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수 경력
김지현은 어린 시절부터 배드민턴 선수로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국내외 여러 대회에서 활약하며 국가대표 선수로 성장했다. 올림픽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명예를 드높였고, 국내 종합선수권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는 등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1.1. 초기 생애 및 선수 데뷔
김지현은 1974년 9월 10일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오른손잡이 선수였으며, 키는 1.69 m, 몸무게는 60 kg이었다. 선수 시절에는 삼성전기 배드민턴단 소속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배드민턴의 핵심 선수로 성장했다.
1.2. 올림픽 참가
김지현은 여자 단식 종목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두 차례 올림픽에 참가했다.
-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여자 단식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여자 단식
1.3. 주요 국내외 대회 성과
김지현은 선수 시절 대한민국 국내 대회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전국종합선수권대회 여자 단식에서 1997년과 1998년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국내 최정상급 선수임을 입증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기량을 선보였다.
1.4. 선수 은퇴
김지현은 2001년 코리아 오픈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를 마지막으로 국제 대회 선수 생활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2. 주요 국제 대회 성과
김지현은 선수 시절 다수의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인정받았다.
2.1.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김지현은 1989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여자 단식에서 덴마크의 카밀라 마르틴을 상대로 11-5, 11-7의 스코어로 승리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2.2. 수디르만 컵
김지현은 수디르만 컵 혼합 단체전에서 팀의 일원으로 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1997년 글래스고 수디르만 컵: 은메달
- 1999년 코펜하겐 수디르만 컵: 동메달
- 1995년 로잔 수디르만 컵: 동메달
2.3. 우버 컵
김지현은 우버 컵 여자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여러 차례 획득했다.
- 2000년 쿠알라룸푸르 우버 컵: 동메달
- 1998년 홍콩 우버 컵: 동메달
- 1996년 홍콩 우버 컵: 동메달
- 1994년 자카르타 우버 컵: 동메달
2.4. 아시안 게임
김지현은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여자 단체전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했다.
-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여자 단체전 금메달
-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 여자 단체전 은메달
2.5. 아시아 선수권 대회
김지현은 1994년 상하이에서 열린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여자 단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6. 아시아 컵
김지현은 1994년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아 컵 여자 단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7. 동아시아 경기 대회
김지현은 1993년 상하이에서 열린 동아시아 경기 대회 여자 단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8. IBF 월드 그랑프리
김지현은 IBF(국제배드민턴연맹) 월드 그랑프리 시리즈 대회에서 우승 1회, 준우승 6회를 기록했다.
연도 | 대회 | 상대 선수 | 스코어 | 결과 |
---|---|---|---|---|
1994 | 차이니스 타이베이 오픈 | Susi Susanti수시 수산티인도네시아어 | 2-11, 5-11 | 준우승 |
1994 | 코리아 오픈 | 방수현 | 5-11, 5-11 | 준우승 |
1994 | 스웨덴 오픈 | 방수현 | 11-6, 5-11, 3-11 | 준우승 |
1996 | 태국 오픈 | Wang Chen왕천중국어 | 11-2, 5-11, 7-11 | 준우승 |
1998 | 스웨덴 오픈 | Gong Zhichao궁즈차오중국어 | 12-10, 11-8 | 우승 |
1999 | 스웨덴 오픈 | Gong Ruina궁루이나중국어 | 8-11, 5-11 | 준우승 |
2001 | 코리아 오픈 | Camilla Martin카밀라 마르틴덴마크어 | 7-11, 11-8, 10-13 | 준우승 |
2.9. IBF 국제 대회
김지현은 IBF 국제 대회에서 여자 단식 3회 우승, 1회 준우승, 여자 복식 1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여자 단식
연도 | 대회 | 상대 선수 | 스코어 | 결과 |
---|---|---|---|---|
1991 | 소련 인터내셔널 | Elena Rybkina옐레나 리프키나러시아어 | 5-15, 7-15 | 준우승 |
1999 | 헝가리 인터내셔널 | 이순득 | 11-6, 11-1 | 우승 |
1999 | 노르웨이 인터내셔널 | Wang Chen왕천중국어 | 2-11, 11-3, 11-6 | 우승 |
2002 | 뉴질랜드 인터내셔널 | Lenny Permana레니 페르마나영어 | 7-2, 7-1, 7-1 | 우승 |
여자 복식
연도 | 대회 | 파트너 | 상대 선수 | 스코어 | 결과 |
---|---|---|---|---|---|
1991 | 소련 인터내셔널 | 강복승 | Natalja Ivanova나탈리야 이바노바러시아어 Julia Martynenko율리야 마르티넨코러시아어 | 10-15, 18-17, 12-15 | 준우승 |
3.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후 김지현은 배드민턴 지도자로서 새로운 경력을 시작했으며, 국제적인 무대에서 여러 국가대표팀을 지도하며 뛰어난 성과를 올렸다. 특히 인도의 P. V. 신두를 세계 챔피언으로 이끈 것은 그녀의 지도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3.1. 국제 무대 지도자 활동
김지현은 BWF(세계 배드민턴 연맹) 훈련 아카데미(자브뤼켄)에서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이후 뉴질랜드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인도 국가대표팀의 코치를 역임하며 국제적인 지도자로 인정받았다. 특히 2019년에는 인도 여자 단식 선수인 P. V. 신두가 바젤에서 열린 BWF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인도 역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3.2. 대한민국 배드민턴 국가대표팀 복귀
2020년 11월, 김지현은 대한배드민턴협회의 새로운 코치진 5명 중 한 명으로 선임되어 대한민국 배드민턴 국가대표팀 여자 단식 코치로 복귀했다. 그녀의 임기는 2022년 10월 31일까지였다.
4. 개인 생활
김지현은 2019년 9월, 병든 남편을 돌보기 위해 인도 국가대표팀 코치직에서 사임했다. 이는 그녀가 지도자 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게 된 주된 배경이었다.
5. 유산과 영향
김지현은 선수로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대한민국 배드민턴의 발전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지도자로서도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특히 P. V. 신두의 세계 챔피언 등극에 결정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인도 배드민턴 역사에 길이 남을 업적을 남겼다. 그녀의 경험과 지도력은 후배 선수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으며, 배드민턴 스포츠의 국제적인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