순히 시각 예술가로서의 역할을 넘어, 사회적 참여와 교육을 통해 중요한 변화를 이끌어냈다.
7.1. 예술 및 디자인 교육에 대한 기여
무티티는 예일 대학교 미술대학 그래픽 디자인 대학원 과정의 디렉터로서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 교육자이자 리더로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녀의 임명은 32년간 재직한 선임 교수의 뒤를 잇는 것으로, 해당 분야에서 그녀의 전문성과 리더십이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와 퍼체스 칼리지에서의 교수 경험은 그녀가 젊은 디자이너와 예술가들을 육성하는 데 지속적으로 기여해왔음을 보여준다.
7.2. 흑인 문화 서사에 미친 영향
무티티의 작품은 흑인 정체성, 문화, 그리고 사회 문제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고 기여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그녀는 특히 헤어 브레이딩과 같은 흑인 문화적 관행을 예술적 언어로 사용하여 단순한 미적 표현을 넘어선 깊은 사회문화적 의미를 탐구한다. 블랙 라이브즈 매터 운동을 위한 인쇄물 작업에 참여하고,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내에서의 자기 치장 및 공동체 형성에 대한 예술적 조사를 통해, 그녀는 흑인 문화의 복잡성과 회복력을 드러내고 있다. 팝업 살롱을 통한 대화의 장 마련은 그녀가 흑인 공동체의 목소리를 담고 역사와 정체성을 탐구하는 데 얼마나 헌신적인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티티는 흑인 서사의 다양성과 미묘한 차이를 강조하며, 억압받는 역사를 가진 커뮤니티의 문화적 표현과 자율성을 옹호하는 데 중요한 예술적 공헌을 하고 있다.
8. 개인 생활
현재 콘치셀렐로 무티티는 뉴욕시와 버지니아주 리치먼드를 오가며 거주하고 작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